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우산하 사신묘(禹山下 四神墓)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 위치
  • 유물번호
    S000511
  • 위치(출토지)
    集安市
  • 지역
    집안(集安市)
  • 유형
    고분>벽화고분
  • 형태사항
    가로: 25m, 세로: 25m, 높이: 7m  , 석실 
출토지
집안시(集安市)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35 1935년 10월 22일 齋藤菊太郎, 七田忠志에 의해 무덤에 대해 제일 먼저 측량조사. 사신묘 주위에 자갈을 쪽 깔아 놓아 非域과 경계를 그은 흔적이 있는데, 자갈을 깔아 경계를 그은 것은 태왕릉, 장군묘, 천추묘, 오회분 등에서도 보인다고 함. 나무조각 등을 발견. 묘문을 열면서, 벽화가 크게 파손. 벽화모사도도 제작.
1935 池內宏, 梅原末治에 의해 조사, 실측, 기록. 『통구』下(1940)에 기록.
1936 三上次男에 의해 『高句麗と渤海』에 기록.
1950 재조사.
1956 1956년 봄 集安縣 文化科에 의해 무덤문 봉쇄.
1957길림성박물관
(吉林省博物館)
1957년 4월 王承禮, 周健鵬, 曲紹伯, 蘇才에 의해 전체적인 벽화묘 조사 가운데 이루어짐.
1962 1962년 이래 여러 차례 수리, 보호. 그 이후에도 여러 차례에 걸쳐 봉토를 돋구고 묘문을 수선했으며, 묘실 내의 벽화에 대하여 화학적인 보호처리.
1963 1963년 6월 무덤 앞에 나무설명표지판 설치.
1966길림성박물관, 집안현문관소
(吉林省博物館, 集安縣文官所)
통구묘군에 대한 실측조사 때, 우산묘구 2113호묘로 편호.
1997길림성문물고고연구소, 집안시박물관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市博物館)
실측. 봉토바닥변 길이 25m, 높이 8m 실측.
2004 2004~2005년 孫仁杰, 遲勇에 의해 묘 주위에서 많은 회색기와를 수습. 기와는 무늬가 없고 안쪽에 포문이 펼쳐짐.
구조특징
봉토석실벽화묘(封土石室壁晝墓)
池內宏이 『통구』에서 사신묘라고 부름. 집안西崗사신총, 西崗60호분, 통구7호분으로도 불림. 1966년 통구묘군에 대한 실측조사 때, 우산하 2113호묘로 편호.
봉분의 한 모서리가 파손되었고, 수리를 한 결과, 전체적으로 다르게 보였다고 함. 봉분이 남쪽으로 깎여 있고 석실과 벽화가 이것 때문에 드러났다고 함. 봉토의 북면은 곧바로 천정에 이르고 경사가 균등.
외형은 절두방추형임. 묘의 네 주위에는 원래 돌로 만든 묘단이 있었으나, 묘단석은 대부분 원래 자리를 이탈하여, 현재는 수개의 석재와 묘단 내에 흙으로 축조한 평대가 남아 있음. 묘도, 연도, 묘실 등으로 구성되었고, 무덤칸의 방향은 서쪽으로 25° 기운 남향임.
묘도는 묘실 남벽 중앙에 있음. 파손.
연도는 묘실 북쪽에 접해 있는데, 연도로 묘실로 진입하게 됨. 封基로부터 약간 오므라져 있음. 연도 북쪽 끝은 거대한 돌로 만든 影擋묘문이 있음. 깬돌의 틈이 빡빡하고 그 끝은 연도 중부까지 깊이 도달. 여기에서 바깥으로는 깬돌을 회칠한 卵石에 섞어 그 틈을 메움. 바깥으로부터 그 입구를 덮는 것이 마치 巨石이 앞을 막고 있는 듯 하고, 흙과 목탄, 자갈돌을 섞어 단단하게 덮음. 또 그 바깥으로 입구로부터 6척 정도 지점에 다시 마치 깬돌로 회칠하여 쌓아 올린 장벽이 설치.
묘실평면은 정방형임. 교하게 다듬은 거대한 청록색 頁巖을 이용해서 3층으로 축조하였는데, 거의 5척에 달함. 네 벽은 안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음. 네벽 위에는 말각고임천정을 구축. 묘안은 모두 7층 석재로 축조되어 있는데, 천장구조는 1단의 평행고임 위에 2단의 삼각고임을 얹은 평행삼각고임임. 묘실 내에는 角礫응회암으로 만든 장방형 관대 세 개가 동서로 나란히 놓여 있음. 동벽 관대가 약간 작음. 그 북벽 아래에는 부장품을 놓는 석좌 두 개가 있고, 서벽에서 남쪽으로 치우친 지점에도 석좌 한 개가 있음. 네 벽 중간쯤 되는 상단 천정석 아래, 삼각고임석 사이 벽에 각각 방형의 壁尖이 있고, 그 중에 직경이 2촌, 깊이가 5촌 조금 넘는 못 구멍이 있음.
