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집안 산성자산성 성벽(集安 山城子山城, 丸都山城 城壁)

  • 구분
    유구
  • 시대
    고구려 초기
  • 유물번호
    F000237
  • 위치(출토지)
    集安 山城子山城, 丸都山城(집안 산성자산성)
  • 형태사항
    동벽 1,716m, 서벽 2,440m, 남벽 1,786m, 북벽 1,009m, 전체 둘레 6,947m.  , 1 점 
출토지
중국 길림성 집안시 국내성지에서 통구하를 따라 북으로 2.5㎞ 떨어진 높은 산에 위치. 지리좌표는 궁전지 북쪽을 기준으로 N: 41°09'02", E: 126°09'26.2"임. 산성이 위치한 산은 해발 652m임.(中國 吉林省 集安市 國內城址에서 通溝河를 따라 北으로 2.5㎞ 떨어진 높은 산에 위치. 地理座標는 宮殿址 北을 基準으로 N: 41°09'02", E: 126°09'26.2"임. 山城이 位置한 山은 海拔 652m임.)
유적명
산성자산성(山城子山城, 丸都山城)
구조특징
관야정(1913)의 조사내용으로는 산성의 남쪽이 가장 낮아서 성안의 물이 모여 이곳에서 바깥으로 흘러나감. 성을 둘러싼 산봉우리의 조금 낮은 외곽선을 따라 석축 성벽을 쌓음.
규모는 성벽 둘레 약 1리, 성벽의 폭 약 3칸, 성벽의 높이 약 11척 5촌임.
지내굉(1936)의 조사내용에 따르면 축조양상은 산능선을 따라 성벽이 곳곳에 축조되어 있고 낭떠러지 위에도 성벽이 축조되어 있음. 내외벽 모두 다듬은 돌을 규칙적으로 쌓았는데 내벽이 낮고 외벽이 높으며 내부에는 적당한 크기의 강돌로 채웠음. 성벽의 높이는 지점에 따라 다름. 동벽 남단은 C지점 4척 1촌, C’지점 11척 5촌, C’’지점 14척 9촌. 북벽은 J지점 17척임.
남벽은 남문을 기준(A지점)으로 동, 서 두 구간으로 나누어 조사함. 먼저 동쪽 구간은 남문에서 동북방향으로는 남문의 동쪽 날개를 이루는 성벽은 조금만 올라가면 끊겼다가 산세가 급격하게 험준해지는 B지점부터 성벽을 축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심하게 붕괴되어 그 구조를 상세하게 파악할 없음. 서쪽 구간은 통구하(계아강)에 잇닿은 낭떠러지를 이용해서 축조하였음. 성벽의 높이는 수 척 내지 십 수 척에 이르며 심하게 붕괴되었음. 잔돌과 강돌이 뒤섞여 있는데. 이는 본래 성벽의 내외벽과 그 속(내부, 안채움부)에 사용하는 성돌을 달리했기 때문으로 추정됨.
동벽은 C지점 끝에서 성벽은 방향을 서북으로 바꾸어서 F지점까지 같은 방향으로 곧장 뻗어있음. 즉 산성의 동벽이라 불리는 부분인데 그 중간에는 D·E 등의 산봉우리가 있어서 산세의 기복이 있으며 점차 고도가 높아짐. 성벽은 C지점에서 시작해서 서북으로 3정 정도 구간에 축조되어 있으며, 거의 완전한 상태로 남아있음. CD, DE, EF 구간의 낮은 지점에도 성문을 설치한 성벽이 단속적으로 남아 있음. 성문터 부근에는 기와편이 흩어져 있음.
북벽은 F지점에서 G·H 2개의 산봉우리를 지나서 산등성이가 노출된 고봉 K지점까지를 북벽이라 함. FH 구간은 기복이 조금 완만하게 위쪽을 향해 가는데 비해 HK 구간은 경사가 급해서 암벽이 높고 험준함. IK 구간의 성벽은 암벽의 바깥면을 따라 축조했는데 매우 견고함. J지점 부근의 성벽은 높이 17척 정도로 축조되어 있음. JK 구간 가운데 산능선이 오목하게 낮은 곳에 트인 곳이 있는데 소량의 기와편이 어지러이 널려있음. 대체로 문지로 추정됨.
서벽은 서북모서리에 해당하는 K지점이 산성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해발 678m임. K지점에서 서남쪽으로 내려가는 구간이 서벽에 해당하지만 실사하지 못함(당시 조사단을 호위했던 일본 군인의 증언에 의하면 N지점 부근에 성벽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함).
