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개토왕비의 탐색
-
책 목차
-
I. 머리말 E-Book
-
II. 학술 토론에서 얻은 소감 E-Book
-
III. 학술 연구와 자료의 관계 E-Book
-
IV. 맺음말 E-Book
-
I. 호태왕비 발견과 초기 묵본 제작 E-Book
-
II. 베이징에서 발견된 이른바1 881년본 묵본과 그 의문점 E-Book
-
III. 이초경의『 요좌일기』 발견과 초보적 연구 E-Book
-
I. 탁본 현황 E-Book
-
II. 탁본의 문자 상황 E-Book
-
III. 탁본 제작연대 E-Book
-
I. 머리말 E-Book
-
II. 전래기의 광개토왕비와 문헌사료의 고증 E-Book
-
III. 광개토왕비와 기년 논쟁 E-Book
-
IV. 광개토왕비와「 여기」에 보이는 왕계에 대한 선행연구 정리와 과제 E-Book
-
V. 5세기 위궁에서 연까지의 고구려 왕계 : 『위서』「고구려전」의 고구려 왕계와 「여기」의 왕계 검토 E-Book
-
VI. 5세기 초 궁에서 위궁까지의 고구려 왕계 :『위서』「고구려전」의 고구려 왕계와 「여기」의 왕계 E-Book
-
VII. 대조대왕·신대왕·차대왕의 창조와「여기」의 왕계 E-Book
-
VIII. 광개토왕비에 보이는 광개토왕의 왕계와「여기」의 왕계 E-Book
-
I. 머리말 E-Book
-
II. 비의 형태와 위치에 대한 비교 검토 E-Book
-
III. 비의 내용 구성 및 성격 비교 검토 E-Book
-
IV. 맺음말 E-Book
-
I. 머리말 E-Book
-
II. 광개토왕릉비 서언의 단락 구성 E-Book
-
III. 건국설화에 나타난 유교식 용어의 수용과 변용양상 E-Book
-
IV. 왕위계승 기사에 나타난 일계적 왕통의식 E-Book
-
V. 맺음말 E-Book
-
I. 머리말 E-Book
-
II. 고구려에 수용된 판비형 2면비문화 E-Book
-
III. 고구려에서 시작된 석주형 4면비문화 E-Book
-
IV. 4면비문화의 확산 E-Book
-
V. 맺음말 E-Book
-
I. 머리말 E-Book
-
II. 1920년대 김육불의 광개토왕비 연구 E-Book
-
III. 1930년대 이후 김육불의 광개토왕비 연구 E-Book
-
IV. 맺음말 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