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신무의 동쪽 정벌: 형기성(兄磯城)을 격파함

11월 계해삭 기사(7일)에 천황의 군대가 대거 기성언(磯城彦;시키츠히코)을 치고자 먼저 사자를 보내어 형기성(兄磯城;에시키)을 불렀다. 형기성은 명을 받들지 않았다. 다시 두팔지오(頭八咫烏;야타노카라스)주 001
번역주 001)
앞의 신무즉위전기 무오년 6월조에 보인다.
닫기
를 보내서 불렀다. 그때 까마귀는 군영에 가서 “천신(天神)의 아들이 너를 부르신다. 이장과(怡奘過;이자와)주 002
번역주 002)
이자는 권유의 의미이며, 와는 감동을 나타내는 助詞다. 이자와는 『萬葉集』 3346에도 ‘이자와(率和)’로 보인다.
닫기
, 이장과.”라고 울었다[過의 음(音)은 와(倭)이다.]. 형기성이 화가 나서 “천압신(天壓神;아메오스노카미)주 003
번역주 003)
천상계의 위압하는 신이다.
닫기
이 왔다는 말을 듣고 내가 분개하고 있는 차에 어째서 까마귀가 이렇게 불길하게 우는가?”라고 말하고[壓은 오스(飫蒭)라고 읽는다.] 활을 당겨서 쏘았다. 까마귀는 즉각 도망갔다.
그 후 까마귀는 제기성(弟磯城;오토시키)의 집에 가서 “천신의 아들이 너를 부르신다. 자, 자.”라고 울었다. 그때 제기성은 두려워 안색을 고치고 “신은 천압신이 왔다는 것을 듣고 조석으로 두려워하였다. 고맙다. 까마귀여. 네가 이렇게 울어주어서.”라고 말하고 나뭇잎으로 만든 접시[葉盤]주 004
번역주 004)
떡갈나무(柏) 잎을 대나무 꼬치로 여며서 접시모양으로 만든 그릇이다.
닫기
여덟 개에 먹이를 가득 주었다[葉盤은 히라데(毗羅耐)라고 읽는다.]. 그리고 까마귀를 따라 천황에게 와서 “제 형 형기성은 천신의 아들이 왔다는 것을 듣고 팔십효수를 모아서 무기를 갖추고 결전하려 하고 있습니다. 빨리 도모하십시오.”라고 말하였다.
천황은 곧 여러 장수를 모아 “지금 형기성은 명백히 반역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어서 불러도 오지 않는다.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라고 물었다. 여러 장수가 “형기성은 간사한 적입니다. 먼저 제기성을 보내어 타이르고 아울러 형창하(兄倉下;에쿠라지)와 제창하(弟倉下;오토쿠라지)도 달래도록 하십시오. 만약 그런데도 귀순하지 않으면 그때에 군대를 일으켜도 늦지 않습니다.”라고 말하였다[倉下는 쿠라지(衢羅餌)라고 읽는다.].
그래서 천황은 제기성에게 이로움과 해로움을 설명하여 깨닫게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형기성 등은 계속 어리석은 책략을 고수하면서 승복하지 않았다. 추근진언이 계책을 세워 “지금은 먼저 우리 여군(女軍)을 파견하여 인판 쪽길로 나아가게 하십시오. 적이 보고서 반드시 정예병을 보내 공격할 것입니다. 우리는 강한 병사들을 곧장 묵판을 목표로 달려가도록 하여 토전천의 물을 떠서 숯불을 끄고 나서 갑자기 적을 공격하면 반드시 적을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하였다.
천황이 그 계책을 칭찬하고 먼저 여군을 내보내 적군의 상황을 살피게 하였다. 적은 대군이 왔다고 생각하여 힘을 다해 마주 싸웠다. 이전에 천황의 군대는 공격하면 반드시 빼앗고, 싸우면 반드시 승리하였다. 그러나 싸우는 군사들이 피로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천황은 노래를 지어 장졸의 마음을 위로하였다.
 
방패를 나란히 하고 이나차산(伊那差山;이나사노야마)주 005
번역주 005)
『大和志』에서는 이를 宇陀郡 榛原町 남쪽의 山路山이라고 하였다.
닫기
의 나무 사이를 지나 적을 감시하면서 싸웠으므로 우리들은 배고프다. 섬의 새 제사(鵜飼;우카히) 무리여, 지금 도우러 오라.
 
과연 남군(男軍)주 006
번역주 006)
여군보다 강한 군대이다.
닫기
이 묵판을 넘어서 뒤에서 협격하여 쳐부수고 효수형기성(梟帥兄磯城;타케루에시키) 등을 참하였다.

  • 번역주 001)
    앞의 신무즉위전기 무오년 6월조에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이자는 권유의 의미이며, 와는 감동을 나타내는 助詞다. 이자와는 『萬葉集』 3346에도 ‘이자와(率和)’로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천상계의 위압하는 신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떡갈나무(柏) 잎을 대나무 꼬치로 여며서 접시모양으로 만든 그릇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大和志』에서는 이를 宇陀郡 榛原町 남쪽의 山路山이라고 하였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여군보다 강한 군대이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형기성, 형기성, 형기성, 제기성, 제기성, 형기성, 형기성, 형기성, 제기성, 형창하, 제창하, 제기성, 형기성, 추근진언
지명
인판, 토전천, 이나차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신무의 동쪽 정벌: 형기성(兄磯城)을 격파함 자료번호 : ns.k_0003_0040_009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