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시가 고분군(施家 古墳群)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 위치
  • 유물번호
    S000916
  • 위치(출토지)
    撫順市 撫城區
  • 지역
    무순(撫順市)
  • 유형
    고분>봉토석실분
  • 형태사항
    석실 
출토지
무순시 무성구(撫順市 撫城區)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2000요령성문물고고연구소, 무순시박물관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撫順市博物館)
2000년 11월 및 2001년 10~11월에 조사함. 조사 참가자는 이신전(李新全), 초경전(肖景全), 장파(張波), 여학명(呂學明), 이계군(李繼群), 왕유신(王維臣) 등임.
2000년 10월에 무순시 박물관은 무순시 시가(施家) 북산(北山)에서 고분이 도굴 당하였다는 보고를 받고 정황을 요령성문물국에 보고하게 됨. 요령성 문물국은 즉시 관련 인원을 조직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이곳이 고구려묘지임을 초보적으로 확인함.
요령성문물고고연구소와 무순시박물관이 연합고고대를 만들어 두 차례에 걸쳐 해당 묘지(墓地)에 대해 고고조사와 구제 발굴을 실시함. 고분군에는 지표에 약 100기의 고분이 노출되어 있음. 자연 지리적 분포 상황으로 동구(東區)와 서구(西區)로 나뉨. 두 차례의 정리와 발굴 작업은 모두 東區 동부에서 총 41기의 고구려고분을 발굴. 모두 봉토석실묘이며 이 가운데 벽화묘 1기(M1)가 확인됨. (『考古』 2007-10 참조. 『중국고고학연감』 2001년 및 2002년 글에서 각기 11기와 32기를 발굴하였다고 하는데 이에 근거하여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2008)에서 총 43기를 발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음. 보고서(『고고』 2007-10)에 의하면 고구려고분은 41기이고, 3기는 소형석관묘라고 하는데 앞서의 43기 발굴은 소형석관묘를 포함한 숫자로 파악됨)
구조특징
고분군은 두 갈래로 나뉜 산등성이의 양지바른 언덕에 자리하고 있음. 현장 조사를 거쳐 약 100여기의 고분이 지표 위에 노출된 것을 발견하였는데 자연 지형에 따라 동구와 서구로 나뉨.
동구는 첫째, 산등성이는 주 능선은 서북-동남 방향이며, 동단(東端)이 앞으로 돌출했음. 둘째, 무덤은 분포범위는 동쪽으로는 무순시위생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쪽으로는 무순시지진국(地震局)에 이르며, 전체 범위는 길이 650m임. 셋째, 산정상에서 산허리에 이르는 곳의 야채창고의 둘레담(圍墻)이 있는 100m지점부터 무덤은 열을 이루어 규칙적으로 분포하고 있음. 현지 주민에 의하면 야채창고와 위생학교를 건설 할 때 대량의 무덤이 파괴당하였다고 함. 이를 근거로 무덤은 산정에서부터 산기슭의 개활지로 계속 이어져 분포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수량은 상당했다고 볼만 함.
서구는 첫째, 무순시사범학교 뒤쪽에 위치하며, 산등성이의 주 능선은 동북-서남방향임, 둘째, 무덤의 분포범위는 전체길이가 500m이며, 무덤 분포구역 안에 골짜기가 발달하여 무덤은 분산되어 분포, 고분 배열의 밀집 정도는 동구보다 작음. 이 밖에 3기의 소형석관묘가 발굴되었는데 인골과 부장품은 보이지 않아 그 연대와 성질은 불명확함.
