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한나라의 위청과 곽거병이 출전하여 흉노를 치자 선우가 서북쪽으로 도망침

  • 국가
    흉노(匈奴)
그 이듬해주 001
각주 001)
漢 武帝 元狩 4년(전121)이다.
닫기
봄에 한나라에서 모의하여 말하였다.주 002
각주 002)
『漢書』에는 “曰”이 “以爲”로 되어 있다.
닫기
“흡후 [조]신이 선우를 위해 계략을 세워 [선우가] 고비 북쪽에 있으면 한나라의 군대가 [그곳에] 이르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한나라에서는] 말을 배불리 먹인 뒤주 003
각주 003)
원본은 “粟馬”인데, 戰馬에게 좋은 먹이를 먹이는 것을 말한다. 평상시에는 豆類를, 戰時에는 糧食을 먹였다.
닫기
10만의 기병을 일으켰는데, 개인의 물건을 지고주 004
각주 004)
私負從馬 : 개인의 의복과 식량을 지고 사적으로 따라가는 말을 말한다. 『漢書』에는 “私負”로 되어 있다. 교감과정에서 그에 따라 “私” 앞에 있는 “負”를 뒤로 바꾸었다.
닫기
따라가는 말이 14만 필로 식량을 운반하는 [말은] 그에 포함되지 않았다. 대장군 [위]청과 표기장군 [곽]거병으로 하여금 군사를 나누어 거느리게 했는데, 대장군은 정양[군]에서 나가고, 표기장군은 대[군]에서 나가 모두 고비를 건너 흉노를 치기로 약속했다. 선우가 [이 소식을] 듣고 보급품[輜重]을 멀리 [대피해] 보낸 다음 정병을 거느리고 고비 북쪽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한나라 대장군과 하루 종일 전투를 벌였는데, 해질 무렵에 큰 바람이 일어나자 한나라 군대가 좌우익의 [군대를] 풀어 선우를 포위하였다. 선우는 스스로가 한나라 군대와 싸울 수 없다고 판단하고주 005
각주 005)
『漢書』에는 “與”로 되어 있다.
닫기
마침내 선우주 006
각주 006)
『漢書』에는 “單于”가 없다.
닫기
홀로 겨우 친위군[壯騎]주 007
각주 007)
壯騎 : 親衛軍 또는 親兵集團을 말한다. 匈奴 單于를 비롯한 후대에 등장한 遊牧帝國의 군주들은 모두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물리력으로 親兵集團을 확보하려고 했다. 이런 親兵集團의 존재는 部族聯合體的인 국가 성격을 극복하고 군주가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가장 중요한 기반이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군주가 자신의 카리스마를 확보하기 위해 조직해 내는 것이다(Pritsak, 1981 : 80). 匈奴帝國의 건설자인 冒頓의 경우 鳴鏑을 만들어 군대를 훈련시켜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은 이런 親衛軍의 존재를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예의 하나이다. 이런 親兵集團의 존재는 이후에 건설된 유목국가인 柔然, 突厥, 回鶻, 契丹, 蒙古 등의 경우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김호동, 1993 : 152 ~ 167).
닫기
수백 기만 거느린 채 한나라의 포위를 돌파한 다음 서북쪽으로 도망쳤다.주 008
각주 008)
『史記』 권111 「衛將軍驃騎列傳」에서는 이 전투 상황을 묘사하였는데, 기록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趙信이 單于를 위해 계책을 말했다. “漢나라 군대가 이미 고비를 넘어 사람과 말이 지쳤으니 匈奴가 앉아서도 포로를 거두어들일 수 있습니다.” 이에 모든 군수 물자를 멀리 북에 놓고 모두 정예 병사를 이끌고 고비 북방에서 기다렸다. 그리고 大將軍 [衛靑]의 군대는 장성을 천여 리 나와서 單于의 군대가 늘어서 기다리고 있는 것을 보았고, 이에 大將軍이 武剛車로 고리 모양의 군영을 만들고 5천기를 보내 匈奴에 가서 부닥치게 했다. 匈奴 또한 1만 기를 풀었다. 마침 해가 질 무렵인데, 큰 바람이 일어나 모래와 자갈이 얼굴을 때려 양군이 서로 볼 수 없었고, 漢나라는 더욱 左右翼의 군대를 풀어 單于를 조였다. 單于가 한나라 군대가 많은 것을 보았지만 그래도 병사와 말이 여전히 강해 싸웠으나 匈奴가 불리하자 어스름한 저녁 單于가 마침내 六頭馬車를 타고, 壯騎 수백 명과 함께 한나라의 포위 서북을 뚫고 도망갔다. 때가 이미 어두워져 한나라와 匈奴가 서로 엉겨 죽이고 다친 것이 상당하였다. 한나라 左翼 校尉를 포로로 잡았는데, [그가] 單于가 어두워지기 전에 도망갔다고 하니 한나라 군대가 경장기병을 보내 밤에 추격하였고 大將軍의 군대도 그 뒤를 따랐다. 匈奴의 군대가 또한 흩어져 도망하였다. 동이 틀 무렵 2백여 리를 갔으나 單于를 잡지 못하고 사로잡거나 죽인 것을 1만여 급이나 되었고 마침내 窴顔山의 趙信城에 이르러 匈奴가 쌓아놓은 곡식을 병사들에게 먹였다. 군대가 하루 머물렀다가 모두 그 성과 나머지 곡식을 태운 다음에 돌아왔다(『史記』 권111 「衛將軍驃騎列傳」 : 2935 ~ 2936).
