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물등, 풍파, 양림의 토번, 남조, 당과의 관계

물등 풍파 양림은 모두 동만(東蠻)이라 일컫는데, [당 현종] 천보(天寶) 연간(742~755)에 모두 봉작(封爵)을 받았다. 남조수주(嶲州)를 함락시키자, 마침내 토번(吐蕃)에 기속(羈屬)하였다. [당 덕종] 정원(貞元) 연간(785~804)에 다시 정성을 들여 복종을 약속하였는데, 물등의 대귀주 저숭(苴嵩)에게 공부단련사(邛部團練使)를 겸령하게 하고 장천군공(長川郡公)에 책봉하였다. 그가 죽고, 아들 저표리(苴驃離)가 어린 까닭에 저몽충(苴夢衝)이 대귀주가 되었는데, 여러 차례 토번에게 침략 당하였다. 양림(兩林)의 도대귀주(都大鬼主) 저나시(苴那時)위고(韋皋)에게 글을 보내, 군대를 빌어 토번을 공격하겠다고 하였다. 위고는 장수 유조채(劉朝彩)를 보내 동산도(銅山道)로 나가게 하고, 오명학(吳鳴鶴)은 청계관도(淸溪關道)주 001
각주 001)
淸溪關道: 成都에서 雲南 大理지역에 이르는 교통로 중의 하나. 淸溪關을 통과하였기 때문에, 청계관도라고 이름을 붙였다. 靑溪關이라고도 적는다. 청계관은 四川 漢源縣 西南과 甘洛縣 西北 交界에 위치한 樺槁林山 一帶를 가리킨다.
닫기
로 나가게 하였으며, 등영준(鄧英俊)은 정번책도(定蕃柵道)로 나가게 하여 대등성(臺登城)을 압박하게 하였다. 토번은 물러나 서공천(西貢川) 주 002
각주 002)
西貢川: 理塘河 하류 유역의 小金河 지역으로 추정된다.
닫기
에 방벽을 치고 높은 곳에 의지하여 군영을 만들었다. 저나시는 힘을 다하여 싸웠는데, 군대를 나누어 토번청해(靑海)납성(臘城) 두 절도군(節度軍)을 북곡(北谷)에서 크게 격파하였다. 청해병마사(靑海大兵馬使) 걸장차차(乞藏遮遮)와 납성병마사(臘城兵馬使) 실다양주(悉多楊朱), 절도(節度) 논동시(論東柴) 대장(大將) 논결돌리(論結突梨) 등이 모두 전사하였다. 사로잡은 농관(籠官)이 45인이고, 노획한 갑옷과 병장기가 1만이고, 소와 말이 그 만큼이었다. [또] 나아가 우총책(于葱柵)을 함락시켰다. 걸장차차(乞藏遮遮)상결찬(尙結贊)의 아들이라서 시체를 돌려주었다. 그 부하인 양공절도(囊貢節度) 소륜(蘇論) 등 100여 인이 곡(哭)을 하는데, 한 사람을 시체 왼쪽에 세우고 또 다른 사람이 그에게 묻기를, “상처가 아프십니까?”하자, 대답하기를, “그렇다.” 하니, 그 자리에서 바로 [시체에게] 약을 붙였다. 말하기를, “드시겠습니까?” 하자, “그렇다.” 하니, 즉석에서 음식을 내었다. 묻기를, “입으시겠습니까?” 하고, “그렇다.”라고 말하자, 즉석에서 갖옷을 입히도록 명(命)하였다. 또 묻기를 “돌아가시겠습니까?” 하고, “그렇다.”라고 하자, 말에 시체를 싣고 갔다. 조(詔)를 내려 저나시(苴那時)를 책봉하여 순정군왕(順政郡王)으로 삼고, 저몽충(苴夢衝)을 회화군왕(懷化郡王)으로 삼았으며, 풍파부락(豐琶部落) 대귀주(大鬼主) 표방(驃傍)은 화의군왕(和義郡王)으로 삼아, 인장과 포대(袍帶)를 주었다. 세 왕이 모두 입조하자, 인덕전(麟德殿)주 003
각주 003)
麟德殿: 大明宮 太液池 西편의 高地에 지어진 전각으로 唐代 皇帝가 群臣과 함께 연회를 즐기던 곳이다.
닫기
에서 연회를 베풀고 상을 주었는데, 등급대로 더하였다. 해마다 그 부(部)에 녹(祿)을 주었는데, 소금과 옷 그리고 비단으로 하였고, 여주(黎州)수주(嶲州) 두 주(州)의 관리가 가서 주었다. 산이 험하고 도적에게 습격을 받는 일이 많아서 하사하는 물건이 망실되자, 위고는 두 주(州)로 하여금 관(館)을 건축하게 하였다. 하사품이 있으면, 추장이 스스로 오도록 규정하고, 하사품을 주어 보냈다. 그러나 저몽충토번에 내부하고 남조(南詔)의 사행로(使行路)를 끊자, 위고는 수주총관 소외(蘇峞)를 보내 병사 300을 거느리고 가서, 몽충을 불러 비파천(琵琶川)에 이르게 하였다. 그 죄를 선고하여 죽이고, 그 족(族)을 나누어 6부(部)로 만들고 양기(樣棄)로 하여금 통령하게 하였다. 저표리(苴驃離)가 성장하자, 명을 내려 대귀주(大鬼主)로 삼았다. [풍파부락의 대귀주] 표방은 나이는 어리지만 용감하여, 여러 차례 군대를 내어 토번을 공격하였다. 토번이 샛길로 들어와 가옥과 부락을 불태워 하사받은 인장(印章)을 잃어버렸다. 위고가 그를 위하여 요청하여 다시 인장을 얻었다.

  • 각주 001)
    淸溪關道: 成都에서 雲南 大理지역에 이르는 교통로 중의 하나. 淸溪關을 통과하였기 때문에, 청계관도라고 이름을 붙였다. 靑溪關이라고도 적는다. 청계관은 四川 漢源縣 西南과 甘洛縣 西北 交界에 위치한 樺槁林山 一帶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2)
    西貢川: 理塘河 하류 유역의 小金河 지역으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麟德殿: 大明宮 太液池 西편의 高地에 지어진 전각으로 唐代 皇帝가 群臣과 함께 연회를 즐기던 곳이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당 현종, 당 덕종, 저숭(苴嵩), 저표리(苴驃離), 저몽충(苴夢衝), 저나시(苴那時), 위고(韋皋), 위고, 유조채(劉朝彩), 오명학(吳鳴鶴), 등영준(鄧英俊), 저나시, 걸장차차(乞藏遮遮), 실다양주(悉多楊朱), 논동시(論東柴), 논결돌리(論結突梨), 걸장차차(乞藏遮遮), 상결찬(尙結贊), 소륜(蘇論), 저나시(苴那時), 저몽충(苴夢衝), 표방(驃傍), 위고, 저몽충, 위고, 소외(蘇峞), 몽충, 양기(樣棄, 저표리(苴驃離), 표방, 위고
지명
남조, 수주(嶲州), 토번(吐蕃), 토번, 토번, 대등성(臺登城), 토번, 서공천(西貢川), 토번, 청해(靑海), 납성(臘城), 우총책(于葱柵), 여주(黎州), 수주(嶲州), 토번, 남조(南詔), 비파천(琵琶川), 토번, 토번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물등, 풍파, 양림의 토번, 남조, 당과의 관계 자료번호 : jo.k_0017_0222_1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