지층관계는 간단하고 분명한데 대다수 무덤의 봉토분구는 지표 위에서 판별이 가능하며 무덤 사이의 중복 관계는 없음. 정리 발굴한 41기 고분은 모두 봉토석실묘임. 축조방식은 다음과 같음. 첫째, 산비탈 위에 구덩이를 판 후(묘광), 자연석으로 묘실을 축조함. 둘째, 돌 사이에는 백회를 다량 발랐고, 일부 무덤은 백회를 사용하지 않음. 셋째, 천장은 모두 아치형(券頂)이며, 묘실 천정부는 대체로 지표보다 높음, 넷째, 그 위에 봉토를 하였음. 다섯째, 묘실 내부 네 벽은 대다수 백회를 발랐으며, 묘실바닥부에는 쇄석(碎石)을 한층 깔았고 일부 무덤은 목탄을 한층 깔았으며 그 위에 백회를 발랐음. 여섯째, 묘실은 모두 연도(문길, 門道)가 있으며, 연도(문길)의 길이는 무덤 크기에 정비례하며 문길 안에는 문 폐쇄석(封門石)이 있음.
M11호와 M15호가 심하게 파괴되어 형상이 명확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기타 무덤의 평면은 모두 중앙연도를 가진 산형(鏟形)이며, 묘실 평면 형태에 따라 방형과 장방형으로 나뉨. 방형 묘실이 장방형 묘실보다 규모가 큼. 방형묘는 총 22기이며, 장방형묘는 총 17기임. M1호, M5호, M11호, M16호, M23호, M27호, M31호, M38호 등의 묘실 안에서 관상(棺床) 또는 시상(屍床)이 발견되며, 그 가운데 M27호와 M38호는 관상이 2개임. 대다수 무덤의 방향은 200°~225°이며, 일부 무덤은 정남향(180°)에 가까움.
역사적 의미
매장풍속은 다음과 같음. 온전한 장구(葬具)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들 무덤 속에서 명확한 장구 흔적을 발견함. M1의 관상(棺床) 위와 주위에서 비교적 많은 칠기표피가 발견되었는데 관목(棺木)이 썩은 후에 남은 칠피로 추정됨. M10 및 M23 등의 무덤에서 대량의 관못(棺釘)이 발견되었는데 목관이 장구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됨. M3 묘실 바닥 동측의 백회면 위에서 명확히 장구 흔적이 찍혀 있는데 흔적은 길이 1.5m, 너비 0.56m임. M7 동측에 매우 완전하고 명확한 목관의 부패흔적이 남아 있는데 부패한 관목과 관못(棺釘)은 원래 자리에 놓여 있음. 관은 길이 2.6m, 너비 1m임. M7 안에는 4인이 매장되었는데 오직 1구만이 목관에서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3인은 장구사용이 아직 발견되지 않으나 보편적으로 목관을 장구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 일부 시신(死者)은 장구가 없었을 것으로 봄. 다수 무덤 속에서 인골이 남아 있는데 유아·청년·중년에서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있으며, 이는 과거 발굴된 고구려 무덤 속에서는 극히 드묾. 초보적 인골의 감정 및 발견을 거쳐 단인장 점유율이 매우 작은데 M6, M32, M37에서만 있으며, 묘주는 모두 성인 여성임. 2인합장묘는 10기로 대다수 성인 남녀 부부합장묘이며, M12 및 M25는 두 성인 여성합장묘이고 M17는 성인 여성과 유아의 합장묘임. 3인합장묘는 5기로 그 가운데 M26 및 M28는 모두 성인 남녀와 유아의 합장묘로 한 가정합장묘임이 확실하며, M22 및 M35는 모두 성인 남자와 두 성인 여자 합장묘로 남편과 처첩합장묘로 추정됨. 4~7인 합장묘는 14기이며, 무덤 가운데 인골에는 각기 연령대의 성인 남녀와 유아 골격이 포함되어 있었음. M19에서는 9인 합장까지 확인됨. 다인합장묘는 한 대가정의 합장묘로 추정됨. 무덤 속에서는 교란당하지 않은 인골은 모두 앙신직지(仰身直肢)이며 대다수 머리는 묘문을 향해 있음. 동시에 이차장 현상이 존재하는데 M31 속의 인골는 총 5개체가 있으며, 시상(屍床) 동측과 시상 서부 묘실 바닥의 2개체는 일차장이고, 그 밖의 3개체는 모두 두골만이 남아 있고 시상 위에 놓여 있었음. 이상 추측컨대 이들 무덤은 여러 차례에 걸쳐 열려져 사용된 것임.
