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사 수업자료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3-4단원 3차시
  • 저필자
    이동욱(숙지고 역사 교사)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성리학과 조선 사회
성리학과 일본 사회
성리학과 베트남
학문의 교류
성리학의 영향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1. 성리학과 조선 사회
  1. <주자가례>에 따른 관혼상제법의 보급
    • 부모 사망시 3년상
    • 가묘나 사당 설치
    • 문묘(공자를 모시는 사당)를 전국에 설치
  2. 성리학적 사회 규범의 확산 : 조선 중기 이후
    • 장자 중심의 제사 지내기
    • 동성 불혼제
    • 친영제(여성이 남성 집으로 들어가는 혼인)
주 186
각주 186) 장자 중심의 제사 지내기
적자가 있으면 지손이 제사를 받들지 못하는 것이 마땅한 예임에도 자기 어버이의 기일을 맞아 각 집에서 돌아가면서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이런 풍속은 예법에 지극히 어긋나는 것이므로 마땅히 금하도록 하소서.
-"중종실록"
-"중종실록"중종실록중종실록
닫기
주 187
각주 187) 장자 중심의 제사 지내기
친영의 예법을 왕실에서 먼저 실시하여 사대부들로 하여금 본받게 하라. 파원군 윤평이 숙신 옹주를 친히 맞아가니 본국에서의 친영이 여기로부터 비롯되었다.
-"세종실록"
-"세종실록"세종실록세종실록
닫기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2. 성리학과 조선 사회
  1. 음양의 원리에 따른 가옥 구조
    • 안채(여성), 사랑채(남성), 사당·향교 등의 태극무늬
  2. 의학의 발전에 기여
    • 주술적인 치료법 부정
    • 약재의 연구를 중시 → <향약구급방>,<향약집성방>
주 188
각주 188) 음양의 원리에 따른 가옥 구조
닫기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2. 성리학과 일본 사회
  1. 신토와 불교의 영향이 강했던 일본 사회에 성리학이 끼친 영향은 극히 제한적
  2. 전통적 의례의 지속 : 결혼 등은 신토에 따라, 장례와 제사는 불교식으로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3. 성리학과 베트남
  1. 16세기 초 레 왕조의 분열
    • 막씨의 왕위 찬탈 : 50여 년에 걸친 레씨와의 전쟁 → 군사력 확충에 주력
  2. 유학의 쇠퇴
    • 과거 합격자 수의 격감
    • 유학자들의 영향력 미약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4. 학문의 교류
  1. 고려와 원
    • 만권당 : 충선왕이 원의 수도에 세운 독서당, 양국 학자들이 활발하게 교류 → 성리학 수용에 큰 영향
  2. 조선과 명·청
    • 사신의 신분으로 명·청 학자와 교류(홍대용 등)
  3. 조선과 베트남
    • 중국에 간 사신을 통해 서로 교류 : 필담을 활용
  4. 조선과 일본
    • 통신사를 통해 시문, 서예, 학문 교류
주 189
각주 189) 조선과 명·청
이이가 명나라의 사신을 접견하였을 때 사신이 말하기를, (중략)“그렇다면 그대가 바로 천도책(이이가 과거에 장원 급제했을 때의 답안)을 지은 사람인가?”하자 그렇다고 대답하니 두 사신이 고개를 끄덕였다. 길을 오면서 이이의 예에 대한 논의와 화답한 시를 보고 특례로 정중히 대하였으며, 모든 서한에 반드시 율곡 선생이라 칭하였다.
-"선조실록"
-"선조실록"선조실록선조실록
닫기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5. 성리학의 영향
  1. 지역별 차이
    • 명·청과 조선에는 큰 영향
    • 일본과 베트남에는 제한적
  2. 공통적 영향
    • 충·효·예와 같은 가치관 전파, 인간과 우주에 대한 철학적 사유 심화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성리학과 조선사회
성리학의 영향
  1. <주자가례>에 따른 관혼상제법 보급
  2. 중기 이후 성리학적 사회 규범의 확산
  3. 음양의 원리에 따른 가옥 구조
  4. 의학 발전에 기여
  1. 명·청·조선에 큰 영향, 일본·베트남에는 제한적 영향
  2. 충·효·예와 같은 가치관 전파, 인간과 우주에 대한 철학적 사유 심화

  • 각주 186)
    장자 중심의 제사 지내기적자가 있으면 지손이 제사를 받들지 못하는 것이 마땅한 예임에도 자기 어버이의 기일을 맞아 각 집에서 돌아가면서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이런 풍속은 예법에 지극히 어긋나는 것이므로 마땅히 금하도록 하소서.
    -"중종실록"
    -"중종실록"중종실록중종실록 바로가기
  • 각주 187)
    장자 중심의 제사 지내기친영의 예법을 왕실에서 먼저 실시하여 사대부들로 하여금 본받게 하라. 파원군 윤평이 숙신 옹주를 친히 맞아가니 본국에서의 친영이 여기로부터 비롯되었다.
    -"세종실록"
    -"세종실록"세종실록세종실록 바로가기
  • 각주 188)
    음양의 원리에 따른 가옥 구조
     바로가기
  • 각주 189)
    조선과 명·청이이가 명나라의 사신을 접견하였을 때 사신이 말하기를, (중략)“그렇다면 그대가 바로 천도책(이이가 과거에 장원 급제했을 때의 답안)을 지은 사람인가?”하자 그렇다고 대답하니 두 사신이 고개를 끄덕였다. 길을 오면서 이이의 예에 대한 논의와 화답한 시를 보고 특례로 정중히 대하였으며, 모든 서한에 반드시 율곡 선생이라 칭하였다.
    -"선조실록"
    -"선조실록"선조실록선조실록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리학과 각국 사회의 변화 자료번호 : edeao.d_0003_004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