이전복(1982)의 조사내용에 따르면 천연의 자연지세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쌓은 석축 성벽임. 가령 동남 모서리는 깎아지른 낭떠러지나 절벽을 천연성벽으로 삼았는데 트인 곳만 막았을 뿐임. 반면 산능성이 평탄한 지점에는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여 성벽을 층층히 잘 쌓았음.
동, 서, 북 3면의 성벽은 반원형의 산등성이 위에 쌓았는데 바깥쪽은 가파른 절벽과 잇닿아 있고 안쪽은 광활한 산비탈을 둘러싸고 있음. 성돌은 잘 다듬었는데 일반적으로 길이20~50㎝, 폭 29~40㎝(집안현문물지; 90~40㎝, 여호규; 40~90㎝), 두께 10~27㎝(집안현문물지, 여호규; 10~30㎝)임.
성벽의 외벽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안으로 들여쌓았으며 건축 기술의 수준이 비교적 높음. 산등성이의 기복에 따라 성벽의 높낮이도 다르며 산등성이의 오목하게 들어간 곳은 성벽을 더 높이 쌓았음.
동벽 길이는 1,716m임. 동벽의 산등성이는 대체로 평탄해서 대부분 높게 돌로 성벽을 쌓았음. 특히 남쪽 구간의 보존상태가 좋음.
북벽 길이는 1,009m임. 성벽 높이는 일반적으로 5m 이상임. 북벽의 산등성이는 대체로 평탄해서 성벽의 높이도 가장 높고 보존상태도 가장 좋음. 북벽의 동쪽 구간은 산봉우리 안쪽이 험준하기 때문에 산봉우리 중턱 바깥쪽에만 성벽을 축조하였음.
서벽 길이는 2,440m이고 성벽 높이 4-5m임. 산등성이의 기복이 비교적 큼. 중간에 높은 봉우리가 하나 있으며 이 봉우리에서 양측으로 뻗은 산세가 험준하기 때문에 천연의 산등성이를 성벽으로 삼았음. 남쪽 구간은 대부분 다듬은 돌로 쌓았으나 많이 무너졌음. 북쪽 구간 산등성이는 대체로 평탄하나 산봉우리의 안쪽이 험준하기 때문에 성벽을 산봉우리 중턱 바깥쪽에 축조하였음.
남벽의 길이는 1,786m임. 높이 15~20m인 수직 낭떠러지 위에 축조하였고 낭떠러지는 통구하와 잇닿아 있음. 대부분 무너져 겨우 성벽 기초의 흔적만 남아있음. 남벽 서쪽 구간에 잔고 1m 정도의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있음.
2004년 보고서의 조사내용으로는 성벽은 산세를 따라 축조되어 있어 기복이 완연함.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북고남저로 전체적으로 남쪽으로 경사진 “키” 모양을 이룸. 동, 서, 북 3면의 성벽은 둥글게 감싼 산능선을 따라 축조했으며 바깥쪽은 가파른 절벽에 잇닿아 있고 안쪽은 넓은 산비탈임. 남벽은 1호 문지 부근의 지세가 비교적 낮으며 그 나머지 부분은 하천과 잇닿아 있는 낭떠러지 절벽상에 축조했음. 전체적으로 불규칙한 장방형을 이룸. 성벽은 자연지세를 충분히 활용하여 축조하여 고구려산성의 특징을 구현했음. 산성의 동남모서리는 가파른 절벽을 천연성벽으로 삼고 트인 곳에만 인공성벽을 축조했음. 다른 곳에서도 이러한 방식으로 성벽을 축조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음. 산능선이 평탄한 곳은 화강암 석재를 활용하여 성벽을 축조했음. 성벽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안쪽으로 조금씩 들여쌓아 외벽면이 안쪽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하고 있음. 산능성이 오목하게 들어간 구간은 비교적 높게 축조했음.
동벽 남단, 서벽 북단, 북벽 서단의 보존상태가 양호함. 특히 북벽의 구축상태가 견고한데 높이 5m 전후에 이름. 성벽 내부에는 양끝이 뾰족한 북꼴 돌을 교차하여 쌓고 그 사이의 빈틈은 잔돌로 메웠으며 내외 벽면은 쐐기형 돌을 북꼴 돌 사이에 끼워넣은 방식으로 축조했음.
뾰족한 북꼴 돌의 크기는 길이 0.6m, 너비 0.25m, 두께 0.15-25m이며 쐐기형 돌은 일반적으로 길이 0.2-0.5m, 너비 0.29-0.4m, 두께 0.1-0.27m임.
2002년 5월에 성벽의 전체적인 보존 상태와 유존 상황을 조사함. 성벽의 방향, 구조, 축조 방식, 파괴 원인, 보축 현황 등을 파악함.
