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암각화

오브스 아이막 고고학 연구 현황

  • 편자
    D. 체벤도르지

Ⅲ. 오브스 아이막 고고학 연구 현황

 몽골국 서북부에 위치하는 오브스 아이막(Ovs aimag)은 서쪽으로 바얀–울기(Bayan-Ölgii) 아이막, 북쪽으로 러시아연방 투바공화국, 동쪽으로 자프항(Zavkhan) 아이막, 남쪽으로 호브드(Khovd) 아이막과 접경하고 있는 규모가 상당히 큰 고장이다.
 이곳은 하르히라(Kharkhiraa), 투르겐(Türgen), 차간 데글리(Tsagaan deglii), 한 후힌 노로(Khan khökhiin nuruu)를 비롯하여 숲이 있고 물이 있는 산악지대와 평원 및 서부의 대(大)호수 저지대 주위에 형성된 사막 등 몽골국의 모든 자연 및 지리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독특한 자연환경을 갖고 있다. 오브스 아이막에는 또한 오브스, 햐르가스(Khyargas), 아치트(Achit), 우렉(Üüreg) 등 많은 호수, 그리고 그곳으로 흘러드는 크고 작은 강이 있다. 이처럼 오브스 아이막은 다양한 자연환경과 지리적 조건을 갖고 있는데다가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독자적인, 그리고 다른 아이막과 비교하여 고전적인 유목 목축이 잘 보존되어 있다.
 한편 오브스 아이막에는 유물과 유적이 매우 풍부하지만, 그에 대한 고고학 조사는 상당히 뒤늦게 시작되었다. 1955년 모스크바 대학에서 수학한 몽골 고고학자 도르지수렌은 서부 지역에 대한 지표조사를 수행하던 중 오브스 아이막에서 룬 문자(Runic script) 및 위구르 문자로 쓰인 두 건의 비문을 발견하여 학계에 보고하고, 나아가 같은 아이막 다브스트 솜(Davst sum) 소재 하토긴 올(Khatuugiin uul)과 뭉구트 차히르(Möngöt tsakhir) 등지에서 바위그림을 발견·조사하였다.주 012
각주 012)
Ts. Dorjsüren, “1955 ond Töv baruun aimguudad arkheologiin shinjilgee khaiguulyn ajil yavuulsan tukhai,” Erdem shinjilgeenii bichig, UB., 1957 No.2, tal 108.
닫기

