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環王의 지리적 위치와 습속, 복식

  • 국가
    환왕(環王)
환왕(環王)은 본디 임읍(林邑) 주 001
각주 001)
林邑: 럼업(Linyi, 훗날의 참파(Champa)). 참(Cham)족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나라로서 언제 세웠는지 알 수 없으나, 2세기 말 區達이라는 사람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그 주민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계로 특히 항해술이 뛰어났다고 하며, 베트남인들과는 대조적으로 인도문화를 수용하여 인도식 국가를 건설하고 인도의 종교를 신봉했다고 한다(유인선, 2002: 61). 중국 기록에서 말하는 임읍의 초기 범주는 현재 중부 베트남의 북부 대체로 북위 18도선에서 16도선에 이르는 지역 즉, Quang Binh省, Quang Tri省, Thua Thien省 지역과 일치한다. 그러나 이 지역은 3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서 남진하는 中國, 그 뒤 후계자인 大越과의 항쟁이 지속된 땅이었고, 13세기 이후에는 占城(참파)의 지배를 떠났다. 현재 베트남 중부의 대도시 다낭(Dannang)의 남쪽 호이안(Hoi an) 항에 흘러드는 뚜와봉강의 상류 챠끼에우(Tra Kieu) 분지를 중심으로 북쪽의 미손(Mison), 남쪽의 동종(Dong Duong) 3대 유적군을 포함하는 지역이 8세기까지의 林邑國, 10세기의 占城國의 거점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중국의 기록자들은 758년 이후 임읍이라는 이름의 사용을 중지하였고, 875년부터 占城(Chanch’eng)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占城은 참파의 도시로 이해되는 범어 Champapura의 음역으로 추정된다고 한다(Nicholas Tarling, 1992: 154~155; 石井米雄, 1999: 56~58).『舊唐書』(中華書局本, 5269쪽)에는 林邑國으로 되어 있다.
닫기
이었다. 한편으로는 점불로(占不勞)라고 하고, 또 점파(占婆)라고도 한다. 바로 교주(交州) 주 002
각주 002)
交州: 後漢 獻帝 建安 8년(203)에 交州刺史를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廣信縣(지금의 廣西省 梧州市)이었다. 삼국 吳나라가 交州와 廣州로 나누었는데, 이 때 교주의 관할지역은 지금의 廣西省 欽州지구·廣東省 雷州半島·베트남의 北部와 中部 일대였다. 수나라 때 폐지하였다가 唐 高祖 武德 5년(622)에 다시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交趾縣으로 지금의 베트남 하노이(河內)市 서북쪽에 해당한다.
닫기
의 남쪽이고, 바닷길로 3천 리이다.주 003
각주 003)
『舊唐書』卷197에는 交州 남쪽 千餘里에 있다고 되어 있다. 아마도 바닷길과 육로의 차이로 보인다.
닫기
땅의 넓이는 동서로 300리(里) 남짓이고, 남북으로 천리(千里)이다.주 004
각주 004)
『舊唐書』卷197에는 세로(南北)의 길이가 數 千里라고 되어 있다.
닫기
서쪽으로는 진랍(眞臘)무온산(霧溫山) 주 005
각주 005)
霧溫山: 霧溫嶺이라고도 하는데, 현재 베트남의 僑諾山이다. 黃盛璋은 「文單國-老撾歷史地理新探」(『歷史硏究』1962-5)이라는 논문에서 霧溫嶺을 河靜省(Tỉnh Hà Tĩnh)의 嬌女嶺으로 비정한 바 있다고 한다(黎道綱, 2000-2: 58).
닫기
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분랑타주(奔浪陀州)에 닿아있다. 그 남쪽 대포(大浦)주 006
각주 006)
大浦: 大浦口를 의미하며, 오늘날 베트남의 廣南(Quang Nam)省과 峴港(Danang)市 北部의 大占海口를 가리킨다.
