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이부조(伊部造; 이베노미야츠코)

이부조(伊部造; 이베노미야츠코)
 백제국(百濟國) 사람 내리사주(乃里使主)의 후손이다.
 
【주석】
1. 이부조(伊部造)
이부(伊部)의 씨명은 『고사기』 수인천황단(垂仁天皇段)에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이부등지부(伊部登志部)를 자대(子代)로 정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듯이 수인황자의 아들인 이등지화기왕(伊登志和氣王)의 이름을 기념하는 자대부(子代部)의 반조씨족에서 유래한다. 이부조씨(伊部造氏)의 일족으로는 천평승보 8년 정월 12일부 「동서시장해(東西市莊解)」(『大日本古文書』 4-110)와 천평보자 2년 8월 28일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대일본고문서』 4-294)에 이부조자수통(伊部造子水通)이 나온다. 또 천평보자 2년 12월 21일 「관세음사조량노비예문(觀世音寺早良奴婢例文)」(『대일본고문서』 14-270)에 정7위상 이부조사마려(伊部造社麻呂)의 서명이 보인다.
이부조씨는 월전국(越前國)에도 분포하고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15년(873) 12월조에 “월전국(越前國) 돈하군인(敦賀郡人) 우대사(右大史) 정6위상 이부조풍지(伊部造豐持)에게 반고조신(飯高朝臣)의 성을 주었다. 본거를 우경 5방 3조로 편호하였다. 그 선조는 효소천황(孝昭天皇)의 황자인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이다”라고 하여 월전국 돈하군 사람인 이부조풍지가 보인다. 동 정관(貞觀) 17년(875) 12월조에도 동일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2. 내리사주(乃里使主)
내리사주는 한자음이 다른 노리사주(怒理使主, 努理使主, 努利使主)와 같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부조(伊部造; 이베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1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