 1957년 세르-오드자브는 바얀-울기 아이막 오이고르(Uigur) 솜에서 소, 사슴, 야생 염소, 사냥하는 사람 등이 그려진 바위그림과 바론토론Baruunturuun) 솜 소재 보가틴 암(Bugatyn am)에서 멧돼지, 야생 염소, 사슴 등이 그려진 바위그림을 발견하였다.주 013
각주 013)
N. Ser-Odjav, “1957 ond yavuulsan ertnii sudlalyn khaiguulyn ajilyn tukhai”‚ Shinjlekh ukhaan tekhnik, UB., 1958 No. 5-6.
닫기
그는 또한 1967년에 오브스 아이막 나란 볼라크(Naranbulag), 타리알란(tarialan), 울기(Ölgii) 솜 등지에서 새로운 바위그림을 찾아냈다는 보고를 하였으나,주 014
각주 014)
N. Ser-Odjav, “Mongolyn arkheologichid”, ShUAM, UB., 1968 No.12, tal 54-84 ; N. Ser-Odjav, “Bayan-Ölgii aimgiin arkheologiin dursgalyg sudalsan n”, Tüükhiin sudlal, UB., 1970 T-VIII, tal 17-26.
닫기
현재 그에 관한 정보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1972년 오브스 아이막 박물관장 잠얀(Jamyan)과 재무 주임 뱜바도르지(Byambadorj)는 아이막 내의 올란곰(Ulaangom) 부근에 소재하는 찬드만 올(Chandman' uul : 찬드만 산)에서 건축물에 쓸 토사를 채취하던 중 고분을 발견하고, 그 내용을 역사연구소에 보고하였는데, 이에 의거하여 동 연구소의 도르지가 현장을 방문, 조사하게 되었다. 현장에 도착한 도르지수렌은 토사 공사를 중단시키고, 그곳에서 출토된 두 점의 토기와 청동 화살촉 등 유물을 수거해왔다. 석기와 바위그림 전공자인 도르지는 찬드만 무덤에 대한 후속 작업을 체벤도르지에게 맡겼다. 그리하여 동년 10월 몽골–소련 역사문화 유적 조사대 산하 청동기 및 철기 조사반의 체벤도르지, 나왕(D. Navan), 볼코프(V.V.Volkov) 등은 훼손된 채 방치된 무덤들을 정리하고 도면을 제작한 다음, 출토 유물을 가져왔다.
 그 후 체벤도르지는 찬드만 산에서 출토된 두 점의 사슴 그림(사실적으로 그려진 그림과 양식화하여 그린 그림)과 야생 염소 그림이 그려진 토기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당해 유물의 제작 시기를 기원전 7~기원전 3세기경으로 편년하고, 이런 유형의 그림이 몽골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바위그림의 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유물이라고 하였다. 그의 연구는 「독특한 발견물(Unikal'nye nakhodki)」이라는 논문으로 발표되었는데, 이는 고고학자로서 체벤도르지의, 그리고 찬드만 산 고분에 관한 최초의 논문이다.주 015
각주 015)
D. Tsevendorj, “Chuluun Khev”, ShUA, UB., 1974, No. 1, tal 58-59 ; D. Tsevendorj, Chandmanii soyol, UB., 1980, 2-r khevlel(2007).
닫기

 체벤도르지는 또한 오브스 아이막 박물관에 소장된 동(同) 아이막 차간 하이르한(tsagaan khairkhan) 솜에서 출토된 2개의 칼과 1개의 송곳을 한꺼번에 주조하던 석재 거푸집(암·수)에 대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는 그 거푸집이 노동 도구를 주조하는 생산수단이라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유물이라는 결론의 논문을 발표하였다.주 016
각주 016)
D. Tsevendorj, “Unikal'nye nakhodki”, Mongoliya No. 4, UB., str. 11-13.
닫기
1973~1974년에는 몽골–소련 역사문화 유적 조사대 산하 청동기 및 철기 조사반은 매년 두 달에 걸쳐 50기 정도의 무덤을 발굴하여 학술적으로 중요한 유물을 연구하였다. 그 후 몇 편의 논문과 ‘찬드만 문화’라는 주제의 책이 출간되었다.주 017
각주 017)
D. Tsevendorj, “Manai erinii ömnökh VII-III zuuny üeiin bulsh II”, ShUAM, UB., 1973, No. 3, tal 16-17 ; D. Tsevendorj, “Chandman' uulyn bulsh”, ShUA, UB., 1974 No. 5, tal 25-35 ; D. Tsevendorj, “handmaniikhny urlal”, DU No. 3, tal 18-21 ; D. Tsevendorj, “TövAziin am'tny zagvart urlag”, ShUA UB., 1981 No. 5, tal, 57-59 ; D. Tsevendorj, handmainskiin mogil'nik-pamyatnik rannego jeleznogo veka Mongolii, UB., 1983.
닫기