고분의 연대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있음. 2007년 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M1에서 출토된 높은 주연의 연판문 와당(高邊輪蓮瓣紋瓦當), 적색의 니질 태토의 암키와(泥質紅陶板瓦), 뱀머리형 철제 화살촉(蛇頭形鐵鏃) 등은 전형적 고구려 풍격을 갖추고 있음. M34에서 출토된 발(陶鉢), M5에서 출토된 철촉(보고자: C형)과 M30에서 출토된 철촉(보고자: D형) 등이 모두 무순 고이산성에서 출토된 고구려 기물에서 대응되는 것을 찾았음. M5 및 M39에서 출토된 귀걸이[이추식(耳墜飾): 보고자 A형]는 북한 만달산(晩達山) 고분군(북한 평안남도 강동군 만달면 소재)의 M7 출토의 귀걸이(耳飾)와 기본적으로 동일함. M28 출토의 귀걸이(이추식: 보고자 B형)는 평안남도 용강군 추동 M8과 집안 출토 고구려 귀걸이와 매우 유사함. 이로써 이들 무덤이 고구려 무덤임을 확인할 수 있음. M18에서 출토된 2매의 개원통보(開元通寶)는 부분적으로 무덤 연대가 당(唐) 초(初期)보다 늦을 수 있음을 보여줌.
강현숙(2009)의 연구는 다음과 같음. 다인의 다차합장 무덤이며, 39호분에서 출토된 판상의 태환이식은 육정산 발해 고분에서도 유사한 이식의 예가 있으며, 18호분과 29호분의 대금구로 미루어 일부 무덤은 발해까지 시기가 내려갈 가능성이 있음.
묘지와 주위 관련 유적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음. 시가 묘지는 고이산성 동쪽 약 1.5㎞ 지점에 위치하며, 이들 무덤 안에서 출토된 암키와, 수키와, 와당 등은 고이산성 출토의 것과 일치하여 양자 사이의 관계가 밀접하였음을 보여줌. 즉 고이산성의 부속묘지로 인정됨. 시가 묘지의 발굴은 고구려산성 부근에 부속 무덤구역이 있었던 사실을 증명하였음. 이를 통해 심양시 문물고고연구소가 석대자산성을 발굴할 때 산성 주위에 대해 세밀한 고고조사를 실시하고 산성의 부속 무덤구역을 발굴하였는데 이곳의 무덤 형식 및 출토유물이 모두 시가 묘지와 유사함.
시가 묘지와 기타 지구 무덤과의 비교한 결과, 시가 묘지에서 발견한 무덤은 고구려 말기 무덤에 속하며, 과거 길림성과 요령성 경내에서 발견한 고구려 초·중기 무덤과는 다름. 고구려 초기 무덤은 대다수 지표 조성한 적석묘로 가운데에는 석광이 있고, 매장한 후에 묘상에 적석을 하였음. 중기 무덤은 여전히 지표에 조성하였으나 큰돌(大石)로 묘실을 쌓고 그 위에 봉석 및 봉토하는 석실묘가 출현함. 시가 묘지의 무덤은 지표에 조성하지 않았고 지하로 발전하고 있음. 먼저 묘광을 파내고 묘실을 쌓고 그 위에 봉토하여 무덤의 주체가 지하에 있음. 시가 묘지의 무덤은 길림에서 발견된 발해 무덤들과 유사한 점이 있음. 발해 무덤은 모두 먼저 지면 위에 장방형·방형 또는 타원형의 수혈토갱을 파내고 다시 다른 재료로 묘실을 구축하고 시신과 부장품을 매장하고 그 위에 봉토하여 봉토무지를 만듦. 규모는 비교적 대묘이고 연도(甬道)와 무덤길(墓道)을 조성함. 돈화 육정산 M207 및 M215, 정혜공주묘를 예로 들면, 앞의 두 무덤은 장방형묘실로 묘도가 있었으며 정혜공주묘는 방형묘실로 용도와 비교적 긴 묘도가 있음. 화룡 용해(和龍 龍海) M1은 돌(石塊)로 쌓은 관상(시상)이 있음. 위에 기술된 무덤의 구조는 시가 묘지 무덤과 유사한 점이 있음. 이 밖의 발해 무덤의 다인장 습속은 시가묘지와 매우 유사하며, 이들 공통점은 고구려 말기 무덤과 발해 봉토석실묘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진일보한 실마리를 제공함.