2004년 2월에 성문 및 성벽의 특징이 명확한 부분을 중심으로 재조사함. 성벽 상에 14개 좌표점을 표시하고, 서남각에서 시작하여 시계 역방향으로 조사했는데, 남, 동, 북, 서의 영문 첫 자를 따서 남벽부터 S1(남)-S4, E1(동)-E3, N1(북)-N3, W1(서)-W3 등의 좌표를 설정함. 가장 마지막의 W3 지점의 위치는 서벽 해발 577m 좌표상에 위치함. 성벽은 모두 13 구간으로 나뉨. 그 중 남벽은 4구간, 동, 북, 서벽은 각기 3구간으로 나눔. 성벽은 Q, 트인 곳은 H, 돌구멍은 D로 약기함.
남벽은 산성 입구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함. 골짜기 입구 동, 서 양측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지세가 점점 높아져 해발 296-367m 사이에 있음. 지세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평탄함. 중앙 남문을 기준으로 동, 서 두 구간으로 구분됨. 동단은 성벽 동남 모서리에서 동벽과 서로 이어져 있음. 서단은 2호문지
남측에서 옹성과 연결되며 성벽 아래는 통구하 계곡과 닿아있음. 비교적 심하게 파괴됨. 현재 지표에 잔존하는 성벽은 3구간으로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곳의 전체 길이는 137m임. A 구간은 S1-S2 사이에 위치하며 서남각에서 남벽 서단의 모서리가 꺾이는 곳까지임.
이 구간의 성벽은 비교적 심하게 파괴됨. 규모는 잔고 0.5m, 너비 2m임. 외측의 비탈면에서 무너진 성돌이 적지 않게 발견됨. 성벽상에는 현재 수목이 빽빽하게 자라고 있음.
B 구간의 위치는 S2-S3 사이로 남벽 서단의 꺽이는 지점에서 1호 문지 서측까지임.
이 구간은 3구간의 벽체가 보존되어 있음. 성벽이 붕괴된 곳이나 성벽이 없는 부분은 모두 트인 곳으로 표시했는데 서쪽에서 동쪽으로 각 구간의 양상을 서술해나가면 아래와 같음. Q1의 규모는 길이 14m, 높이 0.6-2.5m임. 양쪽 낭떠러지 사이의 움푹 들어간 지점에 축조했음. 벽면은 약간 안으로 들여쌓았는데 외벽의 면석이 모두 탈락되어 내부 구조가 노출되어 있음. Q2는 길이 123m, S2 지점에서 시작함. 잔고 0.5-1m, 너비 5.5m임. 비교적 심하게 파괴되었음. 지표에 무너진 대량의 돌덩이 더미는 기본적으로 당시의 성벽 상황을 반영함. 이 구간은 가파른 수직 낭떠러지임. 낭떠러지 아래는 통구하이며 낭떠러지 위에는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다만 벼랑 사이의 움푹 들어간 지점에 파괴가 심한 벽체 일부가 남아있음.
C 구간은 S3-S4 사이에 위치하며 1호문지 서측에서 남쪽 낭떠러지 동단까지(보고서에는 서단으로 명기되어 있으나 동단의 오기로 판단됨)임. 이 구간의 외측 산비탈은 비교적 가파르며 성벽은 심하게 파괴되었음. 무너진 성돌 더미가 외측 산비탈에 있음. 성벽의 현존 최고 높이 0.6m, 너비 2.6m임.
D 구간의 위치는 S4-E1 사이로 남쪽 낭떠러지의 동단(보고서에는 서단으로 명기되어 있으나 동단의 오기로 판단됨)에서 성벽 동남각까지임. 이 구간은
가파른 낭떠러지로 해발 367m임. 자연 절벽을 천연성벽으로 이용하였음. 동벽은 가파른 산능선 위에 축조하였으며 해발 고도는 367~627m 사이임. 성벽 양측 산기슭의 경사도가 비교적 급함. 6호, 7호 문지가 있어 양측 골짜기와 서로 통함. 남에서 북으로 세 구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성벽은 357.2m임. E 구간의 위치는 E1-E2 사이로 성벽의 동남 모서리에서 7호 문지까지(동벽은 문지 양쪽에 있는데 남에서 북까지 차례대로 7호, 6호문지로 명명)임. 동남모서리는 암석 위에 축조되었고 외측 벽면은 점차 안으로 들여쌓기를 하였음.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함. 현재 남아있는 성벽은 3~10단 정도로 잔고 0.6~1.5m임(2010년 10월 현장 조사에서 성가퀴 부분까지 포함하면 20단 이상으로 축조한 성벽을 확인했음.). 모두 10구간에 성벽이 남아 있으며 각 구간 사이는 벽체가 붕괴되어 형성된 트인 곳인데 각 구간의 양상을 남에서 북쪽으로 차례대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음.
