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참고문헌

참고문헌

高惠玲(2001), 『高麗後期 士大夫와 性理學 受容』, 一潮閣.
구태훈(2003), 「에도시대의 무사와 직분론」 『한일군사문화연구』1, 한일군사문화학회.
金光哲(1991), 『高麗後期世族層硏究』, 東亞大出版部.
金龍善(1991), 『高麗蔭敍制度硏究』, 一潮閣.
김호동(2007), 『몽골제국과 고려』, 서울대학교출판부.
   (2010),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개.
南基鶴(2004), 「日本 中世 社會의 武士에 대한 인식」 『일본역사연구』20, 일본사학회.
니시와키 미쯔루(1999), 『일본 무사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都賢喆(1999), 『高麗末 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一潮閣.
李起男(1971), 「忠宣王의 改革과 詞林院의 設置」 『歷史學報』52.
미야자키 이치사다(宮岐市定)·박근칠·이근명 옮김(1993), 『중국의 시험지옥 : 과거』, 청년사.
민두기 편(1984), 『中國史時代區分論』, 창작과 비평사.
閔賢九(1968), 「辛旽의 執權과 그 政治的 性格」(上·下)『歷史學報』38·40.
   (1974), 「高麗後期의 權門勢族」 『한국사』8, 국사편찬위원회.
朴相變(1997), 「日本의 武士-軍事의 傳統과 近代國家의 形成」 『세계정치』21, 서울대학교국제문제연구소.
朴龍雲(1980), 『高麗時代 臺諫制度 硏究』, 一志社.
   (1990), 『高麗時代 蔭敍制와 科擧制 硏究』, 一志社.
   (1998·1999), 「高麗는 貴族社會임을 다시 논함」 『韓國學報』93·94.
박한제·김형종·김병준·이근명·이준갑(2007),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邊太變(1971),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설배환(2009), 「蒙元제국 倉庫制의 설립과 운영」,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석사학위논문.
송상헌(2002), 「世界史 敎科書 敍述에서 東아시아史 談論의 問題 : 중국 세계사 교과서의 경우」 『역사교육』84.
스튜어트 고든·구하원 옮김(2010), 『아시아가 세계였을 때』, 까치.
신성곤(1989), 「唐宋變革期論」 『講座中國史』Ⅲ(士大夫社會와 蒙古帝國), 지식산업사.
신성곤·윤혜영(2004),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신채식(1993), 「宋 이후의 皇帝權」, 동양사학회 편 『東洋史上의 王權』, 한울아카데미.
   (2008), 『宋代對外關係史硏究』, 한국학술정보.
   (2010), 「宋代“君主獨裁體制說”에 대한 異論」 『東洋史學硏究』111.
아사오 나오히로 지음·이계황·서각수·연민수·임성모 옮김(2003), 『새로 쓴 일본사』, 창비.
안준광(1987), 「北宋 禁軍의 形成과 그 運用」『大丘史學』32.
연민수 편저(1998), 『일본역사』, 보고사.
오금성 외(2007), 『명청시대 사회경제사』, 이산.
오금성(1989), 「明末·淸初의 社會變化」 『講座中國史』Ⅳ(帝國秩序의 完成), 지식산업사.
   (2007), 『國法과 社會慣行 : 明淸時代 社會經濟史 硏究』, 지식산업사.
유승원(1997),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 『역사비평』36.
유용규(2007), 「‘武士道’의 사상적 배경과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 『일본문화연구』21, 동아시아일본학회.
유인선(2002),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이산.
尹榮基(2007), 「中世의 武士道에 關한 硏究」 『일본어교육』41, 한국일본어교육학회.
李景植(1986), 『朝鮮前期土地制度硏究』, 一潮閣.
이기영(1996), 「고전장원제에서의 영주권과 농민 : 영구권의 구성과 성격을 중심으로」 『歷史學報』 151.
   (2003), 「장원제하 부역노동의 기원」 『프랑스사연구』9.
이범학(1989a), 「宋代朱子學의 成立과 發展」 『講座中國史』Ⅲ(士大夫社會와 蒙古帝國), 지식산업사.
   (1989b),「宋代의 社會와 經濟」 『講座中國史』Ⅲ(士大夫社會와 蒙古帝國), 지식산업사.
李純根(1987), 「羅末麗初 豪族 용어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聖心女大論文集』19.
李佑成(1964), 「高麗朝의 ‘吏’에 對하여」 『歷史學報』23.
이익주(1995),「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15.
   (1998), 「고려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 건국」 『역사와 현실』29.
   (2004), 「고려 말의 정치사회적 혼돈과 신흥사대부의 성장」 『한국사 시민강좌』35, 일조각.
이익주 외(2010),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제언과 모색-』, 동북아역사재단.
이케가미 에이코 지음·남명수 옮김(2008), 『사무라이의 나라』, 지식노마드.
李泰鎭(1983), 「高麗末·朝鮮初의 社會變化」 『震檀學報』55.
   (1986), 『韓國社會史硏究』, 知識産業社.
일본사학회(2011), 『아틀라스 일본사』, 사계절.
정병철(2001), 「중국사 시대구분과 역사서술」, 윤세철교수 정년기념 역사학총간행위원회 『時代轉換과 歷史認識』, 솔.
정순모(2005), 「唐末 陸龜蒙의 莊園과 鄕村生活」 『東洋史學硏究』92.
조영록(1989), 「陽明學의 成立과 全開」 『講座中國史』Ⅳ(帝國秩序의 完成), 지식산업사.
蔡雄錫(2000),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 서울대학교출판부.
최정연(1989), 「明朝의 統治體制와 政治」 『講座中國史』Ⅳ(帝國秩序의 完成), 지식산업사.
최진열(2010), 『대륙에 서다 : 2천년 중국 역사 속으로 뛰어든 한국인들』, 미지북스.
타니가와 미치오(谷川道雄) 편저, 정태섭·박종현 외 옮김(1996) 『日本의 中國史 論爭- 1945년 이후』, 신서원.
하원수(1989), 「宋代 士大夫論」 『講座中國史』Ⅲ(士大夫社會와 蒙古帝國), 지식산업사.
한국고문서학회 엮음(2006), 『동아시아 근세사회의 비교 : 신분·촌락·토지소유관계』, 혜안
許興植(1981), 『高麗科擧制度史硏究』, 一潮閣.
호사카 유지(2007),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표저있는 역사.
上田信(2005), 『海と帝國 : 明淸時代』, 東京 : 講談社.
David M. Robinson(2009), Empire’s Twilight Northeast Asia Under the Mongols, Cambridge and London :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for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자료번호 : edeah.d_0003_00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