닫기
에는 다섯 개의 동주(銅柱)가 있고, 산 모양이 마치 한쪽으로 쏠린 산개(傘蓋) 같아서, 서쪽은 겹겹이 바위 봉우리이고 동쪽은 큰 바다에 면해있다. [동주는] 후한(後漢) 대의 마원(馬援) 주 007
각주 007)
馬援(전14~후49년): 字는 文淵이며, 扶風 茂陵(현재의 陝西省 興平 동북) 사람이다. 후한대 유명한 군사가이다. 戰功으로 인하여 관이 伏波將軍에 이르렀으며, 新息侯에 봉해졌다. 교지의 二徵의 난을 진압한 것과 ‘馬援銅柱’로 유명하다. 본디 그 선조 趙奢는 趙의 장수였는데, 號를 馬服君이라 한 까닭에 자손들이 그 호를 따라 氏를 삼은 것이라 한다. 援의 세 형 況, 餘, 員 모두 재능이 있어서 王莽時에 모두 二千石의 관직에 올랐다고 한다.『後漢書』에 입전되어 있다(『後漢書』卷24).
닫기
이 세운 것이다. 또 서도이(西屠夷)라는 종족이 있는데, 대체로 마원이 [중국으로] 돌아갈 때 남아서 돌아가지 않은 자들이다. 겨우 10호였으나, 말(末)에 [자손이] 번성하여 3백 호에 이르렀다. 모두 성(姓)이 마(馬)인데, 민간에서는 그들이 우거(寓居)하는 까닭에 ‘마류인(馬留人)’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임읍(林邑)과 더불어 당(唐)의 남쪽 경계를 나누고 있다. 그 땅은 겨울에도 따뜻하고, 안개와 비가 많다. 그리고 호박(琥珀) 성성수(猩猩獸)주 008
각주 008)
猩猩獸: 오랑우탄. 혹은 중국에서 상상의 동물. 원숭이와 비슷하여 인류에 가장 가깝고, 소리는 어린애의 울음소리와 같으며, 사람의 말을 들을 줄 알고 술을 즐긴다고 함. 南蠻傳의 편자가 실제로 존재하는 동물인 오랑우탄을 말한 것인지, 아니면 상상 속의 동물이 이곳에 산다는 소문에 근거하여 이렇게 기록하였는지는 확정할 수 없다.
닫기
결료조(結遼鳥)주 009
각주 009)
結遼鳥: 구관조를 지칭한다. 了哥나 吉了로 부르기도 한다.
닫기
따위가 난다. 2월이 한해의 첫 달이며, 벼는 한 해에 두 번 익는다. 빈랑(檳榔)나무주 010
각주 010)
檳榔: 종려과에 속하며 열대 지방에 나는 상록 교목으로 줄기는 가지 없이 곧게 자란다. 국어사전에 따르면,〈식물〉종려나뭇과의 상록 교목으로 높이는 25미터 정도이다. 열매는 둥글거나 타원형 또는 긴 것이 있고, 누런색이나 붉은색이며 기호품으로 씹거나 염료로 쓰이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인도, 말레이시아에서 과수로 재배한다.
닫기
열매의 즙을 채취하여 술을 담그고, 야자 잎으로 자리를 만든다. 풍속이 흉포하고 사나우며, 전투에 용감하다. 사향(麝香)을 몸에 바르는데, 하루에 두 번 바르고 두 번 씻는다. 웃어른을 뵐 때는 손과 발을 모으고 머리가 땅에 닿도록 숙여 절을 한다.주 011
각주 011)
『舊唐書』卷197에는 이 문장에 이어서 ‘시집가고 장가드는 法은 동성을 취하는 것도 허용한다.’라는 글이 있다.