 도르지와 노브고라도바 등은 『몽골의 바위그림』이라는 책에서 오브스 아이막 햐르가스 솜의 보가트와 나란볼라크 솜에서 새로 발견한 몇 점의 바위그림을 소개하였다.주 018
각주 018)
D. Dorj/E.A. Novgorodova, Petroglify Mongoli, UB., 1975.
닫기
1975년 오클라드니코프와 체벤도르지를 단장으로 한 몽골-소련 역사문화 유적 조사대 산하 구석기 유적 조사반은 오브스 아이막 준항가이(Züünkhangai) 솜 소재 조라긴 올란 하드(Zuraagiin ulaan khad)에서 여러 점의 위 아래로 그은 선(線), ‘X’ 형 기호, 꽉 낀 옷을 입고 외짝 북[單面鼓]을 들고 춤추고 있는 남자, 여러 개의 술이 달리고 앞자락이 긴 델(deel)을 입고 있는 여자 등을 광물성 물감(황토색)으로 형상화한 그림을 발견하였다.주 019
각주 019)
D. Tsevendorj, 1975‚ ony Bulgan, Khösgöl, Arkhangai aimgiin nutagt ajilsan MZTSKhE-iin chuluun zevseg sudlalyn angiin tailan ; D. Tsevendorj, “Shineer oldson khadny zoson zurag”, AS, UB., 1977 T-VII, tal 29-38 ; A.P. Okladnikov, Petroglify Mongolii, 1981.
닫기
체벤도르지는 이런 부류의 그림이 신석기시대에 발생하여 청동기시대로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하였다.주 020
각주 020)
D. Tsevendorj, “Negen üed khamaarmaargüi arkheologiin dursgal”, ShUA, UB., 1975 No. 6, tal 70-75.
닫기

 1981~1983년 체벤도르지는 오브스 아이막, 훕스굴(Khösgöl) 아이막, 자프항 아이막, 볼간(Bulgan) 아이막 등 여러 지역에서 고고학 조사를 하고 이 중 25곳에서 바위그림을 새로이 발견하였다.주 021
각주 021)
D. Tsevendorj, 1981 ond Uvs, Khösgöl, Arkhangai aimagt yavuulsan khürel, tömör zevsgiin dursgal sudalgaany tailan ; D. Tsevendorj, Mongolyn khüi negdliin urlagiin dursgal, UB., 1983.
닫기
이를 테면 1981년에 오브스 아이막 사길(Sagil) 솜 소재 고르반 톨고이(Gurvan tolgoi), 테멘 하드(Temeen khad), 웅헬첵(Ünkheltseg), 투무르 초르고(Tömör tsorgo), 에헨 후주브치(Ekhen khüzüüvch), 차간 골(Tsgaan gol)의 모조(Mojoo), 보자(Bujaa), 이흐 사르(Ikh sar), 1982년에 사길 솜 소재 바론 고르반 토르긴 하드(Baruun gurvan turgyn khad), 하르 나르트(Khar nart), 토샤트(Tushaat), 하모트(Khamuut), 하르 훈딘 나란(Khar khöndiin naran), 돈드 토르긴 고르반톨고이(Dund turgyn gurvantolgoi), 나린 델(Nariin del), 준 토르긴 테렘 하드(Züün turgyn terem khad), 차간 우툭(Tsagaan ötög), 준고비(Züüngov'), 바론토로(Baruunturuu)에 인접하는 하르 차간 오스(Khar tsagaan us) 등지에서 바위그림을 발견·조사하였다. 이들 바위그림 중에서 사길 솜의 모조에 있는 한 바위에는 윗부분에 큰 황소의 배 아래에 구석기 예술에서 풍요와 번식을 상징하는 뜻을 표현한 타원형 구멍을 파 놓고, 중앙부에 화살로 소를 쏘고 있는 사냥꾼을, 아래쪽에 소를 끌고 가는 유목민을 표현한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연구자들은 이 그림의 제작 시기를 중석기 시대, 즉 지금부터 15,000~7,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들 모조의 바위그림을 다른 고고학 및 민속학 자료와 관련지어 연구하고, “몽골 지역을 세계 목축 발생의 3대 발생지 중 하나”라는 설을 제출했는데, 세계 목축의 기원 연구자인 이탈리아 학자 토치(M. Toci)가 이를 수용하고 이와 관련한 사항을 한 저널에 소개하였다. 그 후 헝가리, 프랑스, 미국, 러시아 등 여러 나라 학자들이 “몽골 지역을 세계 목축 발생의 3대 발생지 중 하나”라는 설을 지지하고 자신들의 연구에 이를 반영하였다.주 022
각주 022)
D. Tsevendorj, “Mongolyn mal aj akhuin garal üüseliin tukhai asuudalyg khadny zurgaar sudlakh n”, 1987 OUME-nii V ikh khural 3-r bot', UB., tal 78-80 ; D. Tsevendorj, Mongolyn mal aj akhuin garal üüseliin asuudald", ShUA, UB., 1982 No. 2, tal 48-50 ; D. Tsevendorj, “Rock art and the origin of cattle-breeding in Mongolia”, East and West, vol. 42-nos2-4, Rome Italy."/
닫기