Q1은 길이 18.5m, 잔고 1.8m, 성벽의 단수 10단임. H1은 길이 5m임. Q2는 길이 8m, 잔고 3.2m, 현존 성벽은 16단임. 성가퀴 축조됨. H2는 길이 9m임. Q3는 길이 9m, 잔고 3.4m, 현존 성벽은 18단임. 성가퀴 축조됨. H3는 길이 5m, 트인 곳에 큰 나무 한 그루가 있음. Q4는 길이 40m, 잔고 3.55m, 성벽은 23단임. 성가퀴 축조됨. H4는 길이 9m임. Q5는 길이 7m임. 심하게 파손된 상태임. H5는 길이 6m임. Q6는 길이 12m, 잔고 3,2m, 성벽은 16단임. 성가퀴 축조됨. H6는 길이 35m임. 심하게 파손된 상태임. 성벽의 큰 면적이 무너졌기 때문에 지면에 소량의 성돌이 보임. Q7은 길이 12m, 잔고 4,3m, 성벽은 21단임. 성가퀴 축조됨. H7은 길이 7m임. Q8은 길이 3m임. 남은 부분은 파손 상태가 심함. H8은 길이 6m임. Q9은 길이 7.5m임. 남은 부분은 파손 상태가 심함. H9은 길이 7m임. Q10은 길이 10m, 잔고 3.3m, 현존 성벽은 16단임.
F구간의 위치는 E2-E3 사이로 7호 문지에서 6호 문지까지임. 모두 16구간에 성벽이 남아 있음. 성벽이 심하게 무너졌거나 성벽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곳은 모두 트인 곳으로 설정함. 남에서 북으로 각 구간의 양상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음.Q1은 길이 5.5m, 너비 4.65m임. 7호 문지의 북측 평대이며 보존 상태는 대체로 좋지 않음. 내측 잔고 0.7m, 잔존 성벽은 4단임. H1은 길이 14m임. 지세는 비탈이며 북고남저임. 성돌이 보이지 않음.Q2은 길이6m, 잔고 2m임. 현존 성벽은 11단임. 암석 위에 축조하였음. H2은 길이 9m임. 이 구간은 암석 구간으로 성돌은 보이지 않음. 천연암석으로 된 초벽장을 이용해 방어벽을 만들었음.Q3는 길이 12m, 너비 3m, 잔고 3m임. 잔존 성벽은 17단이고 내측 성돌은 모두 이미 무너져서 둑 모양을 이루었음. H3 구간은 비교적 긺.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4는 길이 7.9m, 잔고 0.6-1.7m임. 잔존 성벽은 4~8단임. 벽체는 암석 위에 축조하였음. 암석의 방향으로 인해 벽체 남단은 약간 밖으로 꺾였는데 꺾인 부분의 길이는 1.1m임. H4의 길이는 5m임. Q5는 길이 3.1m, 잔고 3.2m, 잔존 성벽은 19단임. 북단은 암석에 의지해 축조하였고 외측 벽체는 약간 안으로 들여쌓았음. H5는 길이 20m임. 심하게 파괴되었으며 소량의 성돌이 남아 있음. Q6는 길이 15m임. 이 구간의 벽체는 암석에 의지해 축조하였고 중간에는 두 군데 작은 틈새가 있음. 잔고 1.2~2.2m, 잔존 성벽은 6~14단임. 이 구간의 벽체의 북부에 성가퀴를 설치하였음. H6는 길이 7m임. 파괴가 심함. 지표에는 비교적 많은 성돌이 남아있음. Q7은 길이 8.3m, 너비 1.4m, 잔고 3.2m임. 현존 성벽은 21단임. 외측 벽면은 층마다 안쪽으로 들여쌓기 하였음. H7은 길이가 28.5m임.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8은 길이 18.4m, 잔고 3.8m임. 잔존 성벽은 19단임. H8은 길이 5.6m임. 트인 곳에서 성벽의 단면 구조를 볼 수 있음. 벽 내부는 뾰족한 모양의 길쭉한 돌을 쌓아올려 축조했고 빈 틈을 잔돌로 채워 넣었음. 외측 벽면은 쐐기형 돌을 사용하여 쌓았음. Q9의 길이는 3m, 높이 3m임. 큰 암석의 남측 경사면 위에 축조하였음. 경사면의 기울기는 매우 가파름. H9의 길이는 39m임. 기본적으로 성벽이 없으며 경사지로 북고남저임. Q10은 길이 16m, 너비 0.9m임. 암석에 의지해서 축조하였음. 외측 잔고 0.5~3m, 내측 잔고 0.25m임. H10은 길이 14m임. 이 구간은 암석임. Q11의 길이 13m, 너비 0.9m임. 이 구간의 성벽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북부 구간의 길이는 4.5m임. 보존 상태가 비교적 좋음. 외측 잔고 3.2m, 내측 잔고 0.5m임. 내측지 적석 4단임. 남부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지 않으며 잔고 1m로 외벽의 성돌은 이미 무너졌음. H11의 길이는 177m임.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12의 길이 22m임. 이 구간의 성벽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남부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지 않음. 길이는 12m, 잔고 1.2m임. 북부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좋음. 길이는 10m, 너비 0.9m, 외측 잔고 3.7m, 내측 잔고 0.65m임. H12의 길이는 108m임.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13의 길이는 26m임.