닫기
한나라 군대가 밤이라 [그를] 추격해 잡지 못하였다. 이 원정에서 베거나 사로잡은 흉노의주 009
각주 009)
『漢書』에는 “匈奴”가 없다.
닫기
수급과 포로가 만 9천여 인이나 되었고, 북으로는 전안산(闐顔山) 주 010
각주 010)
闐顔山 : 산의 명칭으로 ‘寘顔山’이라고도 했다. 지금의 몽골공화국 항가이산맥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한 갈래의 산을 지칭한다. 『漢書』에는 “窴顔山”으로 되어 있다.
닫기
조신성(趙信城) 주 011
각주 011)
趙信城 : 趙信이 匈奴에 투항한 이후에 쌓은 성을 匈奴가 이렇게 불렀다. 闐顔山 서쪽에 있었다.
닫기
까지 갔다가 돌아왔다.

  • 각주 001)
    漢 武帝 元狩 4년(전121)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漢書』에는 “曰”이 “以爲”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본은 “粟馬”인데, 戰馬에게 좋은 먹이를 먹이는 것을 말한다. 평상시에는 豆類를, 戰時에는 糧食을 먹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私負從馬 : 개인의 의복과 식량을 지고 사적으로 따라가는 말을 말한다. 『漢書』에는 “私負”로 되어 있다. 교감과정에서 그에 따라 “私” 앞에 있는 “負”를 뒤로 바꾸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漢書』에는 “與”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漢書』에는 “單于”가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7)
    壯騎 : 親衛軍 또는 親兵集團을 말한다. 匈奴 單于를 비롯한 후대에 등장한 遊牧帝國의 군주들은 모두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물리력으로 親兵集團을 확보하려고 했다. 이런 親兵集團의 존재는 部族聯合體的인 국가 성격을 극복하고 군주가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가장 중요한 기반이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군주가 자신의 카리스마를 확보하기 위해 조직해 내는 것이다(Pritsak, 1981 : 80). 匈奴帝國의 건설자인 冒頓의 경우 鳴鏑을 만들어 군대를 훈련시켜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은 이런 親衛軍의 존재를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예의 하나이다. 이런 親兵集團의 존재는 이후에 건설된 유목국가인 柔然, 突厥, 回鶻, 契丹, 蒙古 등의 경우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김호동, 1993 : 152 ~ 167).
     바로가기
  • 각주 008)
    『史記』 권111 「衛將軍驃騎列傳」에서는 이 전투 상황을 묘사하였는데, 기록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趙信이 單于를 위해 계책을 말했다. “漢나라 군대가 이미 고비를 넘어 사람과 말이 지쳤으니 匈奴가 앉아서도 포로를 거두어들일 수 있습니다.” 이에 모든 군수 물자를 멀리 북에 놓고 모두 정예 병사를 이끌고 고비 북방에서 기다렸다. 그리고 大將軍 [衛靑]의 군대는 장성을 천여 리 나와서 單于의 군대가 늘어서 기다리고 있는 것을 보았고, 이에 大將軍이 武剛車로 고리 모양의 군영을 만들고 5천기를 보내 匈奴에 가서 부닥치게 했다. 匈奴 또한 1만 기를 풀었다. 마침 해가 질 무렵인데, 큰 바람이 일어나 모래와 자갈이 얼굴을 때려 양군이 서로 볼 수 없었고, 漢나라는 더욱 左右翼의 군대를 풀어 單于를 조였다. 單于가 한나라 군대가 많은 것을 보았지만 그래도 병사와 말이 여전히 강해 싸웠으나 匈奴가 불리하자 어스름한 저녁 單于가 마침내 六頭馬車를 타고, 壯騎 수백 명과 함께 한나라의 포위 서북을 뚫고 도망갔다. 때가 이미 어두워져 한나라와 匈奴가 서로 엉겨 죽이고 다친 것이 상당하였다. 한나라 左翼 校尉를 포로로 잡았는데, [그가] 單于가 어두워지기 전에 도망갔다고 하니 한나라 군대가 경장기병을 보내 밤에 추격하였고 大將軍의 군대도 그 뒤를 따랐다. 匈奴의 군대가 또한 흩어져 도망하였다. 동이 틀 무렵 2백여 리를 갔으나 單于를 잡지 못하고 사로잡거나 죽인 것을 1만여 급이나 되었고 마침내 窴顔山의 趙信城에 이르러 匈奴가 쌓아놓은 곡식을 병사들에게 먹였다. 군대가 하루 머물렀다가 모두 그 성과 나머지 곡식을 태운 다음에 돌아왔다(『史記』 권111 「衛將軍驃騎列傳」 : 2935 ~ 2936).
     바로가기
  • 각주 009)
    『漢書』에는 “匈奴”가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10)
    闐顔山 : 산의 명칭으로 ‘寘顔山’이라고도 했다. 지금의 몽골공화국 항가이산맥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한 갈래의 산을 지칭한다. 『漢書』에는 “窴顔山”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趙信城 : 趙信이 匈奴에 투항한 이후에 쌓은 성을 匈奴가 이렇게 불렀다. 闐顔山 서쪽에 있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조]신, [위]청, [곽]거병
지명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정양[군], 대[군],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전안산(闐顔山), 조신성(趙信城)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나라의 위청과 곽거병이 출전하여 흉노를 치자 선우가 서북쪽으로 도망침 자료번호 : jo.k_0001_0110_0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