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우산하 무용묘(禹山下 舞踊墓)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 위치
  • 유물번호
    S000455
  • 위치(출토지)
    吉林省 集安
  • 지역
    집안(集安市)
  • 유형
    고분>봉토분
  • 형태사항
    가로: 17m, 세로: 13m, 높이: 4m  , 석실 
출토지
길림성 집안시(吉林省 集安)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35 池內宏, 梅原末治 등에 의해 조사됨. 1935년 만주국 안동도호부의 학교 감독이 발견하여 신고. 일본인들이 조사 및 기록. 벽화 가운데, 춤추는 그림이 있어서 무용묘라고 부름. 『통구』下(1940)에 기록함.
1956 무덤문에 나무문 설치.
1957길림성박물관
(吉林省博物館)
1957년 4월 王承禮, 周健鵬, 曲紹伯, 蘇才에 의해 조사. 전체적인 벽화묘조사 가운데 이루어짐.
1961 1961년 가을 무덤문 폐쇄
1962 1962년 5월 일부 봉토에 흙을 볻돋아주는 등 부분 수리.
1963 1963년 6월 무덤 앞에 나무설명표지판 세움.
1964 1964년 8월 봉토에 흙을 볻돋어줌.
1965 묘문을 봉쇄.
1966길림성박물관, 집안현문관소
(吉林省博物館, 集安縣文管所)
통구고분군에 대한 실측조사때, 우산묘구 0458호묘라고 편호.
1975 1975년 6월 무덤보수.
1976 1976년 9월 봉토에 흙을 볻돋어줌.
1977집안현문관소
(集安縣文管所)
묘도와 묘문을 수리하고, 벽화에 화학보호를 진행.
1981집안시박물관
(集安市博物館)
1981~1982년 董長富, 張忠國에 의해 재조사.
1982집안현문관소
(集安縣文管所)
1982년 5월 벽화모사.
1997길림성문물고고연구소, 집안시박물관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市博物館)
실측을 통해, 봉토 한변 길이 13m, 너비 13m, 높이 5m로 기록.
구조특징
봉토석실벽화묘
고분명칭의 변천은 1937년 벽화 가운데, 춤추는 그림이 있어, 무용묘라고 불렸다가 1966년 통구고분군에 대한 실측조사 때, 우산묘구 0458호묘로 편호.
봉토는 풀로 덮여 있고, 현저하게 경작지 속으로 튀어 나와 있었음. 쌓여 있던 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원형이 이미 많이 훼손되었지만 그 외관은 비교적 정연하고 옛 모습이 남아 있었다고 함.
고분구조에 관해서, 무덤 방향은 서로 50˚기울어진 남향, 곧 서남향. 절두방추형임. 외부는 황갈색 첨사로 봉토를 쌓음. 묘장은 석재를 이용해서 묘도, 연도, 이실, 묘실을 쌓았음. 묘실과 묘도가 모두 동일한 중축선 상에 있음. 입면으로 봤을 때 기저가 지금의 봉토바닥보다 약간 낮음. 무용묘의 형태는 각저묘와 서로 같으나, 크기는 약간 다름.
묘도에는 원래 돌로 된 문으로 막혀져 있었음. 묘도 앞쪽 끝부분 바닥에 세로로 2~3 겹 돌이 놓여져 있는데, 중간은 돌계단처럼 보임. 그 끝부분이 고르지 않고, 또 양벽과 서로 접하지 않고 묻힌 채 덮혀 있으며, 돌로 된 연문으로 봉했을 것이므로, 그 잔해일 것으로 추정. 묘도에는 수직으로 높이 4척이 조금 넘는 위를 받치는 천정막음석이 갖추어져 있는데, 천정막음석은 아래쪽만이 평평. 묘도와 묘도가 만나는 지점에 문틀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석실에 본래 문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묘도에는 대칭하는 두 개의 이실이 접해 있는데, 형태와 크기 모두 각저묘의 이실과 같음.
