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한인(韓人; 가라히토)

한인(韓人; 가라히토)
 풍진조(豐津造)와 같은 조상이며, 좌이금(左李金)[또 이름은 좌리기모(佐利己牟)이다.]의 후손이다.
 
【주석】
1. 한인(韓人)
한인의 씨명은 한반도에서 도래한 한인 집단을 관장한 데서 유래한다. 한인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응신기(應神紀) 7년 9월조에 “고려인, 백제인, 임나인, 신라인이 함께 내조하였다. 이때 무내숙녜(武內宿禰)에게 명하여 한인들을 이끌고 연못을 만들게 하였다. 그래서 이름을 한인지(韓人池)라고 하였다”라고 하여 한반도 제국에서 온 사람들을 일괄해서 한인으로 칭했다고 한다. 동 흠명기(欽明紀) 17년(556) 10월조에는 “한인(韓人)이라 함은 백제이다”라는 기록이 보이고, 동 황극기(皇極紀) 4년(645) 6월조에는 한인(韓人)이 안작신(鞍作臣)을 죽였다는 사례도 보인다. 『파마국풍토기(播磨國風土記)』 방마군(餝磨郡) 「거지리(巨智里)」 조에는 한인산촌이 나오고, 동 「읍보군신도(揖保郡神島)」조에는 신라인을 한인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한인씨 일족으로는 천평(天平) 5년(733) 「우경계장(右京計帳)」(『大日本古文書』 1-488)에 우경 3조 3방에 거주하는 호주 진소택목상(秦小宅牧床)의 호구이자 어머니로 나오는 나이 60의 한인지노녀(韓人智努女)가 보인다. 천평 16년(744) 7월 12일부 「황후궁직이(皇后宮職移)」(『大日本古文書』 2-352)에 한인진수(韓人眞手), 대보(大寶) 2년(702)의 「어야국미봉간군춘부리(御野國味蜂間郡春部里)」(『大日本古文書』1-8)의 호적에 나이 40세인 여자 한인족나매(韓人足奈賣)가 나온다.
한편 한인씨와 동일씨족인 신인씨(辛人氏)도 확인된다. 천평승보(天平勝寶) 9년(757)4월 7일부 「서남각영해(西南角領解)」(『大日本古文書』 4-228)에 나이 33세 신인대만려(辛人大万呂)는 주방국(周方國) 여읍군(余邑郡) 위문향(委文鄕)의 호주인 신인읍여회(辛人邑與曾)의 호구로 나온다. 이 인물은 사경소 잡역으로 차출된 것으로 보인다. 천평보자(天平寶字) 6년(762) 4월 2일부 「동대사주공소문(東大寺鑄工召文)」(『大日本古文書』5-205)에 주공(鑄工) 5인 중에 신인삼전차(辛人三田次)라는 인물이 있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9년(867) 4월조에는 이하권목(伊賀權目) 정6위하 한인진정(韓人眞貞)이 풍롱숙녜(豐瀧宿禰)의 성을 받았는데, 그 선조는 임나국 사람이라고 하였다. 한인으로 표기되어 있는 인물 중에는 백제계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여기서는 가야계로 기록되어 있다. 혹은 백제계 가야인으로 인식한 씨족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풍진조동조(豐津造同祖)
『속일본기』 보귀(寶龜) 10년(780) 5월조에는 섭진국(攝津國) 풍도군(豐島郡) 사람인 한인도촌(韓人稻村) 등 18인이 풍진조(豐津造)의 씨성을 받았다고 한다. 본조의 한인씨는 옛 성이 한인이었던 풍진조씨의 방계씨족이다.
3. 좌이금(左李金)
좌리왕(佐利王)과 동일인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인(韓人; 가라히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30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