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종6위상...]

종6위상 행치부성소록신(行治部省少錄臣) 이예부련년사(伊豫部連年嗣; 이요베노무라지토시츠구)
 
【주석】
1. 이예부련년사(伊豫部連年嗣)
이예부련년사는 여기에만 보인다.
이예부련씨(伊豫部連氏)의 「본계」 는 『신찬성씨록』 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예부련씨 본계가 없는 것은 본서의 편찬에 이예부련년사가 참가한 것을 고려하면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우경 신별(하) 「이여부(伊與部)」 조 이여부(伊與部)다음에 원래 연(連) 자가 있었는데 옮겨 적는 과정에서 탈락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예부련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지통천황(持統天皇) 3년(689) 6월 계미조의 이여부련마양(伊餘部連馬養),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 연력(延曆) 10년(791) 정월무진조의 이여부련가수(伊與部連家守), 『유취국사(類聚國史)』 99 서위(敍位) 홍인(弘仁) 10년(819)정월 무술조의 이여부련진좌(伊與部連眞佐), 『일본기략(日本紀略)』 천장(天長) 2년(825) 8월무신조의 이예부련진정(伊豫部連眞貞)이 있다.
『속일본기』 문무천황 4년(700) 6월 갑오조에는 이예부련마사(伊豫部連馬飼)가 대보율령(大寶律令)의 찬정(撰定)에 참가하였다고 적혀 있다. 『일본후기』 연력 19년 10월 경진조 등에는 이여부련가수가 견당청익생(遣唐請益生), 대학직강(大學直講), 대학조교(大學助敎), 대학박사(大學博士) 등을 역임하며 좌씨전(左氏傳), 공양전(公羊傳), 곡량전(穀梁傳) 등을 강의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기략』 천장 2년 8월 무신조 등에는 가수(家守)의 아들인 이예부련진정(伊豫部連眞貞)이 대학조교, 대학박사, 대학조(大學助) 등을 역임한 기록이 보인다.
이예부련년사(伊豫部連年嗣)는 『신찬성씨록』 찬자 및 관계자가 기록된 권말(卷末)에 이름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필에 뛰어난 가문의 내력을 지닌 가수의 형제이거나 자식이었을 것이다.
이예부련씨 일족에 관해서는 우경 신별(하) 「이여부(伊與部)」 조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종6위상...] 자료번호 : ss.k_0003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