이 구간은 성벽이 파괴되어 있음. 성벽 내외측면은 모두 이미 무너졌으며 내측 잔고는 0.3~0.6m임. H13의 길이는 40m임. 기본적으로 성벽이 보이지 않음. Q14의 길이는 3.3m, 잔고 3.2m임. 이 구간의 벽체는 Q13의 북단과 서로 연결되어 있음(Q13과 Q14 사이에 성벽이 보이지 않는 트인 곳의 길이가 40m라고 했는데 양자의 성벽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서술을 명확히
이해할 수 없음. 오기일 수 있으므로 추후 확인할 필요가 있음.). H14의 길이 95m임. 성벽의 파괴정도가 심하며 성돌이 보이지 않음. Q15의 길이는 3m, 잔고 3.2m임. Q16의 길이는 5m, 너비 4.5m, 내측잔고 1m임. 이 구간의 성벽은 6호 문지의 남쪽 평대임.
G구간의 위치는 E3-N1 사이로 6호 문지에서 성벽 동북모서리까지임. 이 구간은 6구간에 성벽이 남아있음(Q 1-6). 성벽이 없는 부분은 모두 트인 곳으로 기록함. 남에서 북쪽으로 각 구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음. Q1의 길이 12m임(6호 문지의 북측 평대 포함). 너비 4.1m, 내측 잔고 1~2m. H1의 길이 12m임. 기본적으로 성벽이 보이지 않음. Q2의 길이 3m, 높이 2~3m임. H2의 길이 120m임. 이 구간은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으며 비교적 평평하고 완만한 흙언덕임. Q3의 길이 14.5m임. 파괴가 심함. 외측 벽면은 모두 이미 무너졌음. 내측 높이 1.2m임. H3의 길이 51m임. 이 구간은 모두 동서방향으로 뻗어있는 암석임. Q4의 길이 4.4m임. 성벽은 이미 무너졌음.
H4의 길이 108.5m임.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5의 길이 10.5m임. 너비 3.1m., 내측 높이 1.5m, 외측 높이 3.2m임. 이 구간의 남쪽은 오목한 곳에 성벽을 축조했으며 오목한 곳 부근에서 기와편을 발견하였음. 이 곳은 건물지에 해당함(과거 일본학자인 지내굉이 북쪽 동문으로 파악했던 곳임. 성문터인지 여부에 대해 향후 더욱 면밀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음.). H5의 길이 133.5m임.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6의 길이 0.8m임. H6의 길이 44m임. 이 구간은 모두 암석임. H7의 길이 3m임. H8의 길이 210m임. 이 구간은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으며 그 북단은 성벽의 동북 모서리와 서로 연결됨.
북벽은 험준한 산능선 상에 축조하였고 주변 지세는 가파르며 해발 고도는 627~652m임. 가장 높고 험준한 부분에 해당함. 북벽의 양측으로는 골짜기가 종횡하고 있는데 북벽에 위치한 2개의 성문을 통해 양 골짜기 곧 성 안팎을 왕래할 수 있음. 동에서 서쪽 방향으로 크게 3구간으로 나누어 조사했음.
H구간의 위치는 N1-N2 사이로 성벽 동북모서리에서 5호 문지까지(북벽에 성문이 2곳 있는데 동에서 서쪽으로 차례대로 5호, 4호 문지로 명명)임. 이 구간은 기본적으로 성벽이 보이지 않으며 주로 암석과 흙언덕으로 이루어져 있음. 산등성이 외측의 비탈에서 성돌을 소량 발견했는데 산등성이 위에 원래 석벽이 축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함. 현재 이미 파괴되었으며 이 구간의 길이는 약 330m임.
