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境連穢貊, 地接扶餘.

境連穢貊, 地接주 001
각주 001)
원문 「接」. 길림본 「接」으로 교감.
닫기
주 002
각주 002)
부여에 대한 표기는 ‘夫餘’와 ‘扶餘’가 있다. 『史記』, 『漢書』, 『三國志』, 『後漢書』, 「廣開土王碑」, 「牟頭婁墓誌」 등에서는 夫餘라고 하였고, 『晉書』, 『魏書』, 『舊唐書』, 『新唐書』 및 『三國史記』, 『三國遺事』, 「東明王篇」, 『帝王韻紀』 등에서는 扶餘라고 하였다. 『한원』의 해당 주문에서는 『위서』를 인용해 扶餘라 했지만, 이외에는 ‘夫餘’로 표기하였다.
닫기
餘.
魚豢魏略曰: “高句驪國, 在遼東[之東]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之東」을 보입. 『삼국지』 권30 고구려전과 『태평어람』 소인 『위략』 기사에 따라 「之東」을 보입.
닫기
千里. 南接朝鮮·穢貊, 東接沃沮, 北接夫餘也.”

  • 각주 001)
    원문 「接」. 길림본 「接」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부여에 대한 표기는 ‘夫餘’와 ‘扶餘’가 있다. 『史記』, 『漢書』, 『三國志』, 『後漢書』, 「廣開土王碑」, 「牟頭婁墓誌」 등에서는 夫餘라고 하였고, 『晉書』, 『魏書』, 『舊唐書』, 『新唐書』 및 『三國史記』, 『三國遺事』, 「東明王篇」, 『帝王韻紀』 등에서는 扶餘라고 하였다. 『한원』의 해당 주문에서는 『위서』를 인용해 扶餘라 했지만, 이외에는 ‘夫餘’로 표기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之東」을 보입. 『삼국지』 권30 고구려전과 『태평어람』 소인 『위략』 기사에 따라 「之東」을 보입.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境連穢貊, 地接扶餘.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