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고이산성

高爾山山城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요녕성 무순시 순성구 무순성가도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4,000m
입지
무순시 순성구 무순성가도 고이산에 위치
유적개관
신성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산성으로, 동성, 서성, 남위성, 북위성과 동남의 3개의 작은 성으로 이루어졌다. 성벽은 토석혼축으로 쌓여졌으며, 일부 비교적 큰 돌로 기초를 쌓고 흙으로 성벽을 쌓기도 하였다. 혹은 잡석으로 0.3~0.5m 높이의 기초를 쌓고 다시 토축을 하기도 하였다. 현재 잔고는 8m가량이다. 동성(2.8km)이 주성이며, 전체 성벽은 길이 4km이며, 남, 북, 동문이 존재한다. 남문의 서측에는 수문과 배수구 등이 있다. 성 내부에서는 건물지와 샘 등이 존재한다.
유물개관
* 곡구려 토기, 철기(갑옷편, 철촉, 칼, 창, 쇠뇌, 농공구류), 청동(개원통보), 기와, 연화문 와당, 전돌 등
참고문헌
遼海文物學刊 1987-2
해설
중국 요녕성 무순시 순성구 무순성가도 혼하 북쪽 연안에서 2km 떨어진 곳에 있는 해발 154m의 고이산 위에 위치한다. 고이산성은 남쪽에는 2km 떨어진 지점에 혼하(渾河)가 동에서 서로 흐르고 있다. 동쪽에는 무서하(撫西河)가 고이산 북쪽을 거쳐 남쪽으로 흐르다가 혼하로 유입되며, 1.5km 떨어진 곳에 시가가 고구려 고분군(施家街高句麗墓群)이 있다. 서쪽으로는 혼하 북쪽 연안을 따라 산봉우리들이 연이어 있고 무순(撫順)-철령(鐵嶺) 도로가 산성의 한 가운데를 통과하고 있다. 요동평원과 요동 동부 산간 지대의 접경지대로 이곳에서 혼하 하류를 따라 서남쪽으로 나아가면 요동평원이 나타나며, 혼하 상류를 거슬러 동북쪽으로 나아가면 요동 동부 산간지대로 나아갈 수 있다. 혼하에서 소자하(蘇子河)를 거쳐 고구려 초기 중심지인 혼강(渾江)유역으로 나아갈 수 있고, 송화강(松花江) 상류를 거쳐 동북쪽으로 나아가면 부여 중심지였던 길림(吉林)지역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산성 서남쪽 2km 떨어진 곳에 장군보(將軍堡)가 있다. 북쪽으로는 철령 방면으로 나아가 요하 중상류로 통할 수 있다. 이렇듯 고이산성은 압록강 중류일대로 진입하는 길목인 동시에 여러 방면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1933년 와타나베(도변삼삼 渡邊三三)가 처음 발견한 이래 1938년과 1940년, 1944년 계속해서 이케우치 히로시(지내굉 池內宏)에 의해 발굴과 조사보고가 이루어졌다. 1945년 이후에도 중국 고고학자들에 의해 여러 차례 발굴 조사 되었으며, 1983-1985년 공원 조성을 위해 요녕성 고고문물연구소와 무순시 박물관의 합동 조사 때 성벽 방향, 구조 등에 대한 실측과 6개 지구에 대한 발굴이 진행되었다.
고이산성은 동, 서, 북 3면이 모두 높은 산등성이에 둘러싸여 있으며, 산등성이 안쪽은 다시 북쪽의 장군봉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에 의해 동·서 골짜기로 나뉘고 있는데, 이들 골짜기를 감싼 산등성이를 따라 성벽을 쌓았다. 산성은 동성, 서성, 남위성(南衛城), 북위성과 동남쪽 3개의 소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벽의 외곽 둘레는 약 4km에 이르는 대형 산성으로 각각의 성들은 대체로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고이산 주봉(主峯)인 장군봉이 동성과 서성의 자연경계를 이루며, 무순-철령 도로가 남북으로 동성과 남위성을 지나고 있다. 성벽의 축조방식은 크게 3가지로 나타나는데, 첫 번째는 흙으로만 성벽을 쌓은 경우(동성 동문 북단 부분), 두 번째는 흙으로 쌓은 성벽 안쪽에 비교적 큰 깬 돌로 돌벽을 한 줄 쌓은 뒤 그 위에 다시 흙을 덧쌓는 방식(동성과 서성의 경계지점 남단), 세 번째는 돌과 흙을 섞어서 쌓는 방식(동성 서문의 서쪽 성벽)이다. 압록강 중류 일대의 다른 고구려 성이 돌로 쌓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비해 고이산성은 흙 또는 흙과 돌을 섞어서 성을 쌓음으로써 상당히 선구적인 방식을 이용해 성을 쌓고 있어 고구려 중후기 산성의 효시로 설정하고 있다.