 한편 1989~1990년에는 체벤도르지를 단장으로 하는 오브스 아이막 유적 도면(圖面) 연구반은 오브스 아이막 전 지역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히르기수르(Khirgisüür), 비문, 사슴 돌, 석인상, 바위그림 등 고고학 자료를 새로이 등록하고 유적지를 지도에 표시하는 등 연구 재료를 만들고 이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오브스 아이막 타리알란 솜의 후렌 우주르(Khüren üzüür), 후흐 톨고이(Khökh tolgoi), 나란볼락 솜의 토그토힌 실(Togtokhyn shil), 하르델린 우주르(Khardeliin üzüür), 모도틴 햐르(Modotyn khyar) 등지에 바위그림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체벤도르지는 1984년 차히르(Tskhir)와 투무르 초르고에서 발견한 오르혼-에니세이 문자, 즉 돌궐 문자로 쓰인 비문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주 023
각주 023)
D. Tsevendorj, Novye nadpisi Opkhon-Eniseiskoi pis'mennossti iz Tsakhira i Tumur tsorgo, UB, 1984, str. 124-126.
닫기
체벤도르지와 후댜코프 등은 1986년 사길 솜 하르 우주르에서 발굴 조사한 무덤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주 024
각주 024)
D. Tsevendorj/Yu.S. Khudyakov, “Svoeobraznoe vypusknoe pogrebenie iz mestnosti Khar üzüür sagil somona”, Studia Mongolica, 1986, UB, str. 65-67.
닫기

 체벤도르지는 바야르와 공동 저술한 『몽골 지역의 역사 문화 유적』, 『몽골 지역의 유적 보호』 등 저서에서 조라, 준토르긴 테렘, 이흐 사르, 모조, 웅헬첵, 하르 우주르, 하르 차간 오스, 차간 오톡(Tsagaan otog) 등지의 바위그림에 대하여 별도의 글을 발표하였다. 또한 체벤도르지는 1990년에 출간한 『몽골 고대 예술사』에서 오브스 아이막에서 발견된 바위그림 대다수를 상세히 소개했으며, 기타 찬드만 산 무덤에서 출토된 예술품 모두를 소개하였다. 그 후 그는 2000년에 출간한 『몽골 백과사전 II(Mongolyn nevterkhii tol' II)』에서 몽골 고고학 유적을 개관하면서 오브스 아이막 소재 유적을 상당히 자세하게 소개하였다.
 1999년 체벤도르지와 미국 연구자 젠닌 데이비스 캠벨을 단장으로 하는 학술조사반은 오브스 아이막 부흐무룬(Bökhmörön) 솜의 바이라민 실(Bairamyn shil)에 소재하는 거대한 히르기수르를
 발굴 조사하고 그것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연구하였다. 또한 오치르는 부흐무룬 솜 소재 건축물 폐허에서 백화수피(白樺樹皮)로 만들어진 서책(書冊)의 단편을 수습하여 학계에 보고하였다.

