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사 수업자료

동아시아로 전파된 불교

2-2단원 1차시
  • 저필자
    박성기(하남고 역사 교사)

동아시아로 전파된 불교

불교의 발생
불교의 분화와 대승불교 성립
불교의 동아시아 전파

동아시아로 전파된 불교

1. 불교의 발생
  1. 불교의 발생
    • B.C 6세기경 석가모니
    • 브라만교의 계급차별에 반대하여 자비,수행에 의한 해탈,평등 강조.
  2. 주요 교리
    • 인과응보:과거(전생)의 일이 후생의 삶에 영향.
    • 윤회:영혼이 육체와 함께 전생의 삶에 의하여 다른 삶에도 영향을 미침.
카스트 제도
마누법전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고대 인도의 법전이다. 일반적으로 B.C 200년~기원 후 200년경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법률 이외에 일반 사회의 규율이 포함되어 있고, 고대 카스트에 대한 규정도 있다. 카스트 제도에서는 4개의 신분을 규정하고 있다.
카스트제도의 기원은 B.C 1천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갠지즈강 지역으로 이동한 아리아인은 자연물과 자연현상을 숭배하였다. 그러면서, 신들을 섬기고 제사를 집행하기 위해 전문 사제자인 브라만이 탄생하였고, 브라만을 가장 상위로 하는 엄중한 종교적 사회제도인 카스트 제도 역시 탄생하였다. 카스트 제도는 사제 계층인 브라만, 귀족계층인 크샤트리아, 평민인 바이샤. 천민인 수드라로 이루어졌다. 카스트 제도는 아리안 인이 인도 사회를 종교적. 군사적. 정치적으로 지배하고, 그 우월성을 보존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다.

불교의 발생과 분화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는 히말라야 산록의 카필라성을 중심으로 하는 석가족의 왕자로 태어났으나, 출가하여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불교는 신분 차별제도인 카스트 제도와 브라만교에 비판적이었다. 또한 인과응보, 윤회, 수행을 통한 해탈을 주장하였다. 석가모니는 살아있는 동안 많은 설법을 하였으나, 내용이나 형식은 통일된 것이 아니라, 대상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었다. 석가모니가 죽은 후 제자들은 석가모니의 교리를 정리하였는데, 점차 교리를 둘러싼 해석의 차이가 생겼다. 이에 교단이 분열되어 이른바 부파불교의 시대로 들어서게 되었다. 먼저 기원전 3세기 경 계율을 중시하는 보수적인 상좌부와 사회 변화에 따라 계율을 융통성있게 운용하려는 대중부로 분열되었다. 이후 약 20여개의 부파가 형성되었고, 출가자들은 학문과 고행을 통하여 자신의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自利行을 중시하였다.
기원전 1세기 경 새로운 불교 운동이 일어났다. 이들은 석가의 유골을 안치한 각지의 불탑을 중심으로 한 신앙집단이었다. 이들은 부처를 신격화하였으며, 불탑공양을 통하여 석가모니를 찬양하였다. 나아가 부처의 자비에 의하여 모든 중생이 구제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모든 중생을 구제하고자 노력하는 이상적인 존재인 보살이라는 관념도 함께 만들어냈다. 이들은 남을 이롭게 하는 利他行을 강조하면서 스스로를 大乘이라고 하고, 자신의 이익에만 급급한 출자가 중심의 부파불교를 小乘이라고 낮게 평가하였다.
 