벽화는 주색·홍색·赭色·자주색·石黃·石靑·胡粉 등의 광물색을 사용. 네 벽의 돌 위에 직접 그렸음.
네 벽에는 사신도를 그렸음. 사신도의 바탕에는 祥雲을 그림. 짐승머리에 사람몸을 한 괴수가 두 팔로 하늘세계를 상징하는 무덤의 천장부를 떠받치는 모습을 그렸음.
남벽은 중앙에 묘문이 관통하는데, 묘문의 양측에는 각각 주작 한마리를 그렸음. 동편 주작은 흰색, 서편 주작은 붉은색 위주로 채색되어 암수가 다름을 나타냄. 勝을 썼고, 꼬리를 늘어 뜨면서 날개를 펴 날고 있는 모양을 하고 있음. 연대 위에 올라 서로 마주 보고 서 있음.
북벽에는 현무를 그렸는데, 거북과 뱀이 서로 뒤엉켜 있음. 거북의 몸은 서쪽을 향하고 있고, 머리를 돌려 윗쪽으로 빼고 뱀 머리와 마주 보고 있음. 거북은 네 개의 발에 각각 세 개의 발가락이 있음. 뱀의 몸은 오색의 비늘무늬가 있고, 휘감겨 있음. 飛雲은 사방으로 분산되어 있는데, 마치 불꽃이 타오르는 것 같음. 뱀은 휘감겨 있는데, 유려하고, 경괘하지 않음. 색조는 무거움.
동벽에는 청룡을 그렸음. 머리는 남쪽을 향하고 있고, 기어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음. 몸은 오색이고, 비스듬히 기울은 네모 모양의 비늘 무늬가 있음. 四肢 아래에는 모두 흰색 깃털을 장식했고, 발가락은 붉은 색칠을 함.
서벽에는 백호가 그려졌는데, 남쪽을 향하여 도약하여 권운사이에서 날고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음. 몸은 흰색으로, 그 위는 묵선으로 긴 털을 묘사함. 복부는 분홍색이고, 다리 뒷쪽에는 白羽가 있음. 현실 남북 두 벽의 頂尖의 네모 가운데에 짐승의 얼굴이 그려져 있는데,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고 있어, 그 모습이 매우 흉악스럽고 위풍당당함. 몸통은 보이지 않음. 묘실의 네 모서리에는 괴수가 그려졌는데, 얼굴은 짐승이고, 몸에 털이 있으며, 손가락은 갈고리모양을 하고 있고, 두 손으로 들보를 받치고 있음.
네 벽 위쪽의 평행고임에는 연속인동당초무늬를 그렸음. 그 색채는 지극히 분산됨. 풀은 하나하나 雙葉이 나 있고, 반드시 한 잎은 붉은색 위주로 되어 있으며, 다른 한 잎은 石綠, 황토, 자색으로 바뀜. 삼각고임 제1중과 제2중의 밑면에는 빠르게 흐르는 구름무늬 사이로 꿈틀거리는 용을 표현. 삼각고임 제1중 옆면에는 상서동물을 탄 천인들과 해와 달, 괴수를 그렸음. 10여명의 천인은 각기 용, 학, 기린, 범 등을 타고 하늘을 날고 있으며 끝자락이 좌우로 갈라진 날개옷과 같은 것을 몸에 걸쳤음. 삼각석 사이의 고임돌 남북면의 괴수는 두 팔로 그 위의 삼각석을 떠받치는 모습으로, 동서면의 해와 달은 원안의 삼족오와 원안의 두꺼비의 형태로 표현. 제2중의 옆면에는 하늘세계의 여러 가지 상서동물들과 신선 및 여러 별자리를 묘사. 제2단의 동북면에는 머리 위로 해와 달을 받쳐 든 채 마주 보며 날아오르고 있는 복희형 해신, 여와형 달신을 그렸음. 동남면에는 소머리에 사람몸을 한 농사의 신과 여러 가지 별자리를, 서남면에는 쇠망치질을 하고 있는 대장장이신과 판위의 두루마리에 글을 쓰는 천신, 뱀을 먹는 흰 새 등을 그렸음. 서북면에는 각종 서조와 북두칠성을 묘사. 천정석에는 중심부에 황룡을 커다랗게 그리고 네 모서리에는 측면연꽃과 인동넝쿨잎을 표현. 천정 각 층의 벽화에는 모두 별 형상을 그렸음.
연도의 동벽과 서벽에는 각각 반나체의 무사 문지기가 그려져 있는데, 오른손에 창을 들고 고개를 앞으로 내밀며 급히 밖을 향해 쫓아가는 듯한 형세를 취하고 있음. 서쪽 벽은 왼손에 가늘고 긴 나선형 물체로 마치 악기 같은 것을 들고 무덤을 지키고 서 있는 神人이 그려짐.
내부규모 및 특징
1940년 보고서에서 봉분 기초의 한 변은 약 9장, 높이 약 2장 56척.
1984년 보고서에서 봉토 바닥변 길이 25m, 높이 8m.
2007년 보고서에서 둘레 120m, 높이 7m.
