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이도구문관애(二道溝門關隘)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중기
  • 위치
  • 유물번호
    S000126
  • 위치(출토지)
    通化市 鴨園鎭 鴨園村 二道溝門
  • 지역
    통화(通化市)
  • 유형
    성곽>관애
  • 형태사항
    전체 길이 약 250m. 잔고 0.3-0.7m. 
출토지
통화시 압원진 압원촌 이도구문 (通化市 鴨園鎮 鴨園村 二道溝門)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85년 5월통화시문물보사대
(通化市文物普査隊)
유적 발견, 현황 조사, 실측한 뒤 『通化市文物志』게재함.
구조특징
골짜기 입구에서 안쪽으로 300m 들어온 지점의 협곡에 土石混築으로 성벽을 축조. 현지 주민들은 이 성벽을 ‘高麗城子’라고 부름. 또 성벽 바깥 북쪽에 산속으로 통하는 좁은 길이 있는데, ‘高麗道子’라고 부름.
험준한 자연지세를 이용하여 골짜기 입구에 성벽을 축조하여 방어선을 형성하였음. 이 관애는 구조상 대체로 집안 관마장산성과 유사함. 1985년 조사 당시 관애 북단은 채석장으로 이용되어 깨진 돌들이 널려 있어 흔적만 겨우 볼 수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관애 북단의 산줄기 절반 이상이 채석되어 관애의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음. 그리고 채석장의 찌꺼기돌이 관애를 통과하는 도로 남쪽까지 뒤덮고 있어 이쪽에서도 관애의 흔적을 찾기 힘듦. 다만 이도구하 건너편의 남단 부분에서는 산줄기로 이어지는 관애의 외형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음.
역사적 의미
관애의 서북쪽 24㎞에 자안산성, 남쪽 34㎞ 거리에 石湖關隘가 있음. 石湖關隘도 二道溝門關隘처럼 토석혼축이며 특히 石湖關隘는 하류 쪽에 반원형 치와 塹壕가 있음. 따라서 二道溝門關隘나 石湖關隘는 大羅圈溝河를 거슬러 통구분지로 향하는 교통로를 차단하던 관애로 파악됨. 즉 二道溝門關隘는 石湖關隘와 함께 大羅圈溝河 일대에서 도성 외곽의 호형방어선을 구성한 것으로 추정됨. 다만 관애가 위치한 二道溝門 골짜기는 통구분지로 향하는 주요 교통로로 직접 연관되지 않으며, 그 서편의 大羅圈溝河 골짜기가 통구분지로 향하는 주요 교통로였음. 따라서 이도구문관애는 외형은 골짜기를 가로지른 關隘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제로는 성벽 안쪽의 골짜기를 군사시설로 활용하던 군사방어성의 성격을 띠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음. 이러한 현상은 집안의 灣溝老邊墻關隘나 七個頂子關隘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한편 342년 對前燕戰時의 北道와 관련시키는 견해도 있음[吉林省文物志編委會].
자연환경
관애는 大羅圈溝河 지류인 二道溝河 골짜기 입구에 위치함. 관애가 위치한 곳은 두 개의 높은 산이 서로 마주 보고 있고 두 산 사이에 계곡을 끼고 있음. 현지 주민들은 이 두 산 사이의 계곡을 二道溝門이라고 부름. 이 계곡은 좁고 길며, 계곡을 벗어나면 大羅圈溝河 유역의 개활지(하곡평지)가 펼쳐짐.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通化縣文物志』, 1987
· 吉林省地方志編纂委員會 編, 『吉林省志』 43(文物志), 吉林人民出版社, 1991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 文物出版社, 1992
· 李殿福(車勇杰·金仁經 譯), 『中國內의 高句麗遺蹟』, 學硏文化社, 1994
· 余昊奎, 「通化 建設山城」『高句麗 城』 Ⅰ(鴨綠江 中上流篇), 國防軍史硏究所, 1998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도구문관애(二道溝門關隘) 자료번호 : ku.d_0001_004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