주 066
각주 066) 브라만교의 계급차별
우주를 주재하는 신은 이 세상의 행복을 위하여 그 입과 팔과 발에서 브라만.크샤트리아.바이샤.수드라를 만드셨느니라. 브라만에게는 제사의 의식을 행하는 일을, 크샤트리아에게는 인민의 보호와 구제하는 일을, 바이샤에게는 목축과 상업과 금전을 대여하는 일을, 이 세 계층에게 기쁜 마음으로 봉사해야 하는 유일한 직능을 수드라에게 명하셨느니라…
“마누의 법전” 중…
“마누의 법전” 중…
닫기

동아시아로 전파된 불교

2. 불교의 분화와 대승불교 성립
  • 불교의 분화
    석가모니 사후 출가자 중심으로 명상하고 교리 연구 → 교리 해석의 차이로 여러 파로 갈림(부파불교)
  • 대승불교의 성립
    • B.C 1세기경, 재가자 중심의 새로운 신앙운동 집단에 의해 성립.
    • 특징:이타행 강조, 부처를 신격화 함, 자비에 의한 대중구제 중시
  • 대승불교의 발전
    • 밀교,티베트 불교 등 다양한 계통 성립

주 067
각주 067) 대승불교
불교 유파의 하나인 대승의 교법.
대승(大乘)이란 ‘큰 수레’를 뜻하는 범어 마하야나(Mahayana)의 한역어로 소승(小乘), 즉 히나야나(Hinayana)에 맞서는 말이다. 대승불교 운동이 일어났을 때 대승교도들은 스스로를 대승이라고 불렀다. 이전의 불교에 대해 지나치게 번잡한 이론 전개를 일삼아 불교를 일부 출가자들만의 전유물로 전락시켰다고 비판하였다. 이전에 개인적인 수행을 중시하는 종래의 불교(상좌부 불교)교단들을 가리켜 소승이라고 낮추어 불렀다.
닫기
주 068
각주 068) 다양한 계통
닫기

동아시아로 전파된 불교

3. 불교의 동아시아 전파
  1. 중원:기원전후 실크로드를 통해 유입.
  2. 한반도:4세기 경 중국 지역에서 전래.
  3. 일본:6세기 백제로부터 유입.
  4. 베트남:2세기 이전 바닷길을 통해 유입.
    → 전반적으로 대승불교가 융성.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상으로 자리잡음.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불교의 동아시아 전파
인도에서 성립된 불교는 간다라를 거쳐 비단길 상의 龜玆, 高昌, 敦煌을 지나 중원지역으로 유입되었다. 한편, 인도에서 바닷길로 교역이 빈번하였던 베트남 북부지역에도 불교가 전파되었다. 베트남 북부 지역에 전파된 불교는 다시 남중국 지역을 통해 중원 지역의 불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후 중원의 불교는 남북조 시대 한반도를 거쳐 일본 열도로 전파되면서 기존의 토착 문화를 크게 변화시키면서 새로운 고대 문화를 생성하는데 기여하였다.
* 고구려로 불교 전래 기사
소수림왕 2년(372) 기사이다.
이 해에 전진(351~394)으로부터 불교가 들어온 것은 단순히 불교의 수용이 종교적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외교적 의미, 곧 왕실과 왕실의 교류라는 의미를 가진 것이었다. 전진의 부견의 재위연도는 357년부터 385년이다. 그는 북조를 거의 통일하여 남조의 동진과 균형을 이루었다. 아울러, 고구려와는 우호적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양국의 문화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고구려에 불교가 들어온 것은 이러한 배경이 있었기에 가능하였으며, 이때 고구려의 불교 수용은 왕실의 적극적인 보호 아래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이후 고구려 불교의 성격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전진의 부견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면서 불교의 ‘王卽佛’의 이념을 발전시키고 그를 통하여 왕권의 전제화에 도움을 얻고자 한 의미도 있는 것이다.

* 백제로 불교 전래 기사
침류왕(枕流王) 원년의 기사이다.
胡僧이 어느 지역 출신의 승려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印度 승려가 아닐까 추측되고 있다. 아울러, 불교가 이때부터 공인되었음을 의미한다. 백제는 침류왕 때에 불교가 공인됨으로써 종래의 부족적 전통을 극복하고 확대된 영토와 강화된 왕권을 지지하는 고대국가의 이데올로기로서 보편적인 세계관이 형성되었다. 백제는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형성이라는 과업을 완수하기 위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초인적인 불법의 위엄을 국왕의 그것과 동일시하여 이를 국가의 권위로 연계시켰다. 또한 불교는 정신적 측면에서 국민 총화에 이바지하는 사상 체계였기 때문에 왕권 강화의 이념적 배경으로 이용되었다.

