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대전자 고분군(大甸子 古墳群)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 위치
  • 유물번호
    S000125
  • 위치(출토지)
    고분군은 桓仁縣 四道河子鄕 大甸子村 북쪽에 위치하고, 대전자촌 灣溝子屯 사이의 충적대지 위에 끼여 있으며 대전자촌과 약 1㎞ 떨어져 있음
  • 지역
    본계(本溪市)
  • 유형
    고분>봉토분
  • 형태사항
    기타 
출토지
환인현 사도하자향 대전자촌 북쪽에 위치하고, 대전자촌 만구자둔 사이의 충적대지 위에 끼여 있으며 대전자촌과 약 1㎞ 떨어져 있음. (桓仁縣 四道河子鄉 大甸子村 北側位置. 大甸子村 灣溝子屯 間 沖積大地上, 大甸子村 1㎞ 離隔.)
구조특징
총 14기의 고분이 비교적 집중적으로 분포하는데 고분의 외부형태를 보면 모두 봉토묘로 추정됨.
정상부의 봉토는 대부분 파헤쳐지고, 묘실 상단를 덮은 장대석이나 판상석이 다수 옮겨져서 묘실이 노출된 상태로 봉토는 원구상이며, 1기가 홀로 우뚝 서 있는데 바깥 지름이 6~8m, 높이 약 1.5m의 규모임.
묘실 네 벽은 장대석, 판상석 등 커다란 돌로 축조, 장대석과 커다란 돌을 겹겹이 쌓아올린 구조로 석판을 지탱석으로 하고 묘실 상면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커다란 판상석으로 덮었음.
묘실 남쪽에는 墓道 설치되어 있으며, 묘실은 지하 또는 반지하에 위치하여 일부 묘실에는 지하수가 침입함.
묘실은 쌍실과 단실 구분가능하며 쌍실묘는 묘벽은 커다란 돌을 겹겹이 쌓아 올리고, 장방형 묘실 중간에 격벽을 두어 두 개의 방으로 구획한 형태이며 수량은 단실묘가 가장 많음.
고분평면은 刀形, 鏟形, 長方形 등이 확인되는데, 刀形 고분은 묘실은 장방형, 묘도는 남벽 서측에 위치하며 평면은 刀狀, 서벽은 2개의 커다란 장대석으로 축조하고 동벽과 북벽은 板石을 세워 축조했는데, 상부 판석은 원래 2~3개로 덮여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남단에 1개 판석만 남아 있음, 묘실 길이 1.56m·너비 1.4m·깊이 0.7m, 묘도 길이 0.8m·너비 0.6m.
鏟形 고분 : 묘도는 남벽 중앙부에 위치하고 평면은 方鏟이고 네 벽은 겹겹이 축조했으며, 정상부는 抹角조정함, 묘실은 근방형, 규모 길이 2.2m·너비 2m·깊이 약 1m, 묘도 길이 0.9m·너비 0.7m.
長方形 고분은 간단한 구조로, 뒤는 넓고 앞은 좁고 비교적 길며 묘벽은 할석으로 축조함, 남쪽에는 壁石이 없이 좁아지고 있어 묘문으로 추정됨, 길이 2m·북쪽 길이 1m·남쪽 길이 0.5~0.7·깊이 0.5m.
역사적 의미
대전자 고분군은 모두 봉토묘이며, 봉토석실묘 또는 봉토동실묘로 분류될 수 있음. 이러한 형식의 고분은 환인 고력묘자고분군, 집안 통구고분군 및 노호초 고분군 등에서 발견되며, 동시에 일정 수량의 유물이 출토된 바 있음.
고분군의 연대를 살펴보면 봉토묘는 고구려 시대에 비교적 늦게 출현한 고분 형식임. 소형 봉토석실묘는 계속 사용된 시간이 장구하며, 발해시기에도 사용됨. 그러나 長方形의 고분은 도형과 산형의 고분에 비해 이른 시기에 해당되며 상한은 兩晋시기로 비정됨.
그러나 장방형의 편재연도 무덤이 고분의 시간적 위치를 확정시켜주는 것은 아니며, 적석총도 일부 혼재하고 있음이 확인되므로 고분군의 정확한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음.
자연환경
고분군 주위에는 남부 산골짜기에서 흘러 내리는 시냇물이 있고 고분군의 지세는 비교적 평탄하며, 동측에는 농지가 있으며 고분군에는 높이 솟은 고압전선탑이 있음.
참고문헌
·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編纂委員會,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 1990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전자 고분군(大甸子 古墳群) 자료번호 : ku.d_0001_0080_0050_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