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였고 추가 구원병을 요청함

겨울 12월주 001
번역주 001)
일자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이 기사 중에 9일 백제의 신라 공격을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2월 9일보다 이후로 볼 수 있다.
닫기
에 백제가 하부 간솔(杆率) 문사간노(汶斯干奴) 주 002
번역주 002)
汶斯는 백제의 복성이고, 干奴는 이름이다. 여기에서만 보인다.
닫기
를 보내 표를 올려 “백제왕 신(臣) 명(明)과 안라의 여러 왜신들, 임나의 여러 나라의 한기들이 아룁니다. 사라(斯羅)주 003
번역주 003)
斯羅란 신라의 비칭이다. 『양직공도』 백제국사조에서는 백제사신이 梁나라에 가서 백제 주변에 있는 작은 나라들을 열거한 기록이 남아 있는데, 그 기록에서도 신라를 斯羅라 칭하고 있다.
닫기
가 무도하여 천황을 두려워하지 않고 박(狛)과 마음을 같이하여 바다 북쪽의 미이거(彌移居)를 멸망시키려고 합니다. 신들이 함께 의논하여 유지신(有至臣;우치노오미)주 004
번역주 004)
有至를 우치(うち), 즉 ‘內’로 볼 수 있기 때문에 內臣과 동일인물이 된다. 『日本書紀』 흠명천황 14년 6월조 內臣 참조.
닫기
등을 보내 군사를 요청하여 신라를 정벌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천황이 보낸 유지신이 군사를 거느리고 6월에 도착하였습니다. 신들이 매우 기뻐하였습니다. 12월 9일에 신라를 공격하도록 보냈습니다. 신이 먼저 동방령(東方領) 물부막가무련(物部莫哥武連;모모노베노마카루노무라지야)주 005
번역주 005)
東方領은 백제의 지방행정구획의 하나인 東方의 장관으로 관등은 達率이다. 『周書』 列傳 百濟條에 의하면 東方은 得安城에 해당된다고 한다. 得安城은 오늘날 충남 恩津으로 비정된다. 物部莫哥武連은 왜계 백제관료의 한 사람으로 『日本書紀』 흠명천황 4년(543) 추9월조에는 物部施德麻哿牟로 나온다. 이 시기 백제의 동방령을 왜계 백제관료로 임명하였다는 것은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日本書紀』 편찬단계에서 물부씨 家傳을 토대로 윤색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닫기
을 보내 그 방(方)의 군사를 거느리고 함산성(函山城) 주 006
번역주 006)
현재 충북 옥천의 管山城을 일컫는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15년조(554)에 백제성왕이 가라와 함께 공격한 곳이다.
닫기
을 공격하도록 하였습니다. 유지신이 거느리고 온 죽사물부막기위사기(竹斯物部莫奇委沙奇;츠쿠시노모노노베노마카와사카)주 007
번역주 007)
竹斯는 筑紫이다. 이름은 莫奇委沙奇이다. 여기에서만 보인다.
닫기
는 불화살을 잘 쏘았습니다. 천황의 위령(威靈)으로 이 달 9일 유시(酉時)에 성을 빼앗아 불태워버렸습니다. 단촐한 사신을 배로 급히 파견하여 아룁니다.”라고 말하였다. 별도로 “만약 신라 뿐이라면 유지신이 데리고 온 군사로 충분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박(狛)과 신라가 함께 힘을 합하였기 때문에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죽사도(竹斯島;츠쿠시노시마)주 008
번역주 008)
현재 일본 九州를 가리킨다. 『隋書』 列傳 倭國條에 大業 3年(608) 隋使 裴世淸이 竹斯國에 이르렀다는 기사가 있다.
닫기
근처에 있는 여러 군사들을 보내 신의 나라를 도와주시기를 엎드려 청합니다. 또한 임나를 도울 수 있다면 일은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주상하였다. 그리고 “신이 따로 군사 만 명을 보내 임나를 돕겠습니다. 아울러 아룁니다. 이번 일은 정말 급해서 한 척의 배를 보내 아뢰는 것입니다. 좋은 비단[錦] 2필, 탑등(毾㲪)주 009
번역주 009)
모직 덮개이다.
닫기
1령, 도끼 3백 구, 사로잡은 성의 백성 남자2명과 여자 5명을 바칩니다. 변변치 않아서 죄송할 따름입니다.”라고 주상하였다주 010
번역주 010)
『日本書紀』 흠명천황 15년 5월조는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이상까지가 전반부인데 백제사신의 외교문서를 채록한 것으로 백제 측은 추가 군사지원을 독촉하고 있다. 이하 후반부에서는 백제 성왕의 전사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흠명천황 16년 봄 2월 백제에서 간 사신이 성왕의 죽음을 알리면서 전한 내용을 편집하여 실은 것으로 보인다.
닫기
.

  • 번역주 001)
    일자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이 기사 중에 9일 백제의 신라 공격을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2월 9일보다 이후로 볼 수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汶斯는 백제의 복성이고, 干奴는 이름이다. 여기에서만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斯羅란 신라의 비칭이다. 『양직공도』 백제국사조에서는 백제사신이 梁나라에 가서 백제 주변에 있는 작은 나라들을 열거한 기록이 남아 있는데, 그 기록에서도 신라를 斯羅라 칭하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有至를 우치(うち), 즉 ‘內’로 볼 수 있기 때문에 內臣과 동일인물이 된다. 『日本書紀』 흠명천황 14년 6월조 內臣 참조.바로가기
  • 번역주 005)
    東方領은 백제의 지방행정구획의 하나인 東方의 장관으로 관등은 達率이다. 『周書』 列傳 百濟條에 의하면 東方은 得安城에 해당된다고 한다. 得安城은 오늘날 충남 恩津으로 비정된다. 物部莫哥武連은 왜계 백제관료의 한 사람으로 『日本書紀』 흠명천황 4년(543) 추9월조에는 物部施德麻哿牟로 나온다. 이 시기 백제의 동방령을 왜계 백제관료로 임명하였다는 것은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日本書紀』 편찬단계에서 물부씨 家傳을 토대로 윤색한 부분으로 여겨진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현재 충북 옥천의 管山城을 일컫는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15년조(554)에 백제성왕이 가라와 함께 공격한 곳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7)
    竹斯는 筑紫이다. 이름은 莫奇委沙奇이다. 여기에서만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8)
    현재 일본 九州를 가리킨다. 『隋書』 列傳 倭國條에 大業 3年(608) 隋使 裴世淸이 竹斯國에 이르렀다는 기사가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9)
    모직 덮개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10)
    『日本書紀』 흠명천황 15년 5월조는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이상까지가 전반부인데 백제사신의 외교문서를 채록한 것으로 백제 측은 추가 군사지원을 독촉하고 있다. 이하 후반부에서는 백제 성왕의 전사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흠명천황 16년 봄 2월 백제에서 간 사신이 성왕의 죽음을 알리면서 전한 내용을 편집하여 실은 것으로 보인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문사간노(汶斯干奴), 명(明), 유지신, 유지신, 물부막가무련, 유지신, 죽사물부막기위사기, 유지신
지명
함산성(函山城), 죽사도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였고 추가 구원병을 요청함 자료번호 : ns.k_0032_0160_005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