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왕자 천일창(天日槍)의 증손인 청언(淸彦)과 신보
88년 가을 7월 기유삭 무오(10일)에 군경에게 “짐이 듣건대 신라의 왕자 천일창이 처음 왔을 때 가지고 온 보물이 지금 단마에 있다고 들었다. 그때 사람들이 귀하게 여겨 신보로 되었다. 짐은 그 보물을 보고 싶다.”고 말하였다. 그 날로 사자를 보내어 천일창의 증손인 청언(淸彦)에게 고하여 헌상하게 하였다. 청언은 조서를 받고 곧 스스로 신보를 받들어 헌상하였다. 우태옥 1개, 족고옥 1개, 제록록의 적석옥 1개, 일경 1면, 웅신리 1구였다. 오직 작은 칼 1구가 있었는데 출석(出石)이라고 불렀다. 청언은 갑자기 그 칼을 헌상하지 않으려 생각하고 옷 속에 숨겨 자기의 몸에 지녔다. 천황은 칼을 숨긴 것을 알지 못하고 청언을 총애하려고 불러 가까이에서 술을 주었다. 그때 칼이 옷 속에서 나와 사실이 밝혀졌다. 천황이 보고 친히 청언에게 “그대의 옷 속의 칼은 무슨 칼인가?”라고 물었다. 청언은 숨길 수 없음을 알고 “헌상한 바 있는 신보와 같은 부류입니다.”라고 사실대로 말하였다. 천황은 청언에게 “그 신보는 어찌 무리를 떨어져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였다. 그래서 이것을 헌상하였다. 모두 신부(神府)에 간직하였다. 그런 연후에 보부(寶府)를 열어보니 그 작은 칼이 없어졌다. 청언에게 “그대가 헌상한 칼이 없어졌다. 아마 그대가 있는 곳에 간 것이 아닌가?”라고 물었다. 청언이 “어젯밤에 칼이 저절로 신의 집에 왔습니다. 그러나 오늘 아침에는 없어졌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천황은 황공하여 다시 찾으려고 하지 않았다. 이후 출석의 칼은 저절로 담로도(淡路嶋;아하지노시마)로 갔다. 그 섬사람이 신으로 모셔 칼을 위한 신사를 세웠다. 지금까지 제사를 받들고 있다. 옛적에 작은 배를 타고 단마국에 와서 묵은 사람이 있었다. 그래서 “그대는 어느 나라 사람인가?”라고 물었다. 그는 “신라의 왕자 천일창이다.”라고 대답하였다. 단마에 머무르면서 그 나라의 전진이(前津耳;사키츠미미)[어떤 책(一)에는 전진견(前津見;사키츠미), 어떤 책(一)에는 태이(太耳;후토미미)라고 하였다.]의 딸인 마타능오(麻拖能烏;마타노오)에 장가들어 단마제조(但馬諸助;타지마모로스쿠)를 낳았다. 이 아이가 청언의 조부이다.
- 이름
- 천일창
,
천일창
,
청언
,
청언
,
청언
,
청언
,
청언
,
청언
,
청언
,
청언
,
청언
,
천일창
,
전진이
,
전진견
,
태이
,
마타능오
,
단마제조
,
청언
- 지명
- 단마
,
담로도
,
단마국
,
단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