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왕과 왕태후, 한의 사자가 여가(呂嘉)를 주살하려는 모의가 실패한 뒤 여가가 반란을 꾀함

  • 국가
    남월(南越)
[남월의] 상(相)주 001
각주 001)
앞에서 漢이 ‘丞相 呂嘉’에게 ‘銀印’을 하사하였다고 했는데, 여기에서는 ‘其相’이라 하여 丞相을 相이라고 하였으니, 호칭도 고쳤음을 알 수 있다.
닫기
여가(呂嘉)는 나이가 많았는데, 삼대에 걸쳐 왕을 모셨기 때문에 그의 종족(宗族) 중에는 벼슬길에 나가 장리(長吏)가 된 자가 70여 명이나 되었다. 남자들은 대부분 왕의 딸들과 결혼을 했으며 여자들은 왕의 자제들이나 종실과 혼인을 맺었다. 창오(蒼梧) 주 002
각주 002)
蒼梧 : 前漢 呂后 5년(전183)에 南越王 趙佗가 族弟 趙光을 蒼梧王에 임명하자 梧州에서 蒼梧王城을 흥건하였다. 前漢 元鼎 6년(전111)에 武帝가 嶺南을 정복한 뒤 廣信縣을 설치하자 蒼梧王城은 廣信縣城이 되었다. 廣信이라는 명칭은 『漢書』 「郡國志」에 의하면, “縣의 이름이 廣信인 것은 처음으로 粤땅을 개척하여 널리 [황제의] 은혜와 신의를 알린다.”는 의미에 붙여졌다. 漢武帝는 南越國을 평정한 뒤 南海, 蒼梧 등 9군을 설치하였고 蒼梧郡에는 廣信 등 10縣을 설치하였다.
닫기
진왕(秦王) 주 003
각주 003)
秦王 : 『集解』에 인용된 『漢書音義』에 의하면, 蒼梧지역을 차지하고 활동하는 越人의 수령으로 스스로 秦王이라 자칭한 자로 『索隱』에 의하면, 아래 기술되어 있는 趙光이며, 혼인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사이였다.
닫기
과도 인척이었다. 나라 안에서 그의 신망은 매우 두터워 월나라 사람들이 그를 신뢰하였기 때문에 그의 이목이 되어 일하는 자들이 많아서 민심을 얻는 것이 왕을 넘어서고 있었다. 왕이 조정에 상서하려고 할 때마다 여가는 여러번 그를 만류했으나 왕은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여가는] 역심을 품고 자주 병을 핑계로 한나라 사신을 접견하지 않았다. 사자들은 모두 여가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었는데, 형세가 아직 그를 죽일 수는 없었다. 왕과 왕태후 역시 여가 등이 먼저 일을 일으킬까 두려웠기 때문에 술자리를 마련해 놓고 한나라 사자의 힘을 빌어[介漢使者權]주 004
각주 004)
介漢使者權 : 『集解』에 인용된 韋昭에 의하면, “사자를 방패삼아 믿고”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介’의 의미에 대해 『索隱』은 韋昭의 해석을 일단 긍정하면서도, 西晉시대 虞喜가 지은 『志林』에는 ‘介’를 ‘因’으로 보아 “사자를 매개로 임의대로 여가를 죽이려 하다.”로 해석한 것을 소개하면서, 근거가 있다고 하였다. 한편, 顔師古는 ‘介’를 ‘恃’, ‘믿고 의지하다’로 해석하였다.
닫기
여가 등을 주살할 것을 모의하였다. 사자들은 모두 동쪽을 향해 자리를 잡고 태후는 남쪽을 향해, 왕은 북쪽을 바라보며 자리를 잡았고, 상 여가와 대신들은 모두 서쪽을 향해 자리를 잡고 앉아 술을 마시고 있었다. 여가의 동생은 장군이어서 병사를 이끌고 궁 밖에 머물고 있었다. 술이 한바퀴 돌자 태후가 여가에게 말하였다. “남월한나라에 내속하게 되면 나라에 이익이 될터인데, 상(相)께서 어찌 그리 불편해하는지, 그 이유가 무엇이오?”라고 하여 한나라 사자들을 격노하게 하였다. 한나라 사자들은 머뭇거리며 서로 미루다가 결국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였다. 여가(呂嘉)는 이목들이 [상황이] 좋지 않다고 하는 것을 보고 곧바로 자리에서 일어나 밖으로 나갔다. 그러자 태후는 화를 내며 직접 창으로 여가를 찌르려[鏦]주 005
각주 005)
鏦 : 『集解』에 인용된 韋昭에 의하면, ‘치다[撞]’는 의미이다. 『索隱』 역시 ‘치다’로 해석하였고, 그 음은 칠(七)과 흉(凶)의 반절, 즉 총이라 하였고, 「吳王濞傳」의 “鏦殺吳王”과 같은 의미라고 덧붙이고 있다(集解韋昭曰 : 「鏦, 撞也.」 索隱韋昭云 : 「鏦, 撞也.」 案 : 字林七凶反. 又吳王濞傳 「鏦殺吳王」, 與此同.).
