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울색미명(鬱色謎命)을 황후로 삼음

7년 봄 2월 병인삭 정묘(2일)에 울색미명(欝色謎命;우츠시코메노미코토)주 001
번역주 001)
『日本書紀』 개화천황 즉위전기에서 穗積臣의 遠祖 鬱色雄命의 여동생이라고 적고 있다.
닫기
을 황후로 삼았다. 황후는 2남 1녀를 낳았다. 첫째를 대언명(大彥命;오호비코노미코토)주 002
번역주 002)
大彦은 若彦의 대응되는 말로 나이 많은 남성을 가리킨다. 『古事記』에는 大毘古命으로 표기되었다. 埼玉縣 稻荷山古墳에서 출토된 鐵劍의 金象嵌銘文에 보이는 「意富比垝」도 大彦을 표기한 것이다. 大彦命은 『日本書紀』 숭신천황 10년 9월조에서는 四道將軍의 한 사람으로 北陸에 파견되었다.
닫기
이라 한다. 둘째를 치일본근자언대일일천황(稚日本根子彥大日日天皇;와카야마토네코히코오호히히노스메라미코토)주 003
번역주 003)
開化天皇이다.
닫기
이라 한다. 셋째를 왜적적희명(倭迹迹姬命;야마토토토비메노미코토)주 004
번역주 004)
『古事記』에는 왜적적희명은 보이지 않는다. 『古事記傳』에서는 효령천황의 딸 왜적적일백습희명과 동일인으로 보고, 왜적적희명의 아버지에 관해 두 가지 설이 있다고 보았다.
닫기
이라 한다[어떤 책(一)에서는 천황의 모제(母弟) 소언남심명(少彥男心命;스쿠나히코워코코로노미코토)주 005
번역주 005)
少彦은 兄에 대한 弟를 가리킨다. 『古事記』에서는 大毘古命 다음에 少名日子建猪心命(스쿠나히코타케루위코코로노미코토)을 적고 그 뒤에 개화천황을 적고 있다.
닫기
이라 한다.]. 비(妃) 이향색미명(伊香色謎命;이카가시코메노미코토)주 006
번역주 006)
『日本書紀』 숭신천황 즉위전기에 물부씨의 먼 조상 大綜麻杵의 딸로 나온다. 開化紀 6년 정월조에 의하면 개화천황의 황후가 되어 숭신천황을 낳았다고 한다. 『古事記』에서는 內色許男命(우츠시코워노미코토)으로 표기하였다.
닫기
언태인신명(彥太忍信命;히코후츠오시노마코토노미코토)주 007
번역주 007)
『古事記』에는 比古布都押之信命으로 표기되어 있다.
닫기
을 낳았다. 차비(次妃) 하내청옥계(河內靑玉繫;카후치노아오타마카케)주 008
번역주 008)
『古事記』에서는 河內靑玉이라고 적고 있다. 河內는 지명이고 아오타마카케는 비취와 같은 푸른색의 옥목걸이를 의미한다. 옥목걸이 신으로 모셔졌던 하내지방의 신으로 추정된다. 1대부터 3대까지 황후가 모두 國津神의 딸이나 손녀였던 점이 공통된다.
닫기
의 딸 식안원(埴安媛;하니야스비메)주 009
번역주 009)
『古事記』에서는 波邇夜須毘賣라고 표기하였다.
닫기
무식안언명(武埴安彥命;타케하니야스비코노미코토)을 낳았다. 형 대언명은 아배신(阿倍臣;아헤노오미)주 010
번역주 010)
일본 고대의 대씨족이다. 『古事記』에서는 大毗古命의 아들 建沼河別命의 후예라고 하였다. 『新撰姓氏錄』 좌경황별에서는 「孝元天皇皇子大彦命之後也」라고 적고 있다.
닫기
, 선신(膳臣;카시하데노오미)주 011
번역주 011)
『古事記』에서는 建沼河別命의 동생 比古伊那許十別命을 조상으로 놓고 있다.
닫기
, 아폐신(阿閉臣;아헤노오미)주 012
번역주 012)
敢臣이라고도 표기한다. 율령제의 伊賀國 阿閉郡(현재의 三重縣 阿山郡 서부와 上野市)을 본거로 하는 씨족이다.
닫기
, 협협성산군(狹狹城山君;사사키노야마노키미)주 013
번역주 013)
협협성은 지명으로 近江國 蒲生郡 篠笥鄕(현재의 滋賀縣 蒲生郡 安土町 부근)이다. 일족은 『속일본기』와 『일본삼대실록』에서 近江國 蒲生郡 大領으로 등장하고 있다. 『日本書紀』 顯宗天皇 원년 5월조에 狹狹城山君 韓帒宿禰가 보인다.
닫기
, 축자국조(筑紫國造;츠쿠시노쿠니노미야츠코)주 014
번역주 014)
『先代舊事本紀』 國造本紀에는 阿倍臣과 같은 조상이라고 나와 있다. 『日本書紀』 繼體天皇 21년 6월조에 筑紫國造 磐井의 반란이 보인다.
닫기
, 월국조(越國造;코시노쿠니노미야츠코)주 015
번역주 015)
『先代舊事本紀』 國造本紀에서는 阿閉臣과 같은 조상이라고 하였다.
닫기
, 이하신(伊賀臣;이가노오미)주 016
번역주 016)
『新撰姓氏錄』 우경황별 伊賀臣條에 「大稻輿命男彦屋主田心命之後也. 」라고 적고 있다. 옥주전심명은 대언명의 손자다.
