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산배(山背)의 기호변(綺戶邊)을 후궁으로 삼음

34년 봄 3월 을축삭 병인(2일)에 천황이 산배(山背;야마시로)에 행차하였다. 그때 좌우가 “이 나라에 미인이 있습니다. 기호변(綺戶邊;카니하타토베)주 001
번역주 001)
『和名類聚抄』에 보이는 「山城國 相樂郡 蟹幡 加無波多」 지역 호족의 딸이다.
닫기
이라 하며 용모가 아름답습니다. 산배대국(山背大國;야마시로오호쿠니)주 002
번역주 002)
大國은 지금의 京都市 東山區 山科, 大塚, 大宅, 音羽 부근인 山城國 宇治郡 大國鄕으로 보는 설이 있다. 『古事記』에는 ‘山代大國之淵’이라 한다.
닫기
의 불지(不遲;후치)의 딸입니다.”라고 말하였다. 천황이 창주 003
번역주 003)
창(矛)이 주술적 도구로 사용된 예는 『日本書紀』 神代上 일서(3-1)의 ‘天之瓊矛’, 수인천황 3년 3월조의 ‘天日槍’ 등의 예에서도 알 수 있다.
닫기
을 잡고서 “그 미인을 만나려면 반드시 도중에 길조가 나타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행궁주 004
번역주 004)
山背에 行幸하기 위한 임시 궁전을 말한다.
닫기
에 이를 때 큰 거북이 물속에서 나왔다. 천황이 창을 들어 거북을 찌르자 갑자기 돌로 변하였다주 005
번역주 005)
미인 관련 설화로 『日本書紀』 雄略天皇 22년 7월조에는 큰 거북이 여인으로 변화하였다는 이야기가 보인다.
닫기
. 좌우에게 “이것으로 추측하건데 반드시 영험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이에 기호변을 불러 후궁으로 삼았다. (기호변은) 반충별명(磐衝別命;이하츠쿠와케노미코토)주 006
번역주 006)
『古事記』에서는 ‘石衝別王’이라 하며 石衝比賣命을 낳았다고 적고 있다.
닫기
을 낳았는데, 이 아이가 삼미군(三尾君;미워노키미)주 007
번역주 007)
『古事記』에서는 「羽咋君, 三尾君之祖」라고 적고 있다. 『日本書紀』 계체천황 원년 3월조에 三尾角折君, 三尾君堅楲 등의 이름이 보인다.
닫기
의 시조이다. 이보다 앞서 산배예번호변(苅幡戶邊;카리하타노베)주 008
번역주 008)
『古事記』에서는 ‘苅羽田刀弁’이라 하며, 弟苅羽田刀弁의 손윗누이라고 적고 있다.
닫기
을 취하여 세 명의 남자아이를 낳았다. 첫째가 조별명(祖別命;오호치와케노미코토)주 009
번역주 009)
『古事記』에서는 ‘落別王’이라 하며, 小月之山君과 三川之衣의 선조라고 적고 있다.
닫기
이고 둘째가 오십일족언명(五十日足彦命;이카타라시히코노미코토)주 010
번역주 010)
『古事記』에서는 ‘五十日帶日子王’이라고 적고 있다. 春日山君과 高志池君, 春日部君의 선조라고 한다.
닫기
이며 셋째가 담무별명(膽武別命;이타케루와케노미코토)이다. 오십일족언명은 석전군(石田君;이시다노키미)의 시조이다주 011
번역주 011)
膽武別命과 石田君은 『古事記』에는 보이지 않는다.
닫기
.

  • 번역주 001)
    『和名類聚抄』에 보이는 「山城國 相樂郡 蟹幡 加無波多」 지역 호족의 딸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大國은 지금의 京都市 東山區 山科, 大塚, 大宅, 音羽 부근인 山城國 宇治郡 大國鄕으로 보는 설이 있다. 『古事記』에는 ‘山代大國之淵’이라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창(矛)이 주술적 도구로 사용된 예는 『日本書紀』 神代上 일서(3-1)의 ‘天之瓊矛’, 수인천황 3년 3월조의 ‘天日槍’ 등의 예에서도 알 수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山背에 行幸하기 위한 임시 궁전을 말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미인 관련 설화로 『日本書紀』 雄略天皇 22년 7월조에는 큰 거북이 여인으로 변화하였다는 이야기가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古事記』에서는 ‘石衝別王’이라 하며 石衝比賣命을 낳았다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7)
    『古事記』에서는 「羽咋君, 三尾君之祖」라고 적고 있다. 『日本書紀』 계체천황 원년 3월조에 三尾角折君, 三尾君堅楲 등의 이름이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8)
    『古事記』에서는 ‘苅羽田刀弁’이라 하며, 弟苅羽田刀弁의 손윗누이라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9)
    『古事記』에서는 ‘落別王’이라 하며, 小月之山君과 三川之衣의 선조라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0)
    『古事記』에서는 ‘五十日帶日子王’이라고 적고 있다. 春日山君과 高志池君, 春日部君의 선조라고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11)
    膽武別命과 石田君은 『古事記』에는 보이지 않는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기호변, 기호변, 기호변, 반충별명, 예번호변, 조별명, 오십일족언명, 담무별명, 오십일족언명
지명
산배, 산배대국, 산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산배(山背)의 기호변(綺戶邊)을 후궁으로 삼음 자료번호 : ns.k_0013_016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