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고려국왕 왕주(王伷)의 공물

  • 날짜
    977년 11월 (음)(太平興國 2年(977) 11月 辛巳)
  • 출전
    卷18 太平興國 2年(977) 11月 辛巳
고려국왕(高麗國王) 왕주(王伷)[경종(景宗)]가 아들 원보(元輔)주 001
각주 001)
元輔 : 고려 초에 태봉에서 사용되던 官階를 이은 것 중 하나로, 元甫라고도 한다. 태조 시기에 16관등으로 정비되었으며, 원보는 제8위에 해당한다. 대체로 고위 관료나 호족들에게 수여하였다. 광종대에 중국의 문산계가 도입되면서 함께 사용되었는데, 주로 지방의 호족이 사용하게 되면서 성종 14年(995)에 관계로서는 폐지되고 鄕職으로 바뀌었다. 원보는 광종 11年(960)의 公服 규정이 제정되면서 紫衫을 입는 것으로 정해졌다. 여기에서는 아들 원보라고 하여 경종의 아들인 왕자에게 원보를 제수한 것으로 이해되나, 경종의 아들인 목종은 980년에 태어나서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때의 왕자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닫기
를 보내 공물을 바치고 (황제) 등극을 축하했다.

  • 각주 001)
    元輔 : 고려 초에 태봉에서 사용되던 官階를 이은 것 중 하나로, 元甫라고도 한다. 태조 시기에 16관등으로 정비되었으며, 원보는 제8위에 해당한다. 대체로 고위 관료나 호족들에게 수여하였다. 광종대에 중국의 문산계가 도입되면서 함께 사용되었는데, 주로 지방의 호족이 사용하게 되면서 성종 14年(995)에 관계로서는 폐지되고 鄕職으로 바뀌었다. 원보는 광종 11年(960)의 公服 규정이 제정되면서 紫衫을 입는 것으로 정해졌다. 여기에서는 아들 원보라고 하여 경종의 아들인 왕자에게 원보를 제수한 것으로 이해되나, 경종의 아들인 목종은 980년에 태어나서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때의 왕자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려국왕 왕주(王伷)의 공물 자료번호 : jt.k_0002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