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평양성

중성 : 보통문

■ 중성 :보통문

  • 육군본은 문루의 1층 지붕과 2층 지붕 사이에 기둥이 표시되어 있는 반면 육군본은 기둥이 보이지 않음. 또한 송암본은 문루의 1층 기둥 아래에 초석이 표시되어 있는 반면, 육군본은 생략된 것으로 추정됨. 아울러 대동문과 이어진 중성벽이 송암본은 토성벽 상단에 성가퀴가 설치된 ‘토축+석축’이지만, 육군본은 토축으로 묘사되어 있음.
  • 현존하는 보통문은 2층 지붕 아래에 포(包)만 얹혀 있는 형태이므로, 대동문 자체는 송암본에 의거해 복원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됨.

보통문
평양시 중구역 보통문동에 서 있는 보통문은 6세기 중엽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 중성의 서문으로 처음 세워졌다. 보통문은 고려시대에도 서경의 서문으로 유지되었다. 보통문은 보통강변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고려사〉에는 "광덕문"이라 표기하고 있고, 그 밖에 "우양관"이란 별칭도 있었다. 보통문은 조선시대에는 보통강을 건너 서북방향인 의주로 통하는 관문으로 국방으로나 교통 상으로 요지가 되었다. 특히 임진왜란 당시 평양성 탈환의 주 공격로이기도 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473(성종4)년에 중건한 것으로 1644년, 1719년, 1777년과 그 이후에 계속 보수되었다. 보통문은 15세기 후반이라고 하는 정확한 연대를 가지고 있는 조선초기의 문루건축으로, 주심포식에서 사용된 기법이 다포식에서도 그대로 채용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어 서울의 남대문과 함께 건축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보통문은 화강석을 다듬어 쌓은 축대 위에 문루가 있는 형식으로, 문루는 조선초기의 것이다. 석축의 중앙에 있는 홍예문은 폭 4.4m, 중심높이 4.55m로 균형 잡힌 비례를 가지고 있으며 문에는 철판을 입힌 널대문이 달렸다. 석축의 상부에는 여장을 두르고 석축하단에 큰 석재를 상단으로 갈수록 더 작은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안정감을 주고 있다. 상층의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하층의 4개의 기둥이 그대로 상층으로 뻗는 통층 2층 누각이며 5량 구조의 팔작지붕으로 구성된다. 평면상 가운데 칸에는 마루를 깔았으며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놓는 다포계의 건물이다. 지붕마루에는 취두와 용두 등 장식이 있으며, 추녀(사래)끝에는 토수가 끼워졌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치장하였다. 보통문에서 상층 종도리의 하부에 화반대공을 두고 그 좌우에 솟을합장을 둔 것과 상층의 기둥과 퇴보가 만나는 부분에 복화반 형태의 장식재, 그리고 첨자의 쌍 S자 형의 초각장식을 고려말 조선초의 건축물에서 보여지는 특징으로 이와 같은 건물은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송암미술관 소장본_보통문
육군박물관 소장본_보통문
3D복원_보통문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성 : 보통문 자료번호 : ispy.d_0004_0030_0040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