인골연구결과, 시가 묘지의 발굴과 함께 인골연구도 병행되었는데 분석에 의하면 시가의 두개골(顱骨)은 아시아 몽고인종 범주에 속하는데 특히 동북아시아 유형과 가장 근접함. 무순 시가의 고대주민은 파이사만(波伊斯曼)·하가점상층(夏家店上層)·삼령(三靈) 등의 주민과 가장 근접하고 통화 만발발자 석관묘 주민과 가장 소원함.
자연환경
고분군은 무순시 무성구에 위치하며, 무순시위생학교에서 무순시사범학교에 이르는 일직선의 북쪽 산비탈에 위치함. 고분군은 남쪽으로는 혼하(渾河)와 2.5㎞, 서쪽으로는 무서하(撫西河)를 사이에 두고 고이산성(高爾山城)과 1.5㎞ 떨어져 있음.
유물정보
금귀걸이(金製耳飾) 3점, 금동귀걸이(金銅製耳飾) 3점, 은비녀(銀簪) 1점, 은제허리띠고리(銀製鉸具) 14점, 은제장식(銀製裝飾) 4점, 은정(銀釘) 1점, 청동귀걸이(靑銅耳飾) 8점, 청동허리띠(靑銅帶具) 3점, 청동장식(靑銅裝飾) 1점, 청동팔찌(靑銅環) 2점, 청동못(靑銅釘) 2점, 철제거울(鐵鏡) 2점, 철제허리띠고리(鐵製鉸具) 1점, 철도(鐵刀) 1점, 조형기(鳥形器) 1점, 철촉(鐵鏃) 10점, 철갑편(鐵甲片) 1점, 호(陶器) 1점, 발(鉢) 1점, 심발형토기(深鉢形陶器) 1점, 와당(瓦當) 1점, 암키와(女瓦) 1점, 수키와(雄瓦) 1점, 석제구슬(石珠) 3점, 개원통보(開元通寶) 2점, 패각류(貝殼類) 1점
참고문헌
· 呂學明·李新全·肖景全·張波, 「遼寧撫順市施家墓地發掘簡報」『考古』 2007-10, 2007
· 肖景全·鄭辰, 「撫順地區高句麗考古的回顧」『東北史地』 2007-2, 2007
· 강현숙, 「高句麗 故地의 渤海 古墳 - 中國 遼寧地方 石室墳을 中心으로」『韓國考古學報』 72, 한국고고학회, 2009
· 國家文物局,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上·下), 西安地圖出版社, 2009
· 肖景全·鄭辰, 「三十年來撫順地區的高句麗考古發現與相關問題硏究」『高句麗與東北民族硏究』, 吉林大學出版社, 2009
· 方启·陳山·張全超, 「撫順施家墓葬人骨研究」『邊疆考古研究』 9, 科學出版社, 2010
· 張全超·陳山·方启, 「遼寧撫順施家高句麗墓地人骨微量元素的初步研究」『邊疆考古研究』 9, 科學出版社, 2010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시가 고분군(施家 古墳群) 자료번호 : ku.d_0001_0070_004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