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와혼목 2호묘(洼渾木 2號墓)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 위치
  • 유물번호
    S000855
  • 위치(출토지)
    撫順縣 章党鎭 洼子伙洛村
  • 지역
    무순(撫順市)
  • 유형
    고분>봉토석실분
  • 형태사항
    4점  , 석실 
출토지
무순현 장당진 와자화낙촌(撫順縣 章党鎭 洼子伙洛村)
연대
고구려 중기~말기, 남북조~수당(王增新1964). 당대로 내려갈 가능성 있음(강현숙 2009)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56年 9月~10月, 1957年 10月요령성박물관문물공작대
(遼寧省博物館文物工作隊)
陳大爲, 張彦儒, 王寶善, 董彦明, 李慶發, 馮永謙, 金殿士, 潘景宜, 王增新 등이 조사에 참여함.
1956년 전둔 및 와혼목의 고구려 무덤을 발굴. 전둔에서 13기를 발굴, 와혼목에서 2기를 발굴함.
1957년 10월에 계속해서 전둔에서 4기를 발굴.
총 19기를 발굴. 출토유물은 70여점임.
일찍 파괴당하여 매장방식(葬式) 및 장구(葬具)는 명확하지 않으며, 출토유물은 비교적 적으며 어떤 것은 잔편만이 남아 있음.
구조특징
와혼목2호묘는 봉토석실묘로 무덤방향은 196°이고 고임식천정(疊澀頂)임.
묘실 안의 인골은 썩어 남아 있지 않음. 묘실 후벽(後壁) 아래에서 손잡이가 2개인 호(雙耳陶罐) 및 황색시유도(黃釉陶罐) 각 1점, 묘실 중앙부 좌측에서 청동 팔찌(銅鐲) 및 금동귀걸이(包金銅耳環) 각 1점, 묘실 우측의 남벽 아래에서 금동귀걸이(包金銅耳環) 1점이 출토됨. 손잡이가 2개인 호(雙耳陶罐)를 제외하고 기타 유물의 위치는 모두 원위치에서 이동된 상태임.
내부규모 및 특징
묘실 남북 길이 2.2m, 동서 너비 1.38m, 잔존 높이 0.2m. 묘도 길이 0.9m, 너비 0.62m임
역사적 의미
와혼목 고분군은 함께 발굴한 전둔 고분군과 거리는 있지만 구조 및 건축재 등이 서로 동일함. 부장품 역시 니질 토기, 시유 도기, 장식품의 재료, 제작기법, 양식과 무늬모양 등이 모두 동일함. 이런 정황은 비록 두 지역으로 나누어 분포하나 동일계통의 유적임을 알 수 있음.
묘장 구조상 고임식천정은 환인 및 관전(寬甸) 등의 동일 유형 고구려 고분과 동일한 특징을 갖추고 있음. 부장 유물상, 토기 형식는 비교적 위·진 작풍에 가까우며 환인 혼강 고구려 무덤에서 출토된 것과 대동소이함. 철촉의 형식은 집안 고구려 무덤 및 무순 고이산성 출토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함. 다만 봉인(鋒刃)은 집안에 비해 약간 좁고, 고이산성의 것에 비해 대체로 넓음.
장식(葬式)에서 고임식천정무덤에서 인골은 대다수가 3인 합장이며, 1인장은 소수임. 평천정묘의 묘실은 모두 매우 좁고 작아 모두 단인장임. 인골은 모두 앙신직지장(仰臥平伸葬)이며, 부부합장묘는 남자가 우측, 여자가 좌측에 자리하고 있음. 인골의 머리 방향은 절대다수가 남향임. 그 가운데 머리가 묘문을 향하는 장법은 확연히 기타 지구에서 머리가 후벽(後壁)을 향하는 장법과 다른 점임. 이는 당시 해당지역에서 유행하던 일종의 매장습속으로 추정됨.
묘장이 간단하고 협소하여 부장품은 매우 적거나 거의 없으며, 기물(器物) 유형도 간단하며, 소수 무덤에서 1·2점의 장식품이 부장되는 것을 제외하면 모두 토기임. 이들 묘장의 대다수는 일반인의 무덤으로 추정됨.
이들 묘장의 연대에 대해 추측하면 자료가 비교적 적어 각 무덤의 명확한 연대를 확정할 수 없음. 그것들을 총괄해 보면 고구려 중기에서 말기, 즉 남북조에서 수당 때로 추정됨(王增新 1964).
전둔 7호묘에서 출토된 대금구는 당식(唐式) 대금구로 고구려로 보기 어려움. 전둔과 와혼목의 고분이 비슷한 양상임을 감안해 볼 때 와혼목고분은 고구려보다는 당대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음(강현숙 2009).
자연환경
무순현 장당진 와자화낙촌 안에 위치. 무순시 동쪽 혼하 북안의 강변 평지 위에 위치함.
와혼목(洼渾木)은 전둔(前屯) 동북 7㎞에 위치하며, 두 지역 사이에는 산등성이 하나와 서사와촌(西沙窩村)이 있음. 이 일대는 혼하 중·상류의 구릉지대임. 와혼목과 전둔은 모두 혼하를 향해 있으며 뒤로는 구릉을 등지고 있음.
유물정보
황색시유도(黃釉陶罐) 1점, 호(陶罐) 1점, 청동 팔찌(銅鐲) 1점, 금동이환(包金銅耳環) 2점
참고문헌
· 王增新, 「遼寧撫順市前屯·窪渾木高句麗墓發掘簡報」『考古』 1964-10, 1964
· 肖景全·鄭辰, 「撫順地區高句麗考古的回顧」『東北史地』 2007-2, 2007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上·下), 西安地圖出版社, 2009
· 肖景全·鄭辰, 「三十年來撫順地區的高句麗考古發現與相關問題硏究」『高句麗與東北民族硏究』, 吉林大學出版社, 2009
· 강현숙, 「高句麗 故地의 渤海 古墳 - 中國 遼寧地方 石室墳을 中心으로」『韓國考古學報』 72, 한국고고학회, 200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와혼목 2호묘(洼渾木 2號墓) 자료번호 : ku.d_0001_007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