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태사공(太史公)의 말

태사공(太史公)은 이렇게 말한다.주 001
각주 001)
이와 동일한 내용이 『漢書』 卷61에도 나오는데, 거기서는 “太史公曰”이 아니라 “贊曰”로 시작된다. 太史公은 司馬遷을 가리킨다.
닫기
『우본기』(禹本紀)에 “황하곤륜에서 나온다. 곤륜은 그 높이가 2,500여 리이고, 해와 달이 서로 피해서 숨으면서 광명을 가져다 준다. 그 위에는 예천(醴泉)과 요지(瑤池)주 002
각주 002)
醴泉과 瑤池 : 崑崙山 위에 西王母가 사는 곳에 있다고 여겨지는 감미로운 샘물과 연못이다.
닫기
가 있다.”고 씌어 있다. 이제 장건이 대하에 사신으로 다녀온 뒤, 황하의 근원에 다다르게 되었는데, [우]본기에서 말하는 곤륜을 도대체 어디에서 보았다는 말인가?주 003
각주 003)
『集解』는 鄧展을 인용하여 “漢나라 [사람들이] 河源에 다다랐다고 말하는데, 어디에서 崑崙을 보았단 말인가? 『尚書』에는 積石에서 黃河가 導出된다고 했는데, 이것은 황하의 근원이 積石에 있다는 말이다. 積石은 金城의 河關에 있기 때문에, [황하가] 崑崙에서 나온다고 말하지는 않았다.”라고 하였다. 또한 『索隱』은 ‘惡覩夫謂昆侖者乎’라는 구절에 관해서 “惡의 音은 ‘烏’이며, 烏는 어디에서[於何]라는 뜻이다. 睹는 본다는 것이다. 張騫이 河源에 다다르고 大夏·于窴에 도달했다고 하는데, 어디에서 崑崙을 보았으며 황하가 발원하는 것을 보았다는 말인가?”라는 뜻이라고 풀이하면서, “이는 『禹本紀』와 『山海經』의 虛妄함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건대, 『山海經』에서는 ‘黃河가 崑崙의 東北隅에서 나온다.’고 하였고, 「西域傳」에서는 ‘남쪽의 積石山으로 분출해서 中國의 河가 된다.’고 하였으니, 積石은 본시 황하의 發源이 아니다. 또한 『尚書』도 ‘洛水가 熊耳에서 導出된다.’고 했는데, 사실은 冢嶺山에서 나오는 것이니 곧 동쪽으로 熊耳를 경유하는 것이다. 이제 이 뜻을 미루어 보건대, 황하가 과연 그러하다. 즉, 황하의 근원은 본시 崑崙인데 [거기서] 潛流하여 于闐에 이르고, 다시 東流하여 積石에 이르러서 비로소 中國에 들어오는 것이니, 『山海經』과 『禹貢』이 각자 그런 사실을 지적했을 뿐이다.”라고 하여, 『尚書』의 기록과 『山海經』과 『禹貢』의 기록, 그리고 張騫의 보고 등이 반드시 서로 모순되는 것으로만 해석할 수 없다는 견해를 표명하였다.
닫기
이런 까닭에 구주(九州)의 산천은 『상서』(尙書)[에서 묘사한 것]이 사실에 가깝다. [그러므로] 『우본기』『산해경』(山海經)에서 말하는 괴이한 것들에 대해서 나는 감히 말하지 않으리라.주 004
각주 004)
余不敢言之也 : 『索隱』에는 “내가 감히 말하노라(余敢言也).”라고 되어 있는데, 이 문장이 긍정이건 부정이건 모두 『禹本紀』와 『山海經』의 신빙성에 대한 司馬遷의 강력한 회의적 입장을 나타낸다.
닫기


  • 각주 001)
    이와 동일한 내용이 『漢書』 卷61에도 나오는데, 거기서는 “太史公曰”이 아니라 “贊曰”로 시작된다. 太史公은 司馬遷을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2)
    醴泉과 瑤池 : 崑崙山 위에 西王母가 사는 곳에 있다고 여겨지는 감미로운 샘물과 연못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集解』는 鄧展을 인용하여 “漢나라 [사람들이] 河源에 다다랐다고 말하는데, 어디에서 崑崙을 보았단 말인가? 『尚書』에는 積石에서 黃河가 導出된다고 했는데, 이것은 황하의 근원이 積石에 있다는 말이다. 積石은 金城의 河關에 있기 때문에, [황하가] 崑崙에서 나온다고 말하지는 않았다.”라고 하였다. 또한 『索隱』은 ‘惡覩夫謂昆侖者乎’라는 구절에 관해서 “惡의 音은 ‘烏’이며, 烏는 어디에서[於何]라는 뜻이다. 睹는 본다는 것이다. 張騫이 河源에 다다르고 大夏·于窴에 도달했다고 하는데, 어디에서 崑崙을 보았으며 황하가 발원하는 것을 보았다는 말인가?”라는 뜻이라고 풀이하면서, “이는 『禹本紀』와 『山海經』의 虛妄함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건대, 『山海經』에서는 ‘黃河가 崑崙의 東北隅에서 나온다.’고 하였고, 「西域傳」에서는 ‘남쪽의 積石山으로 분출해서 中國의 河가 된다.’고 하였으니, 積石은 본시 황하의 發源이 아니다. 또한 『尚書』도 ‘洛水가 熊耳에서 導出된다.’고 했는데, 사실은 冢嶺山에서 나오는 것이니 곧 동쪽으로 熊耳를 경유하는 것이다. 이제 이 뜻을 미루어 보건대, 황하가 과연 그러하다. 즉, 황하의 근원은 본시 崑崙인데 [거기서] 潛流하여 于闐에 이르고, 다시 東流하여 積石에 이르러서 비로소 中國에 들어오는 것이니, 『山海經』과 『禹貢』이 각자 그런 사실을 지적했을 뿐이다.”라고 하여, 『尚書』의 기록과 『山海經』과 『禹貢』의 기록, 그리고 張騫의 보고 등이 반드시 서로 모순되는 것으로만 해석할 수 없다는 견해를 표명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余不敢言之也 : 『索隱』에는 “내가 감히 말하노라(余敢言也).”라고 되어 있는데, 이 문장이 긍정이건 부정이건 모두 『禹本紀』와 『山海經』의 신빙성에 대한 司馬遷의 강력한 회의적 입장을 나타낸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태사공(太史公), 장건
지명
황하, 곤륜, 곤륜, 황하, 곤륜, 구주(九州)
서명
『우본기』(禹本紀), 『상서』(尙書), 『우본기』, 『산해경』(山海經)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태사공(太史公)의 말 자료번호 : jo.k_0001_0123_008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