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명의 쇠락과 왕조 교체

3. 명의 쇠락과 왕조 교체

명은 이 전쟁에 원군을 파견하면서 막대한 전쟁비용을 지출하였는데, 이것이 쇠락의 주요원인이 되었다.
명의 신종대(神宗代)에는 이른바 ‘만력삼대정(萬曆三大征)’으로 일컬어지는 세 차례의 큰 대외전쟁이 있었다. 첫째 1592년에 일어난 영하(寧夏)의 난이다. 몽골계인 발배(悖拜)가 주도하였고, 오르도스 몽골 추장들이 합류한 이 난은 1년 가까이 섬서(陝西) 일대를 휩쓸었다. 이를 진압하기 위해 명 조정은 요동총병(遼東摠兵) 이여송(李如松)의 군사 10만 명을 징발해 진압할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의 토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촉발된 임진전쟁(1592~1598)이다. 셋째, 파주(播州)의 양응룡(楊應龍)의 난(1593~1600)이다. 서남방에서 묘족(苗族)이 일으킨 반란으로 이의 진압을 위해 24만 명을 소집했는데 이 가운데는 항왜(降倭)도 포함되었다고 한다.주 383
각주 383)
이에 관해서는 李化徿(1937), 『平播全書』, 上海 商務印書館 및 久芳崇(2002), 「16世紀末 日本式鐵砲の明朝への傳播 : 萬曆朝鮮の役にから播州楊應徿の亂へ」(『東洋學報』 84~1) ; 케네스 스워프(Kenneth M. Swope : 2007), 「脣亡齒寒-명나라가 참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참조.
닫기

세 차례의 전쟁 가운데서도 임진전쟁으로 인한 부담이 가장 컸다.
그러면 임진전쟁에 참전을 통해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들었을까? 『양조평양록(兩朝平壤錄)』(권4 「日本 下」)이나 『무비지(武備志)』(권239, 西夷 17, 「朝鮮考」) 등의 사료에 의하면 1597년 경략 형개(邢玠)가 출관(出關)하여 1600년 귀구하기까지 사용한 향은(餉銀)이 800여만 냥이라고 하였다. 대체로 임진·정유년 두 차례의 비용을 통산해 1천만 량 이상으로 추정된다.주 384
각주 384)
市村瓚次郞(1943), 『東洋史統』, 富山房, 647~665쪽.
닫기
당시 비슷한 시기에 명이 발배의 난 진압에 180여만 냥, 양응룡의 난 진압에 200만 냥이 소용되었음에 비하면 엄청난 액수라고 할 수 있다.주 385
각주 385)
『明史』 卷234, 列傳, 「王德完傳」.
닫기

대외전쟁에 소요되는 전비를 조달하기 위해 명 조정은 강남(江南) 등지에 증세(增稅) 조치와 징집, 징발이 이어지면서 백성의 불만이 높아졌고, 농민반란이 일어났다. 1580년대 장거정(張居正)이 주도한 토지조사사업 등으로 일시적이나마 충실해졌던 재정이 적자로 반전되었다. 이에 더해 만력제(萬曆帝)의 실정과 당쟁의 심화, 요동에서 누르하치의 위협 증대 등으로 명은 내우외환의 위기 속에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결국 1644년에는 청에 의해 멸망하였고 중원 맹주가 바뀌어졌다.
임진전쟁으로 균열이 시작된 명 중심의 국제질서는 후금-청의 성장으로 급속히 붕괴되었다. 중국대륙에서 명고 청이 교체되면서 중화중심의 세계관이 상대화하였고, 밀접한 정합성을 지녔던 화이관념과 책봉조공체제가 분열되었다. 특히 문명관과 세계관의 다원화가 진행되면서 책봉조공체제가 분열되었다. 특히 문명관과 세계관의 다원화가 진행되면서 조선에서는 조선중화주의의식, 일본에서는 일본형 화이의식이 형성되었다. 베트남에서도 칭제건원(稱帝建元)하는 등 독자적인 화이관념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17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에서 전개된바 중국을 축으로 하는 국제질서의 붕괴와 문명관의 상대화 현상을 ‘화이변태(華夷變態)’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 각주 383)
    이에 관해서는 李化徿(1937), 『平播全書』, 上海 商務印書館 및 久芳崇(2002), 「16世紀末 日本式鐵砲の明朝への傳播 : 萬曆朝鮮の役にから播州楊應徿の亂へ」(『東洋學報』 84~1) ; 케네스 스워프(Kenneth M. Swope : 2007), 「脣亡齒寒-명나라가 참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참조. 바로가기
  • 각주 384)
    市村瓚次郞(1943), 『東洋史統』, 富山房, 647~665쪽. 바로가기
  • 각주 385)
    『明史』 卷234, 列傳, 「王德完傳」.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명의 쇠락과 왕조 교체 자료번호 : edeah.d_0004_0010_005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