I구간의 위치는 N2-N3 사이로 5호 문지에서 4호 문지까지임. 6구간에 성벽이 보존되어 있는데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함. 각 구간 사이의 성벽이 붕괴된 곳은 모두 트인 곳으로 기록함. 동에서 서쪽으로 각 구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음. H1의 길이는 71m로 5호 문지에서 서쪽으로 향하는 구간임.
기본적으로 성돌은 보이지 않음. 다만 외측 산 중턱에서 소량의 성돌이 확인됨.Q1의 길이 2.4m, 잔고 2.2m임.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음. 그 동단은 나무뿌리로 인해 무너졌음. Q2의 길이 49m임. 이 구간의 성벽은 모두 무너져 산등성이 외측 비탈에 흩어져 있음. H2의 길이가 44m임. 지표에 성돌은 보이지 않음. Q3의 길이 3m, 잔고 2m, 너비 1.2m임.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음. H3의 길이 2m임. 트인 곳 가운데에 커다란 나무가 한 그루 있음. Q4의 길이 1.2m, 잔고 1.6m임. 보존 상태가 비교적 좋음. H4의 길이는 150m임.Q5의 길이 12m, 잔고 2.6m임. 이 구간의 성벽의 서측 부분은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으며 길이 5.9m임. H5의 길이 32m임. 기본적으로 성돌은 보이지 않음.Q6의 길이 197m, 너비 3m, 외측 높이 1.7-5m, 내측 높이 0.4m임. 현존 성벽은 8~30단임. 성가퀴가 보존된 부분도 있음. 이 구간의 성벽은 산성 전체 에서 보존상태가 가장 좋고 긴 구간임. 다만 성벽 중에 붕괴되어 트인 곳인 4곳 있음. 가지런한 성벽의 외면은 위로 올라가면서 안으로 들여쌓았고 산등성이의 뻗은 형세를 따라 축조했음. 일부 벽체의 상부에는 보축한 흔적이 있음. 벽체 상부의 성돌은 비교적 얇은데 길이 0.3~0.45m, 너비0.25~0.5m,
두께 0.12~0.16m이며 성돌의 색깔은 기초부분과 일정한 차이가 있음. 기둥구멍이 남아 있음.
J구간의 위치는 N3-W1 사이로 4호 문지에서 산성의 서북 모서리까지임. 이 구간은 4곳의 벽체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음. 동에서 서쪽으로 각 구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음. Q1의 길이 17m, 잔고 4.5m임. 현존 성벽 25단임. H1의 길이 6.5m임. 벽체의 큰 면적이 붕괴되어 트인 곳을 형성임. Q2의 길이 33m, 외측 잔고 4.7m, 현존 성벽 26단, 내측 잔고 0.3~0.4m임. H2의 길이 3.7m임. 벽체가 무너져서 트인 곳 형성되었음. Q3의 길이 12.5m, 너비 0.8m. 외측 잔고 3.9m, 내측 잔고 0.4m. H3의 길이 3.6m. 벽체가 무너져서 특인 곳 형성되었음. Q4의 길이 6.7m, 너비 1m. 외측 잔고 3.4m, 내측 잔고 0.3m. H4의 길이 14m, 이 구간의 벽체는 큰 면적이 붕괴되어 심하게 파괴되었음. 서북 모서리는 둥근 활모양이며, 바닥부는 약간 바깥으로 볼록함. 높이 2.6m. 평평한 대지 외측에 축조했는데, 이 대지는 산성에서 가장 높은 지점으로 해발 652m임.
서벽면은 고구려 왕도인 국내성의 중심부를 향하고 있으며, 맞은 편의 높은 산을 넘으면 마선구고분군에 이름. 지리위치상 중요한 곳으로 산성을 방어하는 중요한 구역 중의 하나임. 네 성벽 가운데 가장 긴 한 구간으로 해발296-652m 사이에 있음. 현재의 보존 상태는 상대적으로 양호함. 남에서 북으로 3구간으로 구획했는데, 각 구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음.
