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소진가고분(小陳家古墳)

  • 구분
    유적
  • 시대
    청동-철기시대
  • 위치
  • 유물번호
    S000684
  • 위치(출토지)
    遼寧省 鳳城縣
  • 지역
    단동(丹東市)
  • 유형
    고분>기타
  • 형태사항
    1점  , 기타 
출토지
요녕성 봉성현(遼寧省 鳳城縣)
연대
초기철기시대, 전국 중만기 또는 그 이후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64 봉성현 제형산공사 삼가자대진 소진가사원(弟兄山公社 三家子大隊 小陳家社員), 마을 북쪽 500m 지점의 석퇴에서 장방형 석관묘 1기를 발견.
구조특징
고분은 장방형의 판석조 석관묘로 판석 두께가 20㎝임. 석관 안에서 청동 단검 1점가 발견됨.
역사적 의미
봉성 소진가 무덤도 압록강 중하류역의 석퇴유적과 마찬가지로 청동기가 출토되어서 석퇴무덤과 같은 성격으로 파악하고 있음. 압록강 중하류역 석퇴유적은 적석묘로 보기도 하고, 석관묘로 보기도 함. 그러나 봉성 소진가 무덤은 관전 조가보, 포자연, 사평가유적과는 달리 지상에서 돌무지가 확인되지 않았음. 그러나 돌로 무덤을 쌓았다는 점에서는 압록강 중하류역의 석퇴유적과 특징을 같이 할 것으로 판단됨.
단동지구에서 출토된 청동단검은 세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제1형식은 검날 하단의 원호(圓弧)가 비교적 넓고 검날 말단은 원호형(圓弧形)으로 줄어들고, 검끝은 비교적 짧고, 등대(柱脊) 위에는 돌기(脊突)가 있음(사례: 岫巖 西房身 유적). 제2형식은 검신이 비교적 길고, 검끝이 길고, 검날 전단부는 비교적 좁거나 수직에 가깝고, 후단부는 명확히 돌출부분이 있으며, 검날 말단은 꺾여 줄어듦(사례: 관전 조가보자 유적 및 봉성 소진가 유적). 제3형식은 검신이 비교적 길고, 검끝이 길고, 검날 하단은 직절(直折)되고, 검날 말단은 꺾여 줄어들고, 등대(柱脊) 위에는 돌기(脊突)가 없음(사례: 東溝 大房身 유적).
제1형식의 청동단검 유적에서 비교적 이른 과능형(瓜稜形)의 손잡이 가중기(石枕狀器)가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 청동단검 형식과 동일한 다른 지역 청동단검묘에서 아직 철기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춘추시기에 해당한다고 추정됨. 제2형식의 청동단검은 엽맥문(葉脈紋)의 쌍뉴동경과 엽맥문의 동모과 함께 출토되는데 이 동경과 동모는 길림 집안의 방단적석묘 속에서 발견됨. 집안 출토의 청동단검이 단동지역 제3형식 청동단검과 형식이 동일하므로 단동지역 출토의 제2형식과 제3형식의 청동단검 시대는 대체로 비슷하다고 여겨짐. 단동지구 제2형식과 같은 환인현 대전자 청동단검묘에서 전국시기 명도전과 철도(鐵刀)가 출토되었으며, 집안 청동단검묘에서 도끼날모양(鏟形) 철촉이 출토되었기 때문에 단동지구 출토의 제2형식과 제3형식의 청동단검은 그 연대가 전국 중만기(戰國 中晩期) 또는 그 이후로 추정됨.
봉성 소진가 고분의 청동단검은 제2형식에 해당하므로 고분 연대는 전국 중만기 또는 그 이후로 추정됨.
자연환경
봉성현 제형산공사 삼가자대진 소진가사원(弟兄山公社 三家子大隊 小陳家社員), 마을 북쪽 500m 지점에 위치.
유물정보
동검(銅劍) 1점
참고문헌
· 許玉林·王連春, 「丹東地區出土的青銅短劍」『考古』 1984-8, 1984
· 박진욱, 「초기 좁은 놋단검문화의 내용과 발전과정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 1987-1, 사회과학출판사, 1987
· 손영종, 「고구려 건국년대에 대한 재검토」『력사과학』 1990-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0
· 田村晃一, 「高句麗の積石塚」『東北アシアの考古學』, 六興出版, 1990
· 강인숙, 「고구려에 선행한 고대국가 구려에 대하여」『력사과학』 1991-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1
· 池炳穆, 「遼東半島와 鴨綠江 中·下流地域 積石墓의 관계-高句麗 積石墓의 기원에 관한 試論」『史學硏究』 53, 한국사학회, 1997
· 강현숙, 「고구려 적석총의 등장에 대하여」『경기사학』 3, 경기사학회, 1999
· 지병목, 「高句麗 成立期의 考古學的 背景-묘제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고구려의 국가형성』, 고구려연구재단, 2005
· 여호규, 「高句麗 초기 積石墓의 기원과 築造集團의 계통」『역사문화연구』 39, 한국외국어대학교역사문화연구소, 2011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진가고분(小陳家古墳) 자료번호 : ku.d_0001_005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