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적도들은 체포하지 못하였으나 장물의 숫자 등을 파악하여 간수하였다는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3. 回咨
  • 발신자
    朝鮮國王
  • 발송일
    1594년 2월 8일(음)(萬曆二十二年二月初八日)
  • 출전
    事大文軌 卷8: 5b-7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198~201쪽
3. 回咨
 
朝鮮國王,
准來咨該 爲 遵旨專責部臣, 經略倭患 事 云云. 等因.
 
准此. 當職査照, 先該上年十一月內, 議政府 狀啓.
據 全羅道觀察使李廷馣 呈.
備 扶安縣監金如晦 申.
九月十八日, 該漁戶李三 告稱.
本役, 於本月十五日, 前徃梁島, 採辦海味, 間有面生異様人一十五名, 在島行走, 語音不曉, 就與帶來.
卑職寫問, 你係何處人民. 內有王仲寬出, 示所賫公文一紙, 委係遼東金州衛旗牌. 寫說.
運粮漂流, 於本月十六日, 在洋中, 撞遇賊舩, 來犯殺死水手二名, 將俺等原坐舩隻, 連裝載物件搶奪. 等情.
就着軍官發兵, 緝捕本賊.
去後, 回據 本官 報稱.
前項海賊, 係是臨陂等縣, 住坐人數, 已獲首賊鄭㤙福等七名監囚. 等因.
又據 戶曹參判尹自新 呈.
該本曹正郞金洎 申.
卑職蒙差, 於閏十一月內, 前徃全羅地方, 督併沿海州縣, 挨捕賊徒高險年等十一名取訖. 同謀作賊殺掠, 的確招辭, 俱按律正刑, 仍將贓物, 小舩三隻, 粟米四十五石, 蒸米三石, 乾魚一十四束, 破鞋一隻, 螺鈿函一箇, 布袋十尺等件, 照數收貯. 等因.
備呈.
具啓. 得此. 已將王仲寬等一十五名, 於十一月初三日, 解赴遼東都司, 交割去訖. 今該前因, 當職再照, 所據賊徒, 逃躱遠遁, 迄未盡捕, 原搶物件, 亦難追賠, 委爲悶慮. 除將上項贓物, 驗數收貯聽候, 又飭全羅各該官吏, 嚴加究問, 務要緝捉, 擬候畢勘會査情由, 另行備報外, 爲此, 合行回咨. 請照驗施行. 須至咨者.
右咨山東布政使司.
 
萬曆二十二年二月初八日.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적도들은 체포하지 못하였으나 장물의 숫자 등을 파악하여 간수하였다는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자료번호 : sdmg.d_0002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