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창원 도계동 유적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86·1987·2002
  • 시대
    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경상남도 창원시 도계동 332 일대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86년도에 창원대학교박물관, 1987년에 동의대학교박물관, 2002년 경상남도발전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시행.
유적개관
원삼국시대 이른 시기의 분묘들은 능선의 하단부에 주로 분포하며 점차 능선을 따라 전 범위에 유구가 축조되어 있음. 도로 확장과 택지 조성이 이루어져 고분 보존 지구를 제외한 도계동 유적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택지로 조성된 구역에서는 관상수를 재배하는 등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음.
출토유물
* 회색연질계통의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와 노형기대 등의 와질토기류, 연질토기류, 도질토기류, 이단병식철모, 철검, 유엽형무경화살촉 등의 무기류, 철기 농기구 등
참고문헌
「昌原 道溪洞古墳群Ⅰ」
해설
경상남도 창원시 도계동 332 일대에 위치한 원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북서쪽에는 천주산(해발 640.3m), 북쪽에는 구룡산(해발 433.5m), 북동쪽에는 정병산(해발 566.7m)이 둘러싸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해발 186m의 떡뫼가 있다. 유적은 해발 180m의 야산으로부터 떡뫼로 연결되는 해발 30m의 낮은 구릉에 조성되어 있다.
1968년 돌덧널무덤[석곽묘(石槨墓)]이 노출되고 토기가 출토됨으로써 처음 알려지게 되었고, 1986년에 창원대학교박물관이 유적의 서쪽 부분을, 1987년에 동의대학교박물관이 유적의 동쪽 부분을 발굴조사 하였다.
86년 조사에서는 원삼국시대 움무덤[토광묘(土壙墓)] 3기, 가야시대 움무덤 12기, 돌덧널무덤 13기, 독무덤[옹관묘(甕棺墓)] 4기, 조선시대 움무덤 8기, 독무덤 1기 등 총 41기의 고분이 확인되었다. 움무덤 가운데 원삼국시대의 것은 동서방향이 긴 정방형(正方形)이며 머리는 동쪽을 향한다. 가야시대의 것은 북동~남서방향이 긴 장방형(長方形)이며 머리방향은 북동쪽을 향한다. 한편 가야시대의 2호, 12호분은 바닥에 얕은 유물 구덩이를 파놓은 것이 확인된다.
연대는 원삼국시대의 움무덤이 1~3세기에 걸쳐 조영되었고, 가야시대의 움무덤은 4세기대로 추정된다. 돌덧널무덤은 깬돌[할석(割席)]로 층층이 엇갈리게 쌓고, 벽의 틈새는 점토로 메꿨다. 바닥은 제1호분의 경우 부스러기돌을 깔았고, 제3호의 경우는 판돌을 깔고 발치부분에 껴묻거리 칸[副葬部]을 따로 만들었다.
유물은 토기류, 철기류, 금동류, 옥류 등이 출토되었는데, 대체적으로 시신의 주위에는 무기류 등의 실용유물을 두었고, 머리 윗부분과 발치부분에는 껴묻거리용 유물을 두었다. 연대는 움무덤보다는 늦은 것으로 여겨지며, 5세기까지 내려갈 수 있다.
87년 조사에서는 가야시대의 중·소형 움무덤 31기, 고려시대의 소형 구덩유구 1기, 조선시대의 민묘 2기가 확인되었다. 단독움무덤[주구토광묘(周溝土壙墓)]은 모두 22기가 확인되어 전체 유구 중 대다수를 차지한다. 무덤의 평면은 모두 모서리가 둥근[말각장방형(抹角長方形)] 형태이며, 대부분 등고선 방향과 일치하는 동서방향으로 안치되었고, 남북방향은 2기 뿐이다. 축조방법은 일정한 크기의 무덤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덧널을 설치한 후, 덧널과 무덤구덩이 사이의 공간에 흙을 채워 보강하였다. 바닥은 부드러운 점토를 한 벌 깐 것과 생토면(生土面)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구분된다.
유물은 이른 시기의 무덤에서는 처음부터 철기만 매납하였고, 점차 시기가 내려오면서 토기의 껴묻거리 양이 증가하고 매납위치도 시신의 발치부로 정형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도계동고분군은 원삼국시대와 가야시대의 고분을 포괄하고 있지만 그 중심이 되는 것은 가야고분이며 그 중에서도 여러 형태의 덧널무덤이 중심을 이룬다. 이 고분군은 1세기부터 4~5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창원 도계동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3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