닫기
하였으나 왕이 태후를 저지하였다. 여가는 마침내 [궁을] 빠져나와 동생 휘하의 병졸들의 일부를 나누어 그들을 거느리고 집으로 돌아갔다.주 006
각주 006)
원문은 ‘分其弟兵就舍’으로 되어 있는데, 『索隱』은 이것을 ‘동생의 병사 일부를 거느리고 집으로 가다.’로 해석하였는데, 『漢書』에는 ‘分’자가 ‘介’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李奇는 ‘被’로 해석한 반면, 顔師古는 ‘介’를 ‘甲’으로 보아 무장하여 자위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닫기
이후 여가는 병을 핑계로 왕과 사자들을 만나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비밀리에 대신들과 반란을 꾀하였다. 왕은 본래 여가를 죽일 마음이 없었는데, 여가도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몇 개월 동안은 조용히 아무 일도 벌이지 않았다. 그런데 태후는 음란한 행위를 하여 남월국 사람들이 그녀를 따르지 않아 독자적으로 여가 등을 없애고자 하여도 세력이 그렇게 할 수 없었다.

  • 각주 001)
    앞에서 漢이 ‘丞相 呂嘉’에게 ‘銀印’을 하사하였다고 했는데, 여기에서는 ‘其相’이라 하여 丞相을 相이라고 하였으니, 호칭도 고쳤음을 알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蒼梧 : 前漢 呂后 5년(전183)에 南越王 趙佗가 族弟 趙光을 蒼梧王에 임명하자 梧州에서 蒼梧王城을 흥건하였다. 前漢 元鼎 6년(전111)에 武帝가 嶺南을 정복한 뒤 廣信縣을 설치하자 蒼梧王城은 廣信縣城이 되었다. 廣信이라는 명칭은 『漢書』 「郡國志」에 의하면, “縣의 이름이 廣信인 것은 처음으로 粤땅을 개척하여 널리 [황제의] 은혜와 신의를 알린다.”는 의미에 붙여졌다. 漢武帝는 南越國을 평정한 뒤 南海, 蒼梧 등 9군을 설치하였고 蒼梧郡에는 廣信 등 10縣을 설치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秦王 : 『集解』에 인용된 『漢書音義』에 의하면, 蒼梧지역을 차지하고 활동하는 越人의 수령으로 스스로 秦王이라 자칭한 자로 『索隱』에 의하면, 아래 기술되어 있는 趙光이며, 혼인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사이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介漢使者權 : 『集解』에 인용된 韋昭에 의하면, “사자를 방패삼아 믿고”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介’의 의미에 대해 『索隱』은 韋昭의 해석을 일단 긍정하면서도, 西晉시대 虞喜가 지은 『志林』에는 ‘介’를 ‘因’으로 보아 “사자를 매개로 임의대로 여가를 죽이려 하다.”로 해석한 것을 소개하면서, 근거가 있다고 하였다. 한편, 顔師古는 ‘介’를 ‘恃’, ‘믿고 의지하다’로 해석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鏦 : 『集解』에 인용된 韋昭에 의하면, ‘치다[撞]’는 의미이다. 『索隱』 역시 ‘치다’로 해석하였고, 그 음은 칠(七)과 흉(凶)의 반절, 즉 총이라 하였고, 「吳王濞傳」의 “鏦殺吳王”과 같은 의미라고 덧붙이고 있다(集解韋昭曰 : 「鏦, 撞也.」 索隱韋昭云 : 「鏦, 撞也.」 案 : 字林七凶反. 又吳王濞傳 「鏦殺吳王」, 與此同.).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은 ‘分其弟兵就舍’으로 되어 있는데, 『索隱』은 이것을 ‘동생의 병사 일부를 거느리고 집으로 가다.’로 해석하였는데, 『漢書』에는 ‘分’자가 ‘介’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李奇는 ‘被’로 해석한 반면, 顔師古는 ‘介’를 ‘甲’으로 보아 무장하여 자위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여가(呂嘉), 진왕(秦王),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여가(呂嘉),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여가
지명
남월, 창오(蒼梧), 월나라, , 한나라, 한나라, 남월,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남월국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왕과 왕태후, 한의 사자가 여가(呂嘉)를 주살하려는 모의가 실패한 뒤 여가가 반란을 꾀함 자료번호 : jo.k_0001_0113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