K 구간의 위치는 S1-W3 사이, 성벽의 서남 모서리에서 해발 577m 지점까지임. 이 구간은 24구간에 성벽이 보존되어 있으며 성벽이 없거나 혹은 심하게 파괴된 부분은 모두 트인 곳으로 기록하였음. 남에서 북으로 각 구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음. 서남 지점(S1)은 높이 솟은 암벽임. Q1의 길이 9m, 잔고 3.1m. 벽체 하부는 보존상태가 좋으며, 상부의 외측 성벽은 모두 이미 무너졌음. 성벽의 북단은 거대한 암벽과 이어지고 성벽은 양쪽 암석 사이에 축조하였음. H1의 길이 7m. 이 구간은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음. Q2의 길이 18m. 이 구간의 성벽은 대부분 심하게 파괴되었음. 북부는 비교적 잘 보존되었는데 길이 5.6m, 잔고 3m. 외벽의 면석은 모두 이미 흩어져 벽체 내부구조가 드러나 있음. 북단은 커다란 암석과 이어짐. H2의 길이 6m. 이 구간은 커다란 암석임. Q3의 길이 3. 3m, 잔고 1.1m. 외측은 이미 무너졌으며 이 구간의 성벽은 양 암석 사이의 오목한 곳에 축조하였음. H3의 길이 15m. 이 구간은 흙언덕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4의 길이 58m. 이 구간의 성벽은 암석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암석이 높이 솟은 곳은 암벽을 벽체로 이용하였고, 암석 사이의 오목한 곳에 성벽을 축조하였음. 벽체의 양측은 심하게 무너졌음. H4의 길이 4.5m, 잔고 0.68m. 외측면은 심하게 무너졌음. Q5의 길이 45m.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6의 이 구간의 성벽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남반부는 길이 25m, 너비 3.5m, 잔고 1.8m. 북반부 벽체는 약간 바깥으로 꺾이었고, 길이 20m, 너비 3.5m, 잔고 3.4m. 현존 성벽은 21단, 그 북단은 3호 문지임. H6의 길이 83m, 일부 성벽은 심하게 무너졌으며 어떤 부분은 흙언덕이며 어떤 부분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음. Q7의 길이 40m. 벽체 너비 0.9-3.5m. 잔고 3-3.4m. 이 성벽의 남단은 서문의 북쪽 평대와 연결되어 있으며, 북단은 암석과 이어짐. H7의 길이22.5m. 벽체는 심하게 무너졌음. 성돌은 대부분 외측 산비탈에 흩어져 있음. Q8의 길이 20m. 중간에 트인 곳이 한 곳 있음. 잔존 성벽은 16단, 그 남단은 둥근 활모양임. H8의 길이 23m. 벽체가 심하기 무너져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현재 성돌은 모두 외측 산비탈에 흩어져 있음. Q9의 길이 6.5m, 잔고 2.7m. 너비 0.8m. 잔존 성벽 16단. H9의 길이 3.7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 형성됨. Q10의 길이 12.5m, 잔고 1.6-2.8m, 너비 0.9-1.6m. 잔존 성벽 7-15단. H10의 길이 4.7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 형성함. Q11의 길이 1.2m, 잔고 2.7m. H11의 길이 15m. 벽체가 심하게 파손되어 트인 곳 형성되었음. Q12의 길이 1m, 잔고 3.7m. H12의 길이 18m. 벽체가 심하게 훼손되어 트인 곳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현재 지표에 겨우 소량의 성돌이 남아있음. Q13의 길이 6m, 잔고 0.2m. 절반 정도의 구간은 암석 위에 축조함. H13의 길이 9m. 성벽이 심하게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14의 길이 2.5m. 외측 잔고 2.8m. H14의 길이 10m. 벽체가 심하게 파괴되어서 무너졌음.Q15의 길이 8m, 너비 1.2m. 외측 잔고 3.4m. 현존 성벽 18단, 암석 위에 축조하였음. H15의 길이 11m. 성벽이 심하게 무너져서 트인 곳 형성됨. Q16의 길이 1.5m, 잔고 2.25m. H16의 길이 27.5m.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17의 길이 1.7m, 잔고 2.7m. 현존 성벽은 17단임. H17의 길이 43m. 주로 암석임. Q18의 길이 3.7m, 너비 0.9m. 외측 높이2.85m, 내측 높이 0.7m. 벽체위에 성가퀴가 축조되었음. H18의 길이30m.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19의 길이 12m. 잔고 2m. 벽체 사이에 길이 3.7m인 트인 곳이 있음. H19의 길이 48m. 모두 가파른 암석으로 암벽을 성벽으로 삼았음. Q20의 길이 2.5m. 잔고 1.5m. 성벽의 외측은 둥근 활모양을 띰. H20의 길이 11m. 흙언덕이며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21의 길이 56.5m. 5개의 작은 구간으로 나누어짐. 제1구간은 길이 11m, 외측 높이 3.1m, 현존 성벽 16단, 내측 높이 0.5m, 너비 1.1m, 아래쪽은 길이 약 5m인 트인 곳과 연결됨. 제2구간은 길이 8m, 너비 0.8m, 외측 높이 3m, 내측 높이 0.5m, 아래쪽은 길이 3.5m인 트인 곳과 연결됨. 제3구간은 길이 3.5m, 너비 0.9m, 외측 높이 2.9m, 아래쪽은 길이 4m인 트인 곳과 연결됨. 제4구간은 길이 12m, 외측 높이 0.3-2.7m, 현존 성벽 2-16단임. 이 구간의 벽체는 가파른 암벽 위에 축조하였으며, 지세는 북고남저임.
