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개황(開皇) 20년 왜왕이 사신을 궁으로 보내니 황제가 그 풍속을 묻자 자세히 이르다

  • 국가
    왜국(倭國)
진(陳)이 평정되고, 개황 20년(600)에 이르러, 왜왕은 성이 아매(阿毎)주 001
각주 001)
阿每는 일본어로 ‘아메’ 즉 ‘天’을 뜻한다.
닫기
이고, 자(字)는 다리사비고(多利思比孤) 주 002
각주 002)
多利思比孤: 존귀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존귀하다”는 뜻의 多利思(다리시)와 남성에 대한 존칭인 比孤(히코)가 결합된 말이다. 왜왕의 칭호를 성과 이름으로 나눈 것은 중국적인 발상이다. 왜왕은 성이 없으며, ‘阿每’와 ‘多利思比孤’가 모두 왜왕에 대한 존칭일 뿐이다. ‘아메노타라시히코’는 ‘天足彦’ 혹은 ‘天帶彦’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하늘에서 내려온 존귀한 존재’라는 뜻이다. 실제로 7세기 초에는 舒明天皇의 일본식 시호인 息長足日廣額(오키나가타라시히히로누카)이나 皇極天皇의 시호인 天豊財中日足姬(아메토요타카라이카시히타라시히메)의 예와 같이 ‘아메’ 나 ‘타라시’가 들어간 왜왕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景行天皇과 같이 전설적인 존재로 여겨지는 경우에도 大足彦忍大別(오오타라시히코오시로와케)라는 시호를 가지고 있다.
닫기
이며, 호(號)는 아배계미(阿輩雞彌) 주 003
각주 003)
阿輩雞彌: 일본어로는 ‘오호키미’ 즉 ‘大君’ 혹은 ‘大王’을 나타내는 말이다.
닫기
라고 하였는데, 사신주 004
각주 004)
이때 수나라에 파견된 사신은 小野臣妹子(오노노오미이모코, 중국식 이름은 蘇因高)이다(『日本書紀』 권22 「推古紀」: 193).
닫기
을 보내어 궁을 찾아왔다. 황제[上]는 담당 관사로 하여금 그 풍속을 묻도록 하니, 사신은 말하기를 왜왕은 하늘을 형으로 여기고, 해를 아우로 여기며, 동이 틀 때 나와서 정사를 행하는데, 다리를 틀고 앉으며, 해가 뜨면 곧 사무를 보기를 마치며, 말하기를 나의 아우에게 맡긴다고 한다고 하였다. 문제가 말하기를, “이는 크게 의리가 없는 것이다.”라고 하고, 이에 가르쳐 고치도록 하였다. 왕의 처는 계미(鷄彌) 주 005
각주 005)
雞彌: 일본어로는 ‘키미’ 즉 君·王을 뜻하는 말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 시기의 王后는 ‘키사키’라고 불렀다.
닫기
라고 부르며, 후궁에는 여자가 600∼700인이 있다. 태자는 이가미다불리(利歌彌多弗利) 주 006
각주 006)
음은 ‘리카미타호리’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고대 일본어에서 첫 음으로 ‘라’행은 사용되지 않으므로 의문이 있다. 『翰苑』에서 왕의 장자를 和哥彌多弗利(와카미타호리)라고 한다고 하였으므로, 和가 利로 잘못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황실의 혈통, 황족을 뜻하는 ‘와칸도호리’의 원형으로 생각된다.
닫기
라고 부른다. 성곽은 없으며, 내관(内官)에는 12등급이 있는데,주 007
각주 007)
聖德太子가 제정하였다는 관위 12계를 말한다. 원래는 德仁禮信義智의 순서로 배열한 것인데(大德 小德 大仁 小仁 大禮 小禮 大信 小信 大義 小義 大智 小智의 12계), 중국이 생각하는 五常의 仁義禮智信이 옳다고 여겨 순서를 바꾸어 놓은 것이다.
닫기
첫 번째를 대덕(大德), 다음을 소덕(小德), 다음을 대인(大仁), 다음을 소인(小仁), 다음을 대의(大義), 다음을 소의(小義), 다음을 대례(大禮), 다음을 소례(小禮), 다음을 대지(大智), 다음을 소지(小智), 다음을 대신(大信), 다음을 소신(小信)이라고 하며, 그 인원을 정해진 수가 없다.주 008
각주 008)
기술의 순서로 보아서는 600년에 파견된 왜의 사신을 통해서 관위를 알게 된 것으로 보이는데, 倭에서 12계 관위가 정해진 것은 603년의 일이다.
닫기
군니(軍尼)주 009
각주 009)
軍尼: ‘구니[國]’의 音寫로 보인다. 그러나 ‘구니’는 일정한 지역, 행정단위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원래 행정관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당시에 ‘구니’를 지배한 사람은 ‘구니노미야쯔코[國造]’라고 하였다. 『先代舊事本紀』라는 문헌에서는 國造가 144인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隋書』의 ‘구니’는 國造를 뜻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닫기
가 120인이 있는데, 중국의 지방장관[牧宰]과 같다. 80호마다 한 명의 이니익(伊尼翼)주 010
각주 010)
伊尼翼: 일본 고대의 지방관직명으로 稻置[이나기]의 音寫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翼’은 ‘冀’의 잘못으로 볼 수 있다. 稻置에 대해서는 왕실의 직할령을 관리하는 관직으로 보는 설과 國의 하위 행정단위인 縣의 관직명으로 보는 설로 나누어져 있다. 『日本書紀』 成務天皇 5년조에 의하면, “국군에 조장을 세우고, 현읍에 稻置를 두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는 후대의 지식에 근거한 윤색으로 보인다.
