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와 도기선우(屠耆單于) 사이에 내분이 발생 함

  • 국가
    흉노(匈奴)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는 [선우]정(單于庭)으로 돌아가고 몇 개월이 지난 뒤, 전쟁을 중지하고 [병사들을] 각자 고향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그리고 민간에 있던 자신의 형 호도오사(呼屠吾斯)를 불러들여 좌록리왕(左谷蠡王)주 001
각주 001)
左谷蠡王 : 匈奴의 官號로 左谷蠡라고도 하는데, ‘좌록리왕’이라고 읽는다. 左․右賢王 다음가는 지위로 지방에서 군사와 행정을 관리하는 최고 관리들의 명칭이다. 賢王과 谷蠡王은 單于로부터 分封을 받아 각자의 영지를 갖는다. 匈奴의 통치체제는 5부로 구성되는데, 單于庭을 중심으로 동남부에는 左賢王, 동북부에는 左谷蠡王, 서남부에는 右賢王, 서북부에는 右谷蠡王의 영지가 있었다. 주로 單于의 子弟들이 그 자리를 맡았다. 그 가운데 左賢王은 차기 單于를 계승할 사람인 太子가 담당하였으며 左屠耆王이라고도 불렀다. 이들 최고관리들은 單于를 우두머리로 하는 최고급 정치 평의회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선우는 제국을 통치하였으나 사실상 대신들이 각자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통치하였다(디코스모, 2005 : 240).
닫기
으로 세웠다. 사람을 시켜 우현왕(右賢王)주 002
각주 002)
右賢王 : 匈奴의 官號이다. 匈奴에서는 ‘賢’을 ‘屠耆’라고 칭하기 때문에, ‘右屠耆王’이라고도 부른다. 左賢王과 짝을 이루며 그 지위가 높다. 右賢王의 영지는 서쪽에 위치하고 匈奴의 안에서 그 영역이 가장 넓은 國 가운데 하나이다.
닫기
의 귀인(貴人)들에게, 그들이 우현왕을 죽여주길 원한다고 하였다. 그해주 003
각주 003)
宣帝 神爵 4년(전58)이다.
닫기
겨울 도륭기(都隆奇) 주 004
각주 004)
都隆奇 : 匈奴의 貴族이다. 虛閭權渠單于의 顓渠 閼氏의 동생이다. 宣帝 神爵 2년(전60) 虛閭權渠單于가 사망하자 都隆奇는 모의하여 右賢王 屠耆堂을 握衍朐鞮單于로 세우고 그의 신임을 받았다. 神爵 4년 握衍朐鞮單于가 虛閭權渠單于의 아들인 呼韓邪單于에게 격파되자, 都隆奇는 右賢王部로 도주하여 다시 屠耆單于를 세웠다.
닫기
는 우현왕과 함께 일축왕(日逐王) 박서당(薄胥堂)도기선우(屠耆單于) 주 005
각주 005)
屠耆單于 : 匈奴 선우로 이름은 薄胥堂이다. 宣帝 시기 握衍胊鞮單于가 재위할 때, 薄胥堂은 선우의 從兄으로 日逐王에 임명되었다. 握衍朐鞮單于가 죽은 뒤, 右賢王과 左大且渠 都隆奇가 함께 그를 屠耆單于로 옹립하여 호한야선우와 대립하였으나 나중에 呼韓邪單于에게 패하여 자살하였다.
닫기
로 세웠다. 그리고 수만 명의 군사를 일으켜 동쪽으로 호한야선우를 습격하였다. 호한야선우의 군대는 패주하였고, 도기선우는 [자신의 근거지로] 돌아갔다. 그의 장자 도도오서(都塗吾西)주 006
각주 006)
吾西 : ‘吾斯’ 혹은 ‘牙斯’ 등과 같은 종류의 官號이다. 이 말은 일본의 ‘누시우시(大人)’와 관련 있는 말로 추정된다(內田吟風, 1971 : 99).
닫기
를 좌록리왕(左谷蠡王)으로 삼고, 막내아들 고무루두(姑瞀樓頭)를 우록리왕으로 삼아 선우정에 머물러 있게 하였다.

  • 각주 001)
    左谷蠡王 : 匈奴의 官號로 左谷蠡라고도 하는데, ‘좌록리왕’이라고 읽는다. 左․右賢王 다음가는 지위로 지방에서 군사와 행정을 관리하는 최고 관리들의 명칭이다. 賢王과 谷蠡王은 單于로부터 分封을 받아 각자의 영지를 갖는다. 匈奴의 통치체제는 5부로 구성되는데, 單于庭을 중심으로 동남부에는 左賢王, 동북부에는 左谷蠡王, 서남부에는 右賢王, 서북부에는 右谷蠡王의 영지가 있었다. 주로 單于의 子弟들이 그 자리를 맡았다. 그 가운데 左賢王은 차기 單于를 계승할 사람인 太子가 담당하였으며 左屠耆王이라고도 불렀다. 이들 최고관리들은 單于를 우두머리로 하는 최고급 정치 평의회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선우는 제국을 통치하였으나 사실상 대신들이 각자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통치하였다(디코스모, 2005 : 240).
     바로가기
  • 각주 002)
    右賢王 : 匈奴의 官號이다. 匈奴에서는 ‘賢’을 ‘屠耆’라고 칭하기 때문에, ‘右屠耆王’이라고도 부른다. 左賢王과 짝을 이루며 그 지위가 높다. 右賢王의 영지는 서쪽에 위치하고 匈奴의 안에서 그 영역이 가장 넓은 國 가운데 하나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宣帝 神爵 4년(전58)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都隆奇 : 匈奴의 貴族이다. 虛閭權渠單于의 顓渠 閼氏의 동생이다. 宣帝 神爵 2년(전60) 虛閭權渠單于가 사망하자 都隆奇는 모의하여 右賢王 屠耆堂을 握衍朐鞮單于로 세우고 그의 신임을 받았다. 神爵 4년 握衍朐鞮單于가 虛閭權渠單于의 아들인 呼韓邪單于에게 격파되자, 都隆奇는 右賢王部로 도주하여 다시 屠耆單于를 세웠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屠耆單于 : 匈奴 선우로 이름은 薄胥堂이다. 宣帝 시기 握衍胊鞮單于가 재위할 때, 薄胥堂은 선우의 從兄으로 日逐王에 임명되었다. 握衍朐鞮單于가 죽은 뒤, 右賢王과 左大且渠 都隆奇가 함께 그를 屠耆單于로 옹립하여 호한야선우와 대립하였으나 나중에 呼韓邪單于에게 패하여 자살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吾西 : ‘吾斯’ 혹은 ‘牙斯’ 등과 같은 종류의 官號이다. 이 말은 일본의 ‘누시우시(大人)’와 관련 있는 말로 추정된다(內田吟風, 1971 : 99).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 호도오사(呼屠吾斯), 도륭기(都隆奇), 박서당(薄胥堂), 도기선우(屠耆單于), 호한야선우, 호한야선우, 도기선우, 고무루두(姑瞀樓頭)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와 도기선우(屠耆單于) 사이에 내분이 발생 함 자료번호 : jo.k_0002_0094_0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