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천지개벽과 세 신의 탄생

일본서기 권 제1
신대(神代)주 001
번역주 001)
이 「神代」라는 명칭은 기본적으로는 『日本書紀』 神武天皇 이하에 보이는 「天皇代」에 대응하는 말이나 일반적으로는 神代紀(권1 신대 상과 권2 신대 하로 구성)와 『古事記』 상권을 아울러 칭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일본고대의 신화, 즉 신대의 설화가 매우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신대기 상하 2권의 구성 방식은 각 단락별(권1은 제1단부터 제8단까지, 권2는 제9단부터 제11단까지로 각각 구성)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는데, 우선 本文(正文이라고도 함)을 수록하고, 다음으로 본문과 다른 이야기인 異傳, 別傳을 「一書」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상권의 이야기는 세상이 시작되는 천지개벽에서 소잔오존(素戔嗚尊)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出雲신화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닫기

첫 번째 이야기주 002
번역주 002)
이하 첫 번째 이야기(제1단)는 천지개벽과 세 신들의 탄생이 이야기의 주제이다.
닫기

아주 먼 옛날에 하늘과 땅이 아직 나뉘지 않고 음양주 003
번역주 003)
하늘과 땅 사이의 정기가 모여 생겨난 두 개의 기운, 즉 만물을 소생하게 만드는 음양의 기운이다.
닫기
이 분명하게 분리되지 않았을 때, 이 세상은 혼돈된 상태로 마치 계란 속처럼 그 형태가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또한 그것은 희미하고 넓어서 사물의 윤곽은 아직 그 속에 담겨져 있는 상태였다. 마침내 맑고 밝은 부분은 가로로 길게 뻗어 나가 하늘이 되었고, 무겁고 탁한 부분은 내려앉아 땅이 되었다. 그러나 맑고 섬세한 것은 한 덩어리가 되기 쉬우며, 무겁고 탁한 것은 굳어지기 어려운 것이다. 그런 까닭에 하늘이 먼저 생겨나고 땅이 나중에 만들어졌다. 그런 연후에 그 속에서 신(神)주 004
번역주 004)
원문에는 「神聖」이라 한다. 「신성」은 『藝文類聚』 天部에 인용된 逸文 『三五歷紀』에 「盤古가 그 가운데에서 태어났다. 하루에 아홉 번 변하여 하늘에서는 神, 땅에서는 聖이라 하였다.」라고 나오는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천자 반고를 가리키고 있으나, 여기서는 일본인의 일반적인 신, 즉 ‘카미(神)’의 의미로 해석한다.
닫기
이 태어났다주 005
번역주 005)
이상은 중국의 『淮南子』 天文訓, 『藝文類聚』 天部, 『三五歷紀』 등을 이용하여 작문된 일반론이며, 중국의 신화전설을 빌어 천지의 시작이 이러이러했다고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보이는 장중한 문장도 모두 중국의 고전에 의거한 작문일 것이다.
닫기
. 그래서 이르길 천지가 개벽할 당초에는 토양이 떠다니는 것이 마치 물고기가 물속에서 자유로이 떠도는 것과 같았는데, 그때 하늘과 땅의 중간에 하나의 물체가 생겨났다. 그 형태는 갈대의 싹과 같았으며 이것이 신이 되었는데 바로 국상립존(國常立尊;쿠니노토코타치노미코토)주 006
번역주 006)
이 신명은 국토의 항구적인 존립을 표상하고 있다.
닫기
이라는 신이다[가장 존귀한 신을 존(尊)이라 쓰고, 그 이외의 것은 명(命)이라 쓴다. 양쪽 모두 미코토(美擧等)라 부른다. 이하 모두 같다.]주 007
번역주 007)
『日本書紀』 원문에서는 이와 같은 주를 두 줄의 작은 글씨로 표기해 본문과 구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문의 원주의 경우를 본문과 구별하기 위해 [ ] 안에 넣어 표시했다. 또한 신에 대한 존칭인 ‘미코토’의 한자 표기를 「尊」과 「命」으로 구분하는 방식은 중국 당나라 때 도교의 제신을 구별해 호칭하던 예를 따른 것이라는 이해도 있다.
닫기
.
다음으로 국협퇴존(國狹槌尊;쿠니노사츠치노미코토)주 008
번역주 008)
나라의 최초의 토지라는 의미이며, 이 신명은 막 형성된 토지를 표상하고 있다.
닫기
이 태어났고, 그 다음으로 풍짐정존(豐斟渟尊;토요쿠무누노미코토)주 009
번역주 009)
이 신명은 풍부하게 퍼올릴 수 있는 물이 있는 늪지를 표상하고 있다.
닫기
이라는 신이 생겨났다. 모두 합하여 삼신(三神)주 010
번역주 010)
神代紀에 등장하는 이들 최초의 신들은 소위 國土三神인데, 『古事記』에서 최초로 나오는 신은 高天原의 삼신, 즉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天之御中主神), 타카미무스비노카미(高御産日神), 카미무스비노카미(神産巢日神)이다. 또한 신대기와 『古事記』에 보이는 신들을 비교해 보면 신대기에는 181신들의 이름이 보이며, 『古事記』에는 267신이 등장하고 있다. 나아가 『古事記』의 267신과 공통되는 신대기의 신명은 본문에 56신, 일서에 56신이 각각 확인된다.
닫기
인데, 이들 세 신은 건도(乾道)주 011
번역주 011)
乾道는 坤道에 대한 말로 하늘의 도, 양의 도를 말한다. 여기서는 음양의 결합에 의하지 않고 양의 도, 즉 양기만으로 남신이 생겨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뒤에 보이는 純男, 즉 순수한 남자, 남성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닫기
, 즉 양기(陽氣)만으로 생겨난 신이다. 때문에 순수한 남신(男神)이 된 것이다.

