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고성고성

高城古城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
  • 위치
  • 원소장처
    吉林省 汪淸縣 百草溝鎭 高城村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908m, 남: 224m, 북: 330m, 동: 267m, 서: 87m
입지
성에서 동남쪽으로 200m 떨어진 곳에는 서남에서 동북으로 흘러 알하하(嘎呀河)로 들어가는 소백초구하(小百草沟河)가 있으며, 성 북쪽에는 높은 산에 이웃해 있고, 고성(古城)에서 용하(龍河)에 이르는 도로가 성안 서북쪽을 지나간다.
유적개관
고성은 북쪽으로 높은 산에 의지해 있어 단지 동쪽, 서쪽, 남쪽 3면만 성벽을 축조하였다. 성벽은 토석혼축이고, 평면은 불규칙한 장방형이며, 방향은 340도이다. 고성에서 남쪽으로 약 70m 떨어진 곳에는 많은 건축 기단석들이 있고, 서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에도 타원형 연철(煉鐵)찌꺼기가 퇴적되어 있다.
유물개관
성 안에서 지압문 암키와, 자루달린 수키와, 연꽃무늬 와당과 기와 앞부분에 다양한무늬가 있는 처마 암키와 등 전형적인 발해시기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縣) 백초구진(百草溝鎭) 고성촌(高城村) 서남쪽 모서리에 있다. 성에서 동남쪽으로 200m 지점에는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흘러 알하하(嘎呀河)로 들어가는 소백초구하(小百草溝河)가 있고, 성 북쪽은 높은 산에 이웃해 있으며, 고성(高城)에서 용하(龍河)에 이르는 도로가 성 안 서북쪽을 지나간다.
고성은 북쪽으로 높은 산에 의지해 있어 단지 동쪽, 서쪽, 남쪽 3면만 성벽을 축조하였고, 현재 남쪽 성벽은 아직도 비교적 분명하다.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서 축조하였고, 평면은 불규칙한 장방형이며, 방향은 340도이고 동쪽 성벽은 267m, 서쪽 성벽은 87m, 남쪽 성벽은 224m, 북쪽 성벽은 330m로 전체 둘레는 908m이다. 고성에서 남쪽으로 약 70m 지점에는 많은 건축 기단석들이 있고, 서남쪽으로 약 200m 지점에도 타원형의 제철 찌꺼기가 퇴적되어 있다.
『발해국지장편(渤海國志長編)』 「식화고(食貨考)」, 『요사(遼史)』 「식화지(食貨志)」 등을 참고하면, 발해 중경현덕부(中京顯德府) 철주(鐵州)는 철이 생산되는 것 때문에 이름이 지어졌으며 철주 관할의 위성(位城)은 철이 풍부하게 생산되어 "위성의 철"이라 불렸다. 돈화(敦化)·화룡(和龍)·영안(寧安) 등의 발해유적과 고분에서 상당한 양의 철기들이 출토된 것은 발해 시기에 철기가 이미 광범위하게 군사·생활 등 각 분야로 응용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철주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는데, 현재까지 조사된 발해 성에서 제철 찌꺼기가 발견된 곳은 고성(高城) 고성 한 곳에 불과하므로. 고성 고성은 주목할 만한 발해의 성 유적이다.
성 안에서 지압문(指壓紋) 암키와, 자루달린 수키와, 연꽃무늬 막새기와와 기와 앞부분에 다양한 무늬가 있는 암막새키와 등 전형적인 발해 시기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성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5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