닫기
문자(文字)를 사용한다. 불도(佛道)를 좋아하여 금과 은으로 불상(佛像)을 만드는데, 큰 것은 간혹 열 명이 둘러쌀 만큼 컸다. 왕(王)을 양포포(陽蒲逋)라고 부르며, 왕의 처(妻)는 타양아웅(陀陽阿熊)이라 부른다. 태자(太子)는 아장포(阿長逋)라고 하고, 재상(宰相)은 파만지(婆漫地)라고 한다. 왕이 거처하는 곳을 점성(占城)이라 부르고, 다른 거주지를 제국(齊國) 또는 봉피세(蓬皮勢)라고 한다. 왕은 하얀 색 모포[白㲲]주 012
각주 012)
白㲲布: 고대에 제작되었던 직물의 하나. ‘白㲲’은 흰 터럭으로 만든 직물이라는 자의가 내포된 이름이 아니고, 터키어의 면직물을 의미하는 ‘Pakhta’의 한자어 음역 또는 波斯語의 면직물을 나타내는 ‘Bag’tau’나 ‘Bug’tau’의 음역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어서 면직물의 한 종류로 보고 있다고 한다. 고창국(高昌國)에 관한 기록에는 누에고치와 같은 草實을 白疊子라고 하며, 그것으로 포를 만든다고 기록되어 있다(『梁書』: 811쪽). 뒤에 나오는 본문 「南蠻 西南蠻傳」〈婆利國〉조에서는 고패초(古貝草)의 꽃으로 만드는데, 성긴 것은 고패라고 하고 섬세한 것은 백첩이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舊唐書』: 5271쪽).
닫기
로 만든 옷을 입는데, 고패(古貝)주 013
각주 013)
古貝: 中國 古代에 木棉 혹은 草棉을 古貝라고 불렀다. 백과사전에 따르면, 쌍떡잎식물 아욱목 목화나무과의 교목으로 목화나무라고도 한다. 인도에서 자바에 걸쳐 자라며 케이폭나무와 혼돈되기도 한다. 따라서 레드실크코튼(red silk cotton tree)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2cm, 지름 5cm로 성숙하면 5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달걀모양의 구형이며 솜털로 덮여 있다.『舊唐書』卷197 「婆利傳」에 “古貝草가 있는데 그 꽃을 모아서 布를 만들고, 성기게 짠 것을 古貝라 하고, 조밀하게 짠 것을 白㲲이라 불렀다.”라고 하였다.
닫기
를 비스듬하게 팔에 두른다. 또 금과 구슬로 장식한 갓끈을 하며, 두 갈래로 갈라땋은 머리에 금화관(金華冠)을 쓰는데 마치 장포관(章甫冠)주 014
각주 014)
章甫冠: 중국 殷나라 이래로 써 온 冠의 하나. 孔子가 이것을 썼으므로 후세에 와서 儒者들이 쓰는 冠이 되었다.
닫기
같이 생겼다. [왕의] 처는 조하포(朝霞布)주 015
각주 015)
朝霞布: 朝霞는 아침노을이라는 뜻으로 朝霞布는 아침노을 빛깔로 염색한 布를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닫기
로 만든 옷을 입고, 고패포(古貝布)로 만든 짧은치마를 입었으며, 관(冠)과 갓끈은 왕과 같았다. 왕의 호위병은 5천이다. 싸울 때는 코끼리를 타며,주 016
각주 016)
『舊唐書』卷197에는 이 문장 다음에 弩와 투척용 短槍[䂎]을 사용할 줄 안다는 내용이 있다.
닫기
등나무로 갑옷을 만들어 입고, 대나무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쓴다. 코끼리 천 마리와 말 400 마리를 거느리는데, 전대(前隊)와 후대(後隊)로 나눈다. 형벌은 정해져 있지 않은데, 죄를 지은 자가 있으면 코끼리로 하여금 밟게 한다. 혹은 불로산(不勞山) 주 017
각주 017)
不勞山: 海島의 이름으로 占不勞山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베트남의 峴港 동남쪽 占婆島라고 한다(趙文潤, 2004). Culao-Cham, Pulo-Cham(藤田豊八, 1943: 5).