  • 번역주 001)
    이 「神代」라는 명칭은 기본적으로는 『日本書紀』 神武天皇 이하에 보이는 「天皇代」에 대응하는 말이나 일반적으로는 神代紀(권1 신대 상과 권2 신대 하로 구성)와 『古事記』 상권을 아울러 칭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일본고대의 신화, 즉 신대의 설화가 매우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신대기 상하 2권의 구성 방식은 각 단락별(권1은 제1단부터 제8단까지, 권2는 제9단부터 제11단까지로 각각 구성)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는데, 우선 本文(正文이라고도 함)을 수록하고, 다음으로 본문과 다른 이야기인 異傳, 別傳을 「一書」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상권의 이야기는 세상이 시작되는 천지개벽에서 소잔오존(素戔嗚尊)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出雲신화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이하 첫 번째 이야기(제1단)는 천지개벽과 세 신들의 탄생이 이야기의 주제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하늘과 땅 사이의 정기가 모여 생겨난 두 개의 기운, 즉 만물을 소생하게 만드는 음양의 기운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원문에는 「神聖」이라 한다. 「신성」은 『藝文類聚』 天部에 인용된 逸文 『三五歷紀』에 「盤古가 그 가운데에서 태어났다. 하루에 아홉 번 변하여 하늘에서는 神, 땅에서는 聖이라 하였다.」라고 나오는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천자 반고를 가리키고 있으나, 여기서는 일본인의 일반적인 신, 즉 ‘카미(神)’의 의미로 해석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이상은 중국의 『淮南子』 天文訓, 『藝文類聚』 天部, 『三五歷紀』 등을 이용하여 작문된 일반론이며, 중국의 신화전설을 빌어 천지의 시작이 이러이러했다고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보이는 장중한 문장도 모두 중국의 고전에 의거한 작문일 것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이 신명은 국토의 항구적인 존립을 표상하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7)
    『日本書紀』 원문에서는 이와 같은 주를 두 줄의 작은 글씨로 표기해 본문과 구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문의 원주의 경우를 본문과 구별하기 위해 [ ] 안에 넣어 표시했다. 또한 신에 대한 존칭인 ‘미코토’의 한자 표기를 「尊」과 「命」으로 구분하는 방식은 중국 당나라 때 도교의 제신을 구별해 호칭하던 예를 따른 것이라는 이해도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8)
    나라의 최초의 토지라는 의미이며, 이 신명은 막 형성된 토지를 표상하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9)
    이 신명은 풍부하게 퍼올릴 수 있는 물이 있는 늪지를 표상하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0)
    神代紀에 등장하는 이들 최초의 신들은 소위 國土三神인데, 『古事記』에서 최초로 나오는 신은 高天原의 삼신, 즉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天之御中主神), 타카미무스비노카미(高御産日神), 카미무스비노카미(神産巢日神)이다. 또한 신대기와 『古事記』에 보이는 신들을 비교해 보면 신대기에는 181신들의 이름이 보이며, 『古事記』에는 267신이 등장하고 있다. 나아가 『古事記』의 267신과 공통되는 신대기의 신명은 본문에 56신, 일서에 56신이 각각 확인된다.바로가기
  • 번역주 011)
    乾道는 坤道에 대한 말로 하늘의 도, 양의 도를 말한다. 여기서는 음양의 결합에 의하지 않고 양의 도, 즉 양기만으로 남신이 생겨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뒤에 보이는 純男, 즉 순수한 남자, 남성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국상립존, 국협퇴존, 풍짐정존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천지개벽과 세 신의 탄생 자료번호 : ns.k_0001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