닫기
, 모두 7씨의 시조다주 017
번역주 017)
『古事記』에서는 建內宿禰의 9명의 아들 이름을 열거하고 分註에서 자손으로 27씨를 적고 있다. 이들 27씨는 蘇我氏 일족으로, 이들을 천황 집안과 연결하기 위해 기록한 것이다. 이는 『日本書紀』가 편찬되던 시기에는 『古事記』가 편수되던 시기보다 소아씨의 힘이 약화되었음을 말해준다.
닫기
. 언태인신명무내숙녜(武內宿禰)주 018
번역주 018)
『古事記』에서는 建內宿禰(타케우치노스쿠네)로 표기되었다. 『古事記』에서는 比古布都押之信命, 즉 大彦命을 建內宿禰의 아들로 적고 있다.
닫기
의 조부다.

  • 번역주 001)
    『日本書紀』 개화천황 즉위전기에서 穗積臣의 遠祖 鬱色雄命의 여동생이라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大彦은 若彦의 대응되는 말로 나이 많은 남성을 가리킨다. 『古事記』에는 大毘古命으로 표기되었다. 埼玉縣 稻荷山古墳에서 출토된 鐵劍의 金象嵌銘文에 보이는 「意富比垝」도 大彦을 표기한 것이다. 大彦命은 『日本書紀』 숭신천황 10년 9월조에서는 四道將軍의 한 사람으로 北陸에 파견되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開化天皇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古事記』에는 왜적적희명은 보이지 않는다. 『古事記傳』에서는 효령천황의 딸 왜적적일백습희명과 동일인으로 보고, 왜적적희명의 아버지에 관해 두 가지 설이 있다고 보았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少彦은 兄에 대한 弟를 가리킨다. 『古事記』에서는 大毘古命 다음에 少名日子建猪心命(스쿠나히코타케루위코코로노미코토)을 적고 그 뒤에 개화천황을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日本書紀』 숭신천황 즉위전기에 물부씨의 먼 조상 大綜麻杵의 딸로 나온다. 開化紀 6년 정월조에 의하면 개화천황의 황후가 되어 숭신천황을 낳았다고 한다. 『古事記』에서는 內色許男命(우츠시코워노미코토)으로 표기하였다.바로가기
  • 번역주 007)
    『古事記』에는 比古布都押之信命으로 표기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8)
    『古事記』에서는 河內靑玉이라고 적고 있다. 河內는 지명이고 아오타마카케는 비취와 같은 푸른색의 옥목걸이를 의미한다. 옥목걸이 신으로 모셔졌던 하내지방의 신으로 추정된다. 1대부터 3대까지 황후가 모두 國津神의 딸이나 손녀였던 점이 공통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9)
    『古事記』에서는 波邇夜須毘賣라고 표기하였다.바로가기
  • 번역주 010)
    일본 고대의 대씨족이다. 『古事記』에서는 大毗古命의 아들 建沼河別命의 후예라고 하였다. 『新撰姓氏錄』 좌경황별에서는 「孝元天皇皇子大彦命之後也」라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1)
    『古事記』에서는 建沼河別命의 동생 比古伊那許十別命을 조상으로 놓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2)
    敢臣이라고도 표기한다. 율령제의 伊賀國 阿閉郡(현재의 三重縣 阿山郡 서부와 上野市)을 본거로 하는 씨족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13)
    협협성은 지명으로 近江國 蒲生郡 篠笥鄕(현재의 滋賀縣 蒲生郡 安土町 부근)이다. 일족은 『속일본기』와 『일본삼대실록』에서 近江國 蒲生郡 大領으로 등장하고 있다. 『日本書紀』 顯宗天皇 원년 5월조에 狹狹城山君 韓帒宿禰가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14)
    『先代舊事本紀』 國造本紀에는 阿倍臣과 같은 조상이라고 나와 있다. 『日本書紀』 繼體天皇 21년 6월조에 筑紫國造 磐井의 반란이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15)
    『先代舊事本紀』 國造本紀에서는 阿閉臣과 같은 조상이라고 하였다.바로가기
  • 번역주 016)
    『新撰姓氏錄』 우경황별 伊賀臣條에 「大稻輿命男彦屋主田心命之後也. 」라고 적고 있다. 옥주전심명은 대언명의 손자다.바로가기
  • 번역주 017)
    『古事記』에서는 建內宿禰의 9명의 아들 이름을 열거하고 分註에서 자손으로 27씨를 적고 있다. 이들 27씨는 蘇我氏 일족으로, 이들을 천황 집안과 연결하기 위해 기록한 것이다. 이는 『日本書紀』가 편찬되던 시기에는 『古事記』가 편수되던 시기보다 소아씨의 힘이 약화되었음을 말해준다.바로가기
  • 번역주 018)
    『古事記』에서는 建內宿禰(타케우치노스쿠네)로 표기되었다. 『古事記』에서는 比古布都押之信命, 즉 大彦命을 建內宿禰의 아들로 적고 있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울색미명, 대언명, 치일본근자언대일일천황, 왜적적희명, 소언남심명, 이향색미명, 언태인신명, 하내청옥계, 식안원, 무식안언명, 대언명, 언태인신명, 무내숙녜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울색미명(鬱色謎命)을 황후로 삼음 자료번호 : ns.k_0010_005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