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머리말

일본 도쿄에 위치한 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이하 자료관)은 1928년 4월, 당시 국학원대학의 학생이었던 고 히구치 기오유키[樋口清之] 명예교수가 나라현[奈良縣]에서 수집한 고고학 자료 4천여 점을 기증한 것이 개설의 발단이다. 이후 오바 이와오[大場磐雄], 미야지 나오이치[宮地直一], 이와이 다카쓰구[岩井孝次] 등이 기증한 다양한 신앙 관련 자료와 고고학 관련 유물 등이 자료관에 소장되어 있다.주 001
각주 001)
加藤有次, 1999
닫기
자료관에는 일본 관련 유물 이외에도 한반도, 중국 관련 유물도 확인되는데 특히 고구려 유물은 주로 도쿠토미[徳富] 집안에서 수집하여 기증한 것으로 보인다.
자료관에 소장된 한반도 관련 유물은 2001년에 간행된 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요람(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要覧,이하 자료관 요람)에 사진과 함께 기본적인 정보가 간략하게 보고되었는데, 고구려 유물로서 자료관 요람에는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막새 18점과 암·수키와 16점, 총 34점이 등록되어 있다.주 002
각주 002)
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 2001
닫기
그러나 자료관 요람에서 고구려 유물로 보고한 자료에는 한대(漢代)기와, 낙랑(樂浪)기와, 고려(高麗)기와가 섞여 있었다. 또한 본문에서 소개할 장무이묘 출토의 명문전 3점은 중국전(塼)으로 분류되어 있었고, 고구려 유물로 추정되는 암키와 2점은 중국 한대의 기와로 분류되어 있는 등, 소장유물에 대한 재조사가 절실한 실정이었다. 이에 필자는 동북아역사재단의 일본 소재 고구려 유물에 관한 조사의 일환으로 자료관에 소장된 고구려 유물에 대한 재조사를 행한 결과 총 27점의 고구려 유물이 소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물은 대부분은 와전류인데 고구려 와전의 편년과 제작기법, 고구려 건물의 지붕형태와 이형기와의 사용 등에 관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출토지가 상세히 주기된 ‘寺’명(銘)의 명문기와도 있어서 고구려의 역사문제 해결에 관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료로서 그 중요성이 인식된다.
표 1_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 소장 고구려기와 목록
『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요람』 도판 번호자료명출토지수량소장번호
382수막새平壤土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平壤市)2K6217, 6218
383수막새平壤土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平壤市)2K6219, 6220
384수막새平壤土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平壤市)9K6221-6229
386암키와平壤土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平壤市)4K6233-6236
387암키와平壤土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平壤市)6K6237-6242
388수막새朝鮮高句麗(朝鮮以下不詳)1K6243
389수막새朝鮮高句麗(朝鮮以下不詳)2K6244, 6245
390암키와會寧·咸北·鐘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以下不詳)2K6246, 6247
392암키와會寧·咸北·鐘城(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以下不詳)3K6249-6251
396암키와(朝鮮以下不詳)1K6255
397수막새(朝鮮以下不詳)2K6256, 6257
본 조사는 요시다 케이지[吉田恵二] 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 관장의 혼쾌한 허락하에 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의 우치가와 다카시[内川隆志] 준교수, 가토 사토미[加藤里美] 강사의 협조를 얻어서 실시할 수 있었다. 유물의 실측은 필자가 했고 유물의 탁본은 우치가와 다카시 준교수가, 도면의 편집은 하세가와 나오[長谷川奈織] 씨가 담당해 주었다.

  • 각주 001)
    加藤有次, 1999 바로가기
  • 각주 002)
    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 2001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머리말 자료번호 : ku.d_0003_009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