트인 곳은 모두 성벽이 무너져서 형성되었음. H21의 길이 10m. 흙언덕으로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22의 길이 11m. 벽체의 남부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음. 길이 약 3m, 잔고 2.8m. 현존 성벽은 14단. H22의 길이 136m.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23의 길이 10.5m, 너비 0.9-1m, 잔고 0.8-2.4m. 현존 성벽은 4-9단. 암석 위에 축조. 그 중간에 기초부가 붕괴되어 작은 굴이 형성되었음. Q24의 길이 12m, 잔고 2.8m. 외벽의 성돌은 심하게 무너졌음.
L 구간의 위치는 W3-W2 사이, 해발 577m에서 569m 좌표점까지임. 이 구간은 기본적으로 성벽이 보이지 않음.
M 구간의 위치는 W2-W1 사이, 해발 569m 지점에서 서북 모서리까지. 모두 17구간에 성벽이 보존되어 있음. 성벽이 없는 부분은 모두 트인 곳으로 기록함. 남에서 북으로 각 구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음. Q1의 길이 6.3m, 너비 0.9m. 외측 높이 5m, 내측 높이 0.4m. 현존 성벽 33단임. H1의 길이 609m.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외측 산중턱에서 굴러 떨어진 석재가 소량 발견됨. Q2의 길이 3m, 잔고 4.5m. H2의 길이 12m. 성돌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3의 길이 2.1m, 잔고 3m. H3의 길이 3.6m임. 벽체가 무너져서 트인 곳 형성되었음. Q4의 길이 6.5m, 너비 1.1m. 외측 높이 2.8m, 내측 높이 6.4m. H4의 길이 3.7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5의 길이 10m, 너비 0.8m. 외측 높이 2m, 내측 높이 0.66m. H5의 길이 10m. Q6의 길이 5m, 너비 0.8m. 외측 높이 4.8m, 내측 높이 0.4m. 현존 성벽은 33단임. H6의 길이 34m. 기본적으로 성돌이 보이지 않음. Q7의 길이 1.2m, 너비 0.9m. 외측 높이 4.4m, 내측 높이 0.4m. H7의 길이 2.2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8의 길이 15.5m, 너비 0.9m. 외측 높이 4.6m, 내측 높이 0.4m. 현존 성돌 32단임. H8의 길이 9.4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11의 길이 5m, 너비 0.9m. 외측 높이 4.6m, 내측 높이 0.3m. H11의 길이 18m. 성벽이 트인 곳이 무너져서 형성되었음. Q12의 길이 30m, 너비 0.8m. 외측 높이 4-4.7m, 내측 높이 0.3-0.8m. H12의 길이 6.3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13의 길이 36m, 너비 0.8m. 외측 높이 2.8-4.2m, 내측 높이 0.3m. 이 성벽의 남북 벽체는 일정한 차이가 있는데, 북부 외측 성돌은 비교적 새 것으로 비교적 납작함. 산성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 쐐기형 돌과 크기가 같지 않은데, 나중에 보축되었을 것으로 추측됨.H13의 길이 12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6-Q13의 총체적으로 보아 Q6에서 Q13까지 기본적으로 서로 연결되었던 구간으로서 보존상태도 상대적으로 양호함. Q14의 길이 34m, 너비 0.9m. 외측 높이 2.7-2.9m, 내측 높이 0.6m. H14의 길이 13.5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15의 길이 2m, 잔고 2.7m. H15의 길이 18m, 기본적으로 성돌이 없음. Q16의 길이 약 38m, 너비 0.9m. 외측 높이 2.6-3.2m, 내측 높이 0.5m. 성벽 남단은 둥근 활모양이며 동쪽으로 꺾이었음. 가파른 산비탈에 축조하였으며, 지세는 북고남저임. H16의 길이 6m. 성벽이 무너져서 트인 곳이 형성되었음. Q17의 길이 7m. 너비 0.82m. 외측 높이 2.6m, 내측 높이 0.1m. 해발 652m인 산봉우리 정상부의 작은 평대 외측에 축조. 북단은 성벽의 서북 모서리임.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집안 산성자산성 성벽(集安 山城子山城, 丸都山城 城壁) 자료번호 : ku.d_0001_0040_0030_355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