닫기
에 보내어 스스로 죽을 수 있는 기회를 주기도 한다.

  • 각주 001)
    林邑: 럼업(Linyi, 훗날의 참파(Champa)). 참(Cham)족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나라로서 언제 세웠는지 알 수 없으나, 2세기 말 區達이라는 사람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그 주민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계로 특히 항해술이 뛰어났다고 하며, 베트남인들과는 대조적으로 인도문화를 수용하여 인도식 국가를 건설하고 인도의 종교를 신봉했다고 한다(유인선, 2002: 61). 중국 기록에서 말하는 임읍의 초기 범주는 현재 중부 베트남의 북부 대체로 북위 18도선에서 16도선에 이르는 지역 즉, Quang Binh省, Quang Tri省, Thua Thien省 지역과 일치한다. 그러나 이 지역은 3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서 남진하는 中國, 그 뒤 후계자인 大越과의 항쟁이 지속된 땅이었고, 13세기 이후에는 占城(참파)의 지배를 떠났다. 현재 베트남 중부의 대도시 다낭(Dannang)의 남쪽 호이안(Hoi an) 항에 흘러드는 뚜와봉강의 상류 챠끼에우(Tra Kieu) 분지를 중심으로 북쪽의 미손(Mison), 남쪽의 동종(Dong Duong) 3대 유적군을 포함하는 지역이 8세기까지의 林邑國, 10세기의 占城國의 거점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중국의 기록자들은 758년 이후 임읍이라는 이름의 사용을 중지하였고, 875년부터 占城(Chanch’eng)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占城은 참파의 도시로 이해되는 범어 Champapura의 음역으로 추정된다고 한다(Nicholas Tarling, 1992: 154~155; 石井米雄, 1999: 56~58).『舊唐書』(中華書局本, 5269쪽)에는 林邑國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交州: 後漢 獻帝 建安 8년(203)에 交州刺史를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廣信縣(지금의 廣西省 梧州市)이었다. 삼국 吳나라가 交州와 廣州로 나누었는데, 이 때 교주의 관할지역은 지금의 廣西省 欽州지구·廣東省 雷州半島·베트남의 北部와 中部 일대였다. 수나라 때 폐지하였다가 唐 高祖 武德 5년(622)에 다시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交趾縣으로 지금의 베트남 하노이(河內)市 서북쪽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舊唐書』卷197에는 交州 남쪽 千餘里에 있다고 되어 있다. 아마도 바닷길과 육로의 차이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4)
    『舊唐書』卷197에는 세로(南北)의 길이가 數 千里라고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霧溫山: 霧溫嶺이라고도 하는데, 현재 베트남의 僑諾山이다. 黃盛璋은 「文單國-老撾歷史地理新探」(『歷史硏究』1962-5)이라는 논문에서 霧溫嶺을 河靜省(Tỉnh Hà Tĩnh)의 嬌女嶺으로 비정한 바 있다고 한다(黎道綱, 2000-2: 58).
     바로가기
  • 각주 006)
    大浦: 大浦口를 의미하며, 오늘날 베트남의 廣南(Quang Nam)省과 峴港(Danang)市 北部의 大占海口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7)
    馬援(전14~후49년): 字는 文淵이며, 扶風 茂陵(현재의 陝西省 興平 동북) 사람이다. 후한대 유명한 군사가이다. 戰功으로 인하여 관이 伏波將軍에 이르렀으며, 新息侯에 봉해졌다. 교지의 二徵의 난을 진압한 것과 ‘馬援銅柱’로 유명하다. 본디 그 선조 趙奢는 趙의 장수였는데, 號를 馬服君이라 한 까닭에 자손들이 그 호를 따라 氏를 삼은 것이라 한다. 援의 세 형 況, 餘, 員 모두 재능이 있어서 王莽時에 모두 二千石의 관직에 올랐다고 한다.『後漢書』에 입전되어 있다(『後漢書』卷24).