  • 각주 012)
    Ts. Dorjsüren, “1955 ond Töv baruun aimguudad arkheologiin shinjilgee khaiguulyn ajil yavuulsan tukhai,” Erdem shinjilgeenii bichig, UB., 1957 No.2, tal 108. 바로가기
  • 각주 013)
    N. Ser-Odjav, “1957 ond yavuulsan ertnii sudlalyn khaiguulyn ajilyn tukhai”‚ Shinjlekh ukhaan tekhnik, UB., 1958 No. 5-6. 바로가기
  • 각주 014)
    N. Ser-Odjav, “Mongolyn arkheologichid”, ShUAM, UB., 1968 No.12, tal 54-84 ; N. Ser-Odjav, “Bayan-Ölgii aimgiin arkheologiin dursgalyg sudalsan n”, Tüükhiin sudlal, UB., 1970 T-VIII, tal 17-26. 바로가기
  • 각주 015)
    D. Tsevendorj, “Chuluun Khev”, ShUA, UB., 1974, No. 1, tal 58-59 ; D. Tsevendorj, Chandmanii soyol, UB., 1980, 2-r khevlel(2007). 바로가기
  • 각주 016)
    D. Tsevendorj, “Unikal'nye nakhodki”, Mongoliya No. 4, UB., str. 11-13. 바로가기
  • 각주 017)
    D. Tsevendorj, “Manai erinii ömnökh VII-III zuuny üeiin bulsh II”, ShUAM, UB., 1973, No. 3, tal 16-17 ; D. Tsevendorj, “Chandman' uulyn bulsh”, ShUA, UB., 1974 No. 5, tal 25-35 ; D. Tsevendorj, “handmaniikhny urlal”, DU No. 3, tal 18-21 ; D. Tsevendorj, “TövAziin am'tny zagvart urlag”, ShUA UB., 1981 No. 5, tal, 57-59 ; D. Tsevendorj, handmainskiin mogil'nik-pamyatnik rannego jeleznogo veka Mongolii, UB., 1983. 바로가기
  • 각주 018)
    D. Dorj/E.A. Novgorodova, Petroglify Mongoli, UB., 1975. 바로가기
  • 각주 019)
    D. Tsevendorj, 1975‚ ony Bulgan, Khösgöl, Arkhangai aimgiin nutagt ajilsan MZTSKhE-iin chuluun zevseg sudlalyn angiin tailan ; D. Tsevendorj, “Shineer oldson khadny zoson zurag”, AS, UB., 1977 T-VII, tal 29-38 ; A.P. Okladnikov, Petroglify Mongolii, 1981. 바로가기
  • 각주 020)
    D. Tsevendorj, “Negen üed khamaarmaargüi arkheologiin dursgal”, ShUA, UB., 1975 No. 6, tal 70-75. 바로가기
  • 각주 021)
    D. Tsevendorj, 1981 ond Uvs, Khösgöl, Arkhangai aimagt yavuulsan khürel, tömör zevsgiin dursgal sudalgaany tailan ; D. Tsevendorj, Mongolyn khüi negdliin urlagiin dursgal, UB., 1983. 바로가기
  • 각주 022)
    D. Tsevendorj, “Mongolyn mal aj akhuin garal üüseliin tukhai asuudalyg khadny zurgaar sudlakh n”, 1987 OUME-nii V ikh khural 3-r bot', UB., tal 78-80 ; D. Tsevendorj, Mongolyn mal aj akhuin garal üüseliin asuudald", ShUA, UB., 1982 No. 2, tal 48-50 ; D. Tsevendorj, “Rock art and the origin of cattle-breeding in Mongolia”, East and West, vol. 42-nos2-4, Rome Italy."/ 바로가기
  • 각주 023)
    D. Tsevendorj, Novye nadpisi Opkhon-Eniseiskoi pis'mennossti iz Tsakhira i Tumur tsorgo, UB, 1984, str. 124-126. 바로가기
  • 각주 024)
    D. Tsevendorj/Yu.S. Khudyakov, “Svoeobraznoe vypusknoe pogrebenie iz mestnosti Khar üzüür sagil somona”, Studia Mongolica, 1986, UB, str. 65-67.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오브스 아이막 고고학 연구 현황 자료번호 : ag.d_0002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