동성은 무순-철령 도로가 지나가는 골짜기를 감싼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하였는데 평면은 타원형으로 주봉인 장군봉 등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네 성벽으로 나뉘며 총 둘레는 2.8km이며(북벽 900m, 동벽 700m, 서벽 500m, 남벽 700m), 성벽 별로 1개씩 성문이 모두 4개가 발견되었다. 또한 동성 내부 무순-철령 도로 양측으로 너비가 일정치 않은 계단식 대지가 많이 산재해 있고, 이곳에서 고구려 시기의 유적과 유물이 주로 많이 발견되었으며, 그밖에 건물터도 동성 내부 곳곳에 남아 있어 동성이 주된 성(主城)이었음을 알 수 있다.
서성은 서쪽 골짜기를 감싼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되었는데 V자형을 그리며 골짜기 전체를 감싸면서 동성의 남문 맞은편까지 이어지고 있다. 산등성이를 따라 1.5km에 이르는 서북벽과 서남벽이 축조되어 있으며, 서쪽 골짜기 입구 사이를 가로질러 동남벽을 쌓았다. 서성의 외곽 성벽은 중앙의 높은 흙벽 안쪽에 약간 낮은 흙벽을 나란히 쌓은 겹성구조인데, 1963년에 V자형 서북벽과 서남벽이 흙으로 쌓았음에도 북쪽 300m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 있었음에도 동성의 성벽에 비해 상당히 작았고, 성 내부에서 고구려 시기의 유물도 발견되지 않았다. 동성에 비해 현저히 차이 나는 규모나 정밀도, 출토유물 등으로 볼 때 전쟁 때 동성이나 남위성 등을 호위하는 정도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남위성은 서성 서남벽의 동남단과 동성 남단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 부분은 산성 안쪽 골짜기의 전체 입구이다. 동서로 뻗어 내린 산등성이 사이에 너비 200m의 골짜기 입구가 있으며, 여기에 본래 성벽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1963년 조사 당시 서성 서남단에서 동성 남문 맞은편 서남단에 이르는 산등성이에 500m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또한 동성 동남단 산봉우리에서 서남 방향의 산등성이를 따라 500m 정도의 반원형(호형 弧形) 성벽을 축조하였다.
북위성은 장군봉 동북쪽에 위치한 동성 북벽 위에 작은 산봉우리에서 서북방향으로 돌출한 산등성이 가장자리에 흙으로 성벽을 쌓은 것이다. 동서 길이는 140m, 남북 너비는 50m이며 남쪽이 동성의 북벽에 닿아 있다.
동성의 동남쪽에는 동벽 남단의 산봉우리에서 동남쪽으로 뻗은 산등성이가 있는데 이 산등성이 가장자리를 따라 동서 길이 300m, 남북 너비 150m인 타원형 성벽을 쌓았다. 이 소성(小城)은 남쪽 트인 곳(활구 豁口)을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이 타원형 성벽 동쪽에 타원형의 소형 위성(圍城)을 연이어 축조하였는데 주성인 동성의 동쪽을 방어하던 역할을 하던 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이산성은 이처럼 여러 개의 성으로 이루어진 복곽식 산성으로 성벽 축조 시기나 방식, 출토 유물의 시기가 모두 다른 것으로 보아 특정 시점에 한 번에 완성된 것이 아니고 주성인 동성을 먼저 축조한 뒤 그 외곽에 서성 및 다른 위성을 쌓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성 내부에서 인공적으로 흙이나 돌을 쌓아 감시 초소를 만든 곳이 12곳 정도 발견되었으며 동성 남문에서 배수로와 수구문이, 성의 북부와 동문 서쪽에서 각각 샘물이 1개와 2개씩 발견되었다. 이외에도 많은 건물지 등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서 기와와 철기(화살촉, 쇠못, 갑옷조각, 농공구류 등), 토기, 화폐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고이산성은 1933년 발견된 이래 고구려의 신성(新城)으로 비정하고 있다. 이 지역은 요동평원과 요동 동부 산간지대의 접경지대로 압록강 중류 일대에서 요동평원으로 나갈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그런 이유로 4세기 이후 요동방면을 방어하면서 진출하기 위한 군사적인 중요한 진(鎭)이었을 것이다. 또한 내부에서 군사시설 뿐 아니라 지방관아나 일반 거주지 등이 함께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 지배를 위한 거점성의 역할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성(고이산성)은 8세기 전반 발해가 소자하-혼하 일대를 장악하면서 발해 영토로 편입되어 발해에서 당나라의 영주(營州, 지금의 조양)에 이르는 육상교통로의 주요 통과지점의 하나가 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이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9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