연도는 1940년 보고서에 7척. 2008년 보고서에는 길이 2.1m, 가장 넓은 너비 1.8m, 높이 1.8m.
묘실은 1940년 보고서에는 2장, 1984년 보고서에는 길이 3.7m, 높이는 3.4m. 반면 2007년 보고서에는 동서길이 3.55m, 남북너비 3.5m, 높이 3.30m.
역사적 의미
묘실의 천정은 이미 순수한 말각고임의 천정을 채용. 건축기술 역시 크게 제고. 돌을 다듬고 편평한 석면 위에 직접 그림을 그림. 묘실 네 벽에는 사신을 그려 사회풍속 제재를 그리던 것을 대체. 네 모서리에는 사나운 짐승이 들보를 바치고 있는 그림을 그려, 斗拱의 형상을 그리던 것을 대체. 천정에는 용·학·사슴 등을 탄 선인들을 그리고, 머리에면류관을 쓰고 용을 탄 인물, 비상하는 용, 복희와 여화 등의 제재를 공간에 가득 채웠음. 게다가 星宿流雲을 그려 天際(하늘끝)를 상징. 이런 기법 역시 백회벽면에 사회풍속도를 그린 것을 위주로 했던 벽화묘와 다름. 사신묘는 남향으로서 묘도의 안쪽입구에 거석으로 만든 묘문을 설치했음.
묘실의 건축규모와 벽화의 내용 등을 살펴볼 때, 묘주인은 높은 신분임.
집안현문물지위원회(1984년)는 묘실구조, 벽화의 내용과 제작기법들을 종합해 볼 때, 묘의 축조연대는 北朝보다 늦음. 대략 6세기 말엽으로 추정.
魏存成(1994년)은 고분구조가 방형의 단실로, 중원북조후기와 구조와 같음. 사신이 주체가 되는 등 벽화주제의 변화가 등장. 직접 돌에 벽화를 그림. 양방에 그려진 인동문은 북조 중후기 중원의 것과 유사. 6세기 중엽~7세기초로 추정.
方起東·劉萱堂(2002년)은 집안에서 발견된 벽화묘의 연대 및 분기와 관련하여, 4기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4기로 파악. 제4기는 구조가 방형단실인데, 중원북조후기의 묘제와 같음. 묘실은 가지런하게 다듬은 대형 석조로 축조함. 묘실 꼭대기부분은 매우 간결한 큰 跨度의 말각고임식임. 묘방향은 서향임. 벽화는 백회 위에 그리는 것이 아니라, 가지런하게 다듬은 석벽 위에 직접 그렸음. 내용은 사신이 주체가 되어 네 벽을 차지하고, 네 모서리와 천정에는 괴수, 盤龍, 일월신, 기악신선, 일월성진 등으로 가득 채웠음. 그 가운데 그려진 인물은 대부분 높은 관을 쓰고, 큰 신발을 신었으며, 소매가 큰 옷과 넓은 띠를 갖추고 있는데, 남조대 인물의 풍조가 나타남. 이 기에 해당하는 묘장에는 사신묘, 오회분 4호묘와 5호묘가 있음. 그 축조연대는 6세기~7세기 초로 추정됨.
자연환경
통구평원 중부, 우산 남쪽 기슭 우산촌 남쪽에 위치. 통구고분군 우산묘구 중부 남쪽 끝에 위치. 중심지리좌표는 동경 126° 11′825″, 북위 41° 08′253″, 묘정상해발고도는 223m 임.
동북쪽으로 약 160m 떨어진 지점에 우산하 2114호묘가 있음. 서쪽으로 약 30m 떨어진 지점에 우산하 2112호묘가 있음. 남쪽으로 약 30m 떨어진 지점에 오회분 4호묘가 있음. 북쪽으로 약 120m 떨어진 지점에 우산하 2115호묘가 있음.
유물정보
金製 步搖 1점
木製 黑漆 4조각
참고문헌
· 池內宏·梅原未治, 『通溝』 下: 満洲国通化省輯安県高句麗壁畫墳, 日滿文化協會, 1940
· 集安縣文物志委員會, 『集安縣文物志』, 1984
· 魏存成,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1994
·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출판사, 2000
·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通溝古墓群1997年調査測繪報告』, 科學出版社, 2002
· 方起東·劉萱堂, 「集安下解放第31號高句麗壁畵墓」『北方文物』 2002-3, 2002
· 魏存成, 『高句麗遺跡』, 文物出版社, 2002
·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吳廣孝, 『集安高句麗壁畵』, 山東畵報出版社, 2006
· 孫仁杰·遲勇, 『集安高句麗墓葬』, 香港亞洲出版社, 2007
· 耿鐵華, 『高句麗古墓壁畵硏究』, 吉林大學出版社, 2008
· 전호태, 「고구려 집안권 벽화고분의 현황과 과제」『蔚山史學』 14, 蔚山大學校史學會, 200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우산하 사신묘(禹山下 四神墓) 자료번호 : ku.d_0001_0040_0030_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