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연구논저목록

동아시아에서 역사인식의 국경 넘기

  • 구분
    저서
  • 저필자
    아시아 평화와 역사연구소
  • 발행자
    선인
  • 발행일
    2008년
  • 주제분류
    일본교과서
  • 형태사항
    493쪽  , 한국어 
제1부 공동역사교재 개발의 협력모델 찾기
한일 간 역사대화의 모색과 협력모델 찾기(1982~1993) / 신주백
 1. 머리말
 2. 1982년 교과서 파동과 주목받기 시작한 국제 교과서대화
 3. 1982년 교과서 파동 이후에도 지속된 국제 교과서대화에 대한 관심
 4. 한일 역사교과서대화의 첫 시도(1991~1993)
 5. 맺음말
‘동아시아형 교과서대화’의 본격적인 모색과 협력모델 찾기(1993~2006) / 신주백
 1. 머리말
 2. 1993년 이후 역사인식에 관한 국제교류의 활성화
 3. 21세기 동아시아 정세의 특징과 교과서대화의 함의
 4. ‘동아시아형 교과서대화’의 다양한 시도
 5. 맺음말
동아시아 공동역사교재 개발, 그 경험의 공유와 도약을 위한 모색 / 김정인
 1. 머리말
 2. 공동역사교재의 발간 과정과 성과
 3. 공동역사교재 분석의 원칙
 4. 동아시아 역사대화 분석 원칙에 입각한 공동역사교재의 평가
 5. 공동역사교재와 각국 교과서의 사례 비교
 6. 맺음말
동아시아의 화해를 위한 시민사회의 역사대화 / 양미강
 1. 갈등의 고리, 어떻게 풀 것인가?
 2. 한중일을 둘러싼 갈등, 무엇이 문제인가?
 3. 시민사회의 협력을 통한 역사대화 현황과 한계
 4. 유럽의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시민운동의 과제
 5. 바람직한 역사대화의 토대,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6. 우리가 가야 할 평화의 길
“두 개의 시선”으로 바라본 민족사: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대화 / 김승렬
 1. 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대화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2. 배경:“부정적 폴란드정책” vs “부정적 독일정책”
 3. 주역:엔노 마이어와 게오르크 에커트
 4. 국제적·국내적 조건:데탕트, 신동방정책 그리고 과거정책
 5. 독일-폴란드 교과서위원회 구성과 활동방식
 6. 권고안의 구조와 내용
 7. 권고안에 대한 비판과 대응:역사적 진실 vs 현실적 타협
 8. 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대화의 기본정신
역사의 국경을 넘다:독일-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 / 김승렬
 1. 머리말
 2. 독일-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 『역사(Histoire / Geschichte)』의 편찬 경위
 3. 『역사(Histoire / Geschichte)』의 특성 Ⅰ:독일-프랑스 중심의 유럽사
 4. 『역사(Histoire / Geschichte)』의 특성 Ⅱ:교차적 접근
 5. 동아시아 및 한국 관련 저술
 6. 맺음말
민족주의적 역사학의 문제와 극복: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 협의의 난제 해결에 관하여 / 로버트 마이어

제2부 『미래를 여는 역사』의 발자취
동아시아 역사인식 공유의 첫걸음:『미래를 여는 역사』집필 과정과 한국 내 반응 / 김성보
 1. 머리말
 2. 집필위원들의 ‘소통(疏通)’의 과정
 3. 『미래를 여는 역사』출간에 대한 한국 내 반응
3국 간 국제연대 속에서 비로소 동아시아가 시야에 들어오다:한국에서의 『미래를 여는 역사』편찬 과정을 중심으로 / 신주백
 1. 머리말
 2. 한국 측의 ‘부교재’ 개발 준비와 목차 확정 과정
 3. ‘부교재’ 내용을 둘러싼 소통 과정
 4. ‘부교재’에 대한 한국 내 반응과 활용
 5. 맺음말
일·중·한 삼국 공동편집·동시간행 『미래를 여는 역사』의 작성 경위 및 논점 / 사이토 가즈하루
 1. 머리말-『미래를 여는 역사』의 작성 목적과 이 책의 자리매김
 2. 제작 경위·경과와 멤버 구성
 3. 제작이 가능했던 배경, 지금까지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역사대화의 흐름
 4. 역사대화에서의 논점, 역사학·역사교육·역사서술·전쟁기억의 4가지 측면에서
 5. 『미래를 여는 역사』의 제작 성과와 과제
 6. 맺음말
역사인식 공유는 가능한가:『미래를 여는 역사-동아시아 3국의 근현대사』를 편집하고 / 가사하라 도쿠시
 1. 제2차 세계대전 후 60주년의 ‘기억과 화해’
 2. 동아시아 역사대화의 흐름
 3. 『미래를 여는 역사』의 역사적 자리매김
 4. 역사인식 공유를 위한 과제
제3부 『미래를 여는 역사』에 대한 서평
‘동아시아’의 가능성 / 나리타 류이치
동아시아 역사 만들기 / 신주백
동아시아 평화를 앞당기는 소중한 첫걸음 / 백영서
『미래를 여는 역사』 / 한명철
미래를 여는 역사, 민중의 삶을 통해서 그린 새로운 동아시아 역사교과서 / 김인호
『미래를 여는 역사-동아시아 3국의 근현대사』를 읽고 / 모리모토 미쓰히로
한중일 3국 공통역사교재 제작에 있어서의 논의점 / 오비나타 스미오
『미래를 여는 역사-동아시아 3국의 근현대사』(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를 읽고 / 이카이 다카아키
평(評) 『동아삼국의 근현대사』 / 권용후
신적벽대전(新赤壁大戰) / 알랭 들리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아시아에서 역사인식의 국경 넘기 자료번호 : yn.d_0009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