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청동제품

2009년도 40발굴구역에서는 청동제 유물의 완형과 편들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2~4건축층에서 출토되었다.
청동제 바퀴 - 40구역에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4개의 청동제 바퀴가 출토되었는데, 그중 한 개는 10호 주거지에서 나왔다(11분층, В-17, -150 격자, №124). 방울의 직경은 1.4cm, 너비 0.5cm, 두께 0.3cm이다. 다른 2점은 11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한 점은 약간 파손되었고(11분층, В-20, -151 격자, №123), 완형(12분층, 격자, Г-19, -139 격자, №130)으로 직경은 1.3cm, 너비 0.5cm, 두께 0.3cm이다. 이외에 완형 한 점이 13호 주거지에서 출토되었는데, 직경 1.3cm, 너비 0.5cm, 두께는 0.3cm가량이다.
아마도 이 청동제품들은 바퀴 고리의 일부이거나 바퀴 장식품의 일부이다. 이러한 바퀴는 홍준어장의 발해 무덤 중에서도 출토된 것이다(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2009a), 그림 216 : 6, 7 ; 그림 188 : 2) .
청동제판 - 청동제판으로 보존상태가 아주 양호하다(1분층, Г-20 격자, 둑 제거 시 표토층 출토). 청동제판은 월계수잎 모양인데,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이고, 단면은 V자 모양이다. 길이는 3.1cm, 너비는 1.2~0.9cm이고, 두께는 0.2cm이다. 청동판의 이면 중앙에는 단면이 원형인 핀의 머리가 부착되었다. 잔존한 핀의 길이는 0.4cm, 두께는 0.2cm이다. 이러한 유물은 동경성 발굴에서 출토된 못의 머리와 유사하다(그림 298 : 8).
1호 수혈을 정리하는 중에 보존상태가 아주 좋은 청동제판을 3점 확인하였다. 한 점은 장방형(Б-15, -138 격자, №29)으로 길이 1.8cm, 너비 1.3cm, 두께 0.1cm이다. 판은 오른쪽으로 약간 굽은 형태이다. 가장자리의 길이는 0.7cm이다. 청동판의 표면에는 장방형의 구멍이 길이 1.1cm, 너비 0.4cm 정도인데, 청동판은 투르크 식의 모양으로, 발해유적의 발굴에서 많이 확인된다(그림 156 : 8, 9, 그림 192 : 1~3, 그림 15 6 : 2)
두 점은 반원형으로 거의 똑같은 형태(7분층, В-15격자, 수혈, -138, №36 ; 7분층, Б-16 격자, 수혈, -124, №33)이며 1호 수혈에서 출토되었다. 그중 한 점은 수혈의 바닥흙을 제거하는 가운데 출토된 것으로 크기는 1.4×1.4×0.3cm이다. 각 청동판은 이면에 단면 원형인 두 개의 핀이 부착되어 있으며, 길이 1cm 가량으로, 이 판에는 둥근 구멍이 있다. 이 유물은 발해유적에서 잘 알려진 유물이다.
청동걸이 - 10호 주거지에서 옹형토기의 내부에서 출토된 청동제로 보존상태가 아주 좋다(10분층, В-15-16, -179격자, №113). 이 유물은 얇은 타원형의 판으로 되어 있고. 2개의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판은 1.9×0.8×0.1cm, 하판은 1.8×0.6×0.1cm(하판의 보존상태가 상판에 비해서 좋지 않음)이다. 높이는 0.7cm 정도이다.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어떠한 유기질제 물질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가죽일 가능성이 높다.
유사한 유물은 이전의 크라스키노 성지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데 이렇게 34발굴구역의 6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철제 유물과 비슷하다(2007년 크라스키노 발굴 보고서, 그림 143 : 1). 홍준어장의 발해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중에는 비슷한 유물이 2점 있다. 홍준어장 출토의 유물은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철제 핀으로 고정되었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가죽 흔적이 남아 있다(黑龍江省文物考古研究所(2009a), 그림 203 : 8, 9).
펜던트 - 청동제 펜던트는 ‘Ф’ 형태로 11호 주거지 내의 상층(11분층, Г-19, -152 격자, №179) 내부토에서 확인되었다. 길이는 2.5cm, 너비 2cm, 두께 0.2~0.3cm 가량이다. 펜던트의 상부는 뾰족하고, 양쪽에서 뚫은 0.3cm 크기의 구멍이 있다. 펜던트의 아래쪽은 길이 0.8cm 정도만 잔존하는데, 여기에는 걸기 위한 구멍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사한 펜던트는 크라스키노 발해성의 1980년대 발굴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Государство Бохай(1994), 그림 18 : 21).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유물은 코르사코프스코예 무덤, 홍준어장 발해 무덤 등에서 확인되었다(Государство Бохай(1994); 黑龍江省文物考古研究所(2009a), 그림 92 : 2 ; 그림 82 : 15; 그림 216 : 8 ; 그림 68 : 1). 중국학자들은 이를 새(혹은 매)의 머리로 판단하기도 한다.
팔찌 - 청동제 팔찌조각이 13호 주거지에서 출토되었다(16분층, В-18, -170 격자, №152) 팔찌의 너비 0.7cm, 두께 0.1~0.2cm로 복원 직경은 6cm이다. 팔찌는 세 조각으로 나누어졌는데, 0.1~0.2cm 두께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볼록하게 솟아 있다.
청동판 - 2건축층과 관계된 8분층의 상층(8분층, Е-20, -127 격자, №78)을 제거하면서 청동판 조각이 출토되었는데, 아마도 청동제 끈이거나 청동 장신구의 일종으로 보인다. 이 청동판은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 잔존 최대길이는 2.5cm,최대너비는 1.1cm, 두께는 0.1cm이다.
청동제 돌기조각(?) - 12발굴구역의 2분층, Ж-3 격자에서 출토되었다(№16, -306). 길이 2.9cm, 너비 0.32~0.43cm, 두께 0.14~0.15cm로 양쪽 끝이 부러졌는데, 한쪽 끝은 갈수록 좁아진다. 몸통의 단면은 한쪽은 편평하고 한쪽은 불룩해서 볼록렌즈형이다.
금동제 방울 - 12발굴구역의 К-4 격자 6분층에서 출토되었다(№97, -328). 동체부 최대직경은 2.7~2.8cm, 수직직경은 2.75cm이다. 꼭지의 너비 0.18cm, 구멍의 너비 1~1.5mm, 끝의 너비 4mm이다. 동최대경 부분은 볼록하게 튀어나왔고,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멍이 있다. 그 상단에는 구멍의 흔적이 남아 있다. 뿐만 아니라 금을 입힌 흔적도 있다. 금박을 입힌 흔적은 없고, 이것보다 작은 크기의 방울이 크라스키노 성지 내의 34구역에서 출토된 바 있다.

참고문헌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2009a), 寧安虹鳟魚場渤海墓地1992~1995年度考古發掘報告(上下), 文物出版社.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2009b), 渤海上京城1998-2007年度考古調査發掘報告(全3册), 文物出版社.
Государство Бохай(698-926 гг.) и племена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М. : Наука 1994. -219 с.
(러시아 극동의 발해국가와 민족(1994))
동북아역사재단(2008), 『2007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발굴 보고서』.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청동제품 자료번호 : kr.d_0007_0030_001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