* 신라로 불교 전래 기사
눌지왕 때 고구려로부터 묵호자가 현재의 선산지역으로 와서 머무르다가 향을 써서 왕녀의 병을 치료한 적이 있고, 다시 소지왕 때 아도가 선산에 머물다 죽고 난 다음 그 제자들이 경률을 강론하니 불교를 믿는 사람들이 생겼다고 하여 신라에 불교가 처음 전해진 사실을 전하고 있다. 다만 양나라에서 향을 보냈다고 하였으나, 눌지왕(417~457)의 시대는 양나라 때와 비교하여 100년 쯤 빠른 시기이고 아도가 온 소지왕(479~499)의 시대 역시 양보다 앞선다. 법흥왕대의 전승과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일본 지역의 불교 전래
일본에 불교가 전해진 시기로는 두가지 설이 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欽明 13년인 552년으로 기록되어 있고, “元興寺緣起”에는 538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백제와 왜라는 국가 사이의 외교라는 차원에서 전래되었다는 의미이며, 이미 그 이전부터 일본 열도 사회에는 불교 신앙이 전해져 있었다. 불교의 수용을 둘러싸고, 불교를 숭상하고자 하는 蘇我씨와 배척하고자 하는 物部씨가 서로 대립하였으나, 결국 蘇我씨가 승리하여 일본 사회에서 불교를 수용하게 되었다.

* 베트남과 남중국의 불교 전래
쟈오찌(베트남 북부)의 불교는 애당초 중국에서 전래된 것이 아니라 인도나 중앙아시아의 승려들이 들여왔고 그리고 얼마 후 남중국으로 전파되었다. 당시 쟈오 찌에는 인도나 중앙아시아에서 온 많은 승려들이 포교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소그디니아의 승려 캉썽후이는 쟈오 찌에서 많은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하였으며, 나중에는 오의 수도 建業으로 가서 247년에는 쑨취안을 불교에 귀의시켰다. 그때까지 남중국에는 불교가 전래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캉썽후이는 오에 최초로 불교를 전한 승려이다.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주 069
각주 069) 불교의 동아시아 전파
아시아 각 지역으로 퍼져 나간 불교
닫기
주 070
각주 070) 한반도:4세기 경 중국 지역에서 전래
소수림왕 2년(372) 여름 6월에 (전)진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 불상과 경문을 주었다. 왕이 사신을 보내 사례하고 토산물을 바쳤다.
“삼국사기(고구려”

침류왕 원년(384) 9월에 호승 마라난타가 진나라에서 오자, 왕이 궁중으로 맞아들여 우대하고 공경하였다. 불교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삼국사기(백제)”

제19대 눌지왕 때 승려 묵호자가 고구려로부터 일선군에 이르렀다. 모례가 자기 집 안에 굴을 파서 편히 있게 하였다. 그때 양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의복과 향을 전해왔다. …
“삼국유사”
“삼국사기(고구려)”
“삼국사기(백제)”
“삼국유사”“삼국사기(고구려)”“삼국사기(고구려)”“삼국사기(백제)”“삼국사기(백제)”“삼국유사”“삼국유사”
닫기
주 071
각주 071) 백제로부터 유입
552년. 10월. 백제의 성명왕이 석가불 청동상 일체와 불교에 쓰이는 도구, 경전을 헌상하였다.
“일본서기”
“일본서기”“일본서기”“일본서기”
닫기
주 072
각주 072) 바닷길을 통해 유입
베트남 북부의 불교는 애당초 중국에서 전래된 것이 아니라 인도나 중앙아시아의 승려들이 들여왔고, 얼마 후 남중국으로 전파되었다. ..소그디인의 승려 캉썽후이(康 僧會)는 북베트남에서 많은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했다. 그 때까지 남중국에는 불교가 전래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캉썽후이는 오에 최초로 불교를 전한 승려이다.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닫기

