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기지(己智; 고치)

기지(己智; 고치)
 진(秦)의 태자인 호해(胡亥)로부터 나왔다.
 
【주석】
1. 기지(己智)
기지의 씨명은 기지(己智), 허지(許智), 허지(許知), 거지(巨智) 등 다양한 용례가 있다. 『일본서기』 신공기 섭정전기에 미질기지파진간기(微叱己知波珍干岐), 동 신공황후 섭정 5년 3월조에 미질허지벌한(微叱許智伐旱) 등에 보이듯이 고대 한국어의 수장층을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한다. 『일본서기』 흠명기(欽明紀) 원년(540) 2월조에는 “백제인 기지부(己知部)가 투화하였다. 왜국 첨상군(添上郡) 산촌(山村)에 안치하였고, 지금의 산촌기지부(山村己知部)의 선조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기지씨(己智氏) 일족인 기지이향두(己知伊香豆)는 천평승보(天平勝寶) 5년(753) 6월 15일부(『大日本古文書』25-93)에 대왜인(大倭人) 6인 중에 대왜국(大倭國) 첨상군(添上郡) 유중향(楢中鄕)의 호주로 나온다. 또 천평승보 원년 12월 14일부 「사경소해(寫經所解)」(『대일본고문서』 13-338)의 사경사 기지안리방(己知安利芳)이 있는데, 동일인이 유허지의우(楢許智蟻羽, 동 3-338)로도 나오듯이 기지(己知)와 유허지(楢許智)는 같은 씨이다. 유허지씨(楢許智氏) 일족인 나량허지마려(奈良許知麻呂)는 『속일본기』 화동(和銅) 7년(714) 11월 무자조에 효행이 지극하여 종신토록 조세를 면제받았다고 한다. 또 천평(天平) 14년(742) 11월 15일부 「중신등삼강해(中臣等三綱解)」(『대일본고문서』8-134)에 나량허지이가도(奈良許知伊加都)라는 인물은 대양덕국(大養德國) 첨상군(添上郡) 중호향(仲戶鄕) 어미리(於美里)의 호주로 나온다. 평성궁 출토의 목간(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7, 『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4)에도 기지우양(己智牛養)이라는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파마국풍토기(播磨國風土記)』 에는 방마군(餝磨郡) 거지리(巨智里)조에 거지리(巨智里)의 초상촌(草上村)에 대해서 거지(巨智) 등이 이 촌에 거주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고, 초상(草上)이라는 사람은 한인산촌(韓人山村) 등의 상조(上祖)인 작거지하나(柞巨智賀那)라고 한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10년(843) 12월조에는 나량기지풍계(奈良己智豐繼)는 출운국(出雲國) 하변군(河邊郡) 백성이고 외종5위하 훈8등 나량기지풍계(奈良己智豐繼)에게 대농숙녜(大瀧宿禰)의 성을 주었는데, 그의 선조는 백제국인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상에서 기지(己智)의 출자에 대해서는 백제계 씨족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진시황의 아들 호혜로부터 나왔다는 설화는 출자의 개변임이 분명하다.
2. 호해(胡亥)
호해는 진의 2세 황제이고 재위는 기원전 210년에서 기원전 207년까지이다. 『사기』 진본기 제5에 “시황제 51세에 붕하다. 자 호해가 즉위하니 2세 황제가 되었다. (즉위) 3년에 제후가 진에 반란을 일으켜 조고(趙高)가 2세를 죽이고 아들 영(嬰)을 세웠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기지(己智; 고치)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2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