닫기
을 두는데, 지금의 이장(里長)과 같다. 10이니익이 한 군니에 속한다. 그 복식은 남자는 치마[裙]와 저고리[襦]를 입으며, 그 소매는 작고 짧으며, 신발은 짚신처럼 생겼는데, 그 위에 옷칠을 하였으며, 다리에 묶는다. 일반 사람들은 대부분 맨발이고, 금은을 장식으로 사용할 수 없다. 과거에는 횡으로 긴 천으로 옷을 삼았는데, 묶어서 서로 이었으며 꿰매지 않았고, 머리는 관을 쓰지 않으며, 단지 양쪽 귀 위로 머리를 늘어뜨렸다. 수나라에 이르러, 그 나라 왕이 비로소 관을 정하였는데, 비단[錦采]으로 만들었고, 금은으로 꽃모양을 만들어 장식하였다. 부인들은 뒤로 머리를 묶으며, 또한 치마와 저고리를 입는데, 치마에는 모두 테두리가 있다. 가는 대나무를 모아서 빗을 만든다. 풀을 엮어서 자리를 만드는데, 여러 가지 가죽으로 거죽을 삼고, 테두리는 무늬가 있는 가죽을 쓴다. 활, 화살, 칼, 창, 쇠뇌, 작은 창[䂎], 도끼가 있으며, 옷칠을 한 가죽으로 갑옷을 만들며,주 011
각주 011)
가죽으로 만든 갑옷 이외에도 쇠로 만든 갑옷에 칠을 한 경우도 있다. 고분에서 출토되는 埴輪에도 옷칠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닫기
뼈로 명적을 만든다. 비록 무기가 있으나, 서로 공격하여 싸우지 않는다.

  • 각주 001)
    阿每는 일본어로 ‘아메’ 즉 ‘天’을 뜻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多利思比孤: 존귀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존귀하다”는 뜻의 多利思(다리시)와 남성에 대한 존칭인 比孤(히코)가 결합된 말이다. 왜왕의 칭호를 성과 이름으로 나눈 것은 중국적인 발상이다. 왜왕은 성이 없으며, ‘阿每’와 ‘多利思比孤’가 모두 왜왕에 대한 존칭일 뿐이다. ‘아메노타라시히코’는 ‘天足彦’ 혹은 ‘天帶彦’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하늘에서 내려온 존귀한 존재’라는 뜻이다. 실제로 7세기 초에는 舒明天皇의 일본식 시호인 息長足日廣額(오키나가타라시히히로누카)이나 皇極天皇의 시호인 天豊財中日足姬(아메토요타카라이카시히타라시히메)의 예와 같이 ‘아메’ 나 ‘타라시’가 들어간 왜왕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景行天皇과 같이 전설적인 존재로 여겨지는 경우에도 大足彦忍大別(오오타라시히코오시로와케)라는 시호를 가지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阿輩雞彌: 일본어로는 ‘오호키미’ 즉 ‘大君’ 혹은 ‘大王’을 나타내는 말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이때 수나라에 파견된 사신은 小野臣妹子(오노노오미이모코, 중국식 이름은 蘇因高)이다(『日本書紀』 권22 「推古紀」: 193).
     바로가기
  • 각주 005)
    雞彌: 일본어로는 ‘키미’ 즉 君·王을 뜻하는 말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 시기의 王后는 ‘키사키’라고 불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음은 ‘리카미타호리’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고대 일본어에서 첫 음으로 ‘라’행은 사용되지 않으므로 의문이 있다. 『翰苑』에서 왕의 장자를 和哥彌多弗利(와카미타호리)라고 한다고 하였으므로, 和가 利로 잘못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황실의 혈통, 황족을 뜻하는 ‘와칸도호리’의 원형으로 생각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7)
    聖德太子가 제정하였다는 관위 12계를 말한다. 원래는 德仁禮信義智의 순서로 배열한 것인데(大德 小德 大仁 小仁 大禮 小禮 大信 小信 大義 小義 大智 小智의 12계), 중국이 생각하는 五常의 仁義禮智信이 옳다고 여겨 순서를 바꾸어 놓은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8)
    기술의 순서로 보아서는 600년에 파견된 왜의 사신을 통해서 관위를 알게 된 것으로 보이는데, 倭에서 12계 관위가 정해진 것은 603년의 일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9)
    軍尼: ‘구니[國]’의 音寫로 보인다. 그러나 ‘구니’는 일정한 지역, 행정단위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원래 행정관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당시에 ‘구니’를 지배한 사람은 ‘구니노미야쯔코[國造]’라고 하였다. 『先代舊事本紀』라는 문헌에서는 國造가 144인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隋書』의 ‘구니’는 國造를 뜻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0)
    伊尼翼: 일본 고대의 지방관직명으로 稻置[이나기]의 音寫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翼’은 ‘冀’의 잘못으로 볼 수 있다. 稻置에 대해서는 왕실의 직할령을 관리하는 관직으로 보는 설과 國의 하위 행정단위인 縣의 관직명으로 보는 설로 나누어져 있다. 『日本書紀』 成務天皇 5년조에 의하면, “국군에 조장을 세우고, 현읍에 稻置를 두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는 후대의 지식에 근거한 윤색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11)
    가죽으로 만든 갑옷 이외에도 쇠로 만든 갑옷에 칠을 한 경우도 있다. 고분에서 출토되는 埴輪에도 옷칠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다리사비고(多利思比孤), 아배계미(阿輩雞彌), 문제, 계미(鷄彌), 이가미다불리(利歌彌多弗利)
지명
진(陳), 중국, 수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개황(開皇) 20년 왜왕이 사신을 궁으로 보내니 황제가 그 풍속을 묻자 자세히 이르다 자료번호 : jo.k_0015_0094_009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