동아시아로 전파된 불교

불교
불교의 분화
동아시아 전파
  1. 발생 - B.C 6C경 석가모니에 의해
  2. 교리 - 자비.평등,인과응보,윤회,수행
    → 해탈에 도달
  1. 부파불교
    석가모니 사후 교리 해석 차이에 여러파로 갈라진 불교
  2. 대승불교
    • 재가자 중심,이타행 강조,부처 신격화,대중구제 주장
    • 상좌부 불교(개인적 수행 중심) 폄하 → ’소승’으로 부름
  1. 대승불교가 중원,한반도,일본,베트남에 전파
    →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상이 됨.

  • 각주 066)
    브라만교의 계급차별우주를 주재하는 신은 이 세상의 행복을 위하여 그 입과 팔과 발에서 브라만.크샤트리아.바이샤.수드라를 만드셨느니라. 브라만에게는 제사의 의식을 행하는 일을, 크샤트리아에게는 인민의 보호와 구제하는 일을, 바이샤에게는 목축과 상업과 금전을 대여하는 일을, 이 세 계층에게 기쁜 마음으로 봉사해야 하는 유일한 직능을 수드라에게 명하셨느니라…
    “마누의 법전” 중…
    “마누의 법전” 중… 바로가기
  • 각주 067)
    대승불교불교 유파의 하나인 대승의 교법.
    대승(大乘)이란 ‘큰 수레’를 뜻하는 범어 마하야나(Mahayana)의 한역어로 소승(小乘), 즉 히나야나(Hinayana)에 맞서는 말이다. 대승불교 운동이 일어났을 때 대승교도들은 스스로를 대승이라고 불렀다. 이전의 불교에 대해 지나치게 번잡한 이론 전개를 일삼아 불교를 일부 출가자들만의 전유물로 전락시켰다고 비판하였다. 이전에 개인적인 수행을 중시하는 종래의 불교(상좌부 불교)교단들을 가리켜 소승이라고 낮추어 불렀다.
     바로가기
  • 각주 068)
    다양한 계통
     바로가기
  • 각주 069)
    불교의 동아시아 전파아시아 각 지역으로 퍼져 나간 불교
     바로가기
  • 각주 070)
    한반도:4세기 경 중국 지역에서 전래소수림왕 2년(372) 여름 6월에 (전)진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 불상과 경문을 주었다. 왕이 사신을 보내 사례하고 토산물을 바쳤다.
    “삼국사기(고구려”

    침류왕 원년(384) 9월에 호승 마라난타가 진나라에서 오자, 왕이 궁중으로 맞아들여 우대하고 공경하였다. 불교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삼국사기(백제)”

    제19대 눌지왕 때 승려 묵호자가 고구려로부터 일선군에 이르렀다. 모례가 자기 집 안에 굴을 파서 편히 있게 하였다. 그때 양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의복과 향을 전해왔다. …
    “삼국유사”
    “삼국사기(고구려)”
    “삼국사기(백제)”
    “삼국유사”“삼국사기(고구려)”“삼국사기(고구려)”“삼국사기(백제)”“삼국사기(백제)”“삼국유사”“삼국유사” 바로가기
  • 각주 071)
    백제로부터 유입552년. 10월. 백제의 성명왕이 석가불 청동상 일체와 불교에 쓰이는 도구, 경전을 헌상하였다.
    “일본서기”
    “일본서기”“일본서기”“일본서기” 바로가기
  • 각주 072)
    바닷길을 통해 유입베트남 북부의 불교는 애당초 중국에서 전래된 것이 아니라 인도나 중앙아시아의 승려들이 들여왔고, 얼마 후 남중국으로 전파되었다. ..소그디인의 승려 캉썽후이(康 僧會)는 북베트남에서 많은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했다. 그 때까지 남중국에는 불교가 전래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캉썽후이는 오에 최초로 불교를 전한 승려이다.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아시아로 전파된 불교 자료번호 : edeao.d_0002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