     바로가기
  • 각주 008)
    猩猩獸: 오랑우탄. 혹은 중국에서 상상의 동물. 원숭이와 비슷하여 인류에 가장 가깝고, 소리는 어린애의 울음소리와 같으며, 사람의 말을 들을 줄 알고 술을 즐긴다고 함. 南蠻傳의 편자가 실제로 존재하는 동물인 오랑우탄을 말한 것인지, 아니면 상상 속의 동물이 이곳에 산다는 소문에 근거하여 이렇게 기록하였는지는 확정할 수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9)
    結遼鳥: 구관조를 지칭한다. 了哥나 吉了로 부르기도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0)
    檳榔: 종려과에 속하며 열대 지방에 나는 상록 교목으로 줄기는 가지 없이 곧게 자란다. 국어사전에 따르면,〈식물〉종려나뭇과의 상록 교목으로 높이는 25미터 정도이다. 열매는 둥글거나 타원형 또는 긴 것이 있고, 누런색이나 붉은색이며 기호품으로 씹거나 염료로 쓰이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인도, 말레이시아에서 과수로 재배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1)
    『舊唐書』卷197에는 이 문장에 이어서 ‘시집가고 장가드는 法은 동성을 취하는 것도 허용한다.’라는 글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白㲲布: 고대에 제작되었던 직물의 하나. ‘白㲲’은 흰 터럭으로 만든 직물이라는 자의가 내포된 이름이 아니고, 터키어의 면직물을 의미하는 ‘Pakhta’의 한자어 음역 또는 波斯語의 면직물을 나타내는 ‘Bag’tau’나 ‘Bug’tau’의 음역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어서 면직물의 한 종류로 보고 있다고 한다. 고창국(高昌國)에 관한 기록에는 누에고치와 같은 草實을 白疊子라고 하며, 그것으로 포를 만든다고 기록되어 있다(『梁書』: 811쪽). 뒤에 나오는 본문 「南蠻 西南蠻傳」〈婆利國〉조에서는 고패초(古貝草)의 꽃으로 만드는데, 성긴 것은 고패라고 하고 섬세한 것은 백첩이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舊唐書』: 5271쪽).
     바로가기
  • 각주 013)
    古貝: 中國 古代에 木棉 혹은 草棉을 古貝라고 불렀다. 백과사전에 따르면, 쌍떡잎식물 아욱목 목화나무과의 교목으로 목화나무라고도 한다. 인도에서 자바에 걸쳐 자라며 케이폭나무와 혼돈되기도 한다. 따라서 레드실크코튼(red silk cotton tree)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2cm, 지름 5cm로 성숙하면 5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달걀모양의 구형이며 솜털로 덮여 있다.『舊唐書』卷197 「婆利傳」에 “古貝草가 있는데 그 꽃을 모아서 布를 만들고, 성기게 짠 것을 古貝라 하고, 조밀하게 짠 것을 白㲲이라 불렀다.”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4)
    章甫冠: 중국 殷나라 이래로 써 온 冠의 하나. 孔子가 이것을 썼으므로 후세에 와서 儒者들이 쓰는 冠이 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5)
    朝霞布: 朝霞는 아침노을이라는 뜻으로 朝霞布는 아침노을 빛깔로 염색한 布를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舊唐書』卷197에는 이 문장 다음에 弩와 투척용 短槍[䂎]을 사용할 줄 안다는 내용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不勞山: 海島의 이름으로 占不勞山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베트남의 峴港 동남쪽 占婆島라고 한다(趙文潤, 2004). Culao-Cham, Pulo-Cham(藤田豊八, 1943: 5).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마원(馬援), 마원
지명
환왕(環王), 임읍(林邑), 교주(交州), 진랍(眞臘), 무온산(霧溫山), 분랑타주(奔浪陀州), 후한(後漢), , , 임읍(林邑), 당(唐), 불로산(不勞山)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環王의 지리적 위치와 습속, 복식 자료번호 : jo.k_0017_0222_0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