묘실과 서로 접하는 지점에 백회가 발라진 문틀흔적이 있음. 연도 좌우벽에 직립으로 높이 4척이 조금 넘는 위를 받치는 개정석이 갖추어져 있고, 돌은 오직 아래쪽만이 평평.
묘실은 일찍부터 노출됨. 묘실평면은 방형에 가까움. 석실을 쌓은 돌의 크기는 다름. 네 벽 위에는 8층고임 궁륭식 천정이 올려져 있는데, 천정은 먼저 3층 평행고임을 구축하고, 다시 5층 말각고임을 구축한 다음, 석판으로 덮었음(평행고임 위에 팔각고임을 얹은 평행팔각고임). 묘실 네벽 아래에는 석판 4개가 한조로 된 관대가 있음. 연도와 묘실이 접해진 지점에 문틀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석실에 본래 문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무덤 안의 벽과 천정에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생활풍속을 주제로 한 그림을 그렸으나, 벽화의 상당부분이 습기 등의 영향으로 떨어져 나가거나 지워진 상태임.
묘실 네 구석에는 자색의 一斗三升斗拱이 그려졌고, 그 위에는 벽을 통과하여 굵고 큰 梁枋이 올려져 있음. 그 위에는 권운문으로 구성된 삼각형 尖脊이 그려져 있음. 무덤칸이 목조가옥의 내부인 듯한 느낌을 들게 함.
북벽 양방 아래에는 두 모서리에 걸쳐진 휘장이 있는데, 갈고리에 그것을 斗拱에 걸어 가옥을 상징하는 것임. 집 가운데에는 6명이 있음. 남성이 묘주인으로 추정되는데, 묘주인은 왼쪽을 바라보면서, 팔짱을 끼고, 목궤에 앉아 있음. 절풍을 썼음. 對衽短衣를 입었고, 허리를 묶었으며, 통이 큰 바지를 입었음. 묘주인의 왼쪽에는 두 사람이 묘주인을 바라보며 목궤에 앉아 있음. 왼손을 들고, 묘주인과 이야기를 나누는 듯함. 두 사람은 삭발을 하고 수염이 있음. 긴 검은색 옷에 燈籠式 바지를 입었는데, 주름이 많이 있는 것으로 보아 승려나 도사인 것으로 추정. 주인 앞에는 비례적으로 비교적 작은 시종이 있는데, 고개를 숙이고 무릎을 꿇으면서 남주인을 향하고 있음. 손에는 칼을 쥐고 있음. 그 좌우에 각각 3개의 탁자가 있는데, 다리는 세개 혹은 네개임. 이 벽화 아래에 시녀 8명이 있는데, 묶은 머리만 남아 있음. 북벽 하단에는 무덤주인의 호위무사인 듯한 관모 쓴 인물 7명을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였는데, 얼굴만 남고 나머지 부분은 지워짐.
동벽에는 무용도가 그려져 있음. 벽화 오른쪽에는 한 무리가 춤을 추고 있는 장면이 있음. 무리 맨 앞에 있는 사람은 對衽長袖花衣를 입었고, 머리에는 꿩꼬리(새깃) 두 개를 꼽았으며, 통이 큰 花裤를 입었음. 그 두 팔은 뒤로 하고 긴 소매를 아래로 늘여 뜨렸는데, 춤추는 자세가 매우 아름다움. 뒤에는 춤추는 여성 네명이 따르고 있는데, 자세는 서로 같음. 앞에 두 사람은 花裙을 입었고, 뒤에 두 사람은 花衣裤를 입었는데, 네 사람 모두 긴 소매가 나부끼고 있고 앞쪽으로 걸어가면서 앞을 들어올림. 이 춤추는 무리 왼쪽 윗부분에는 남자 한명이 이 무리들을 향하면서 동일한 자세로 춤을 추고 있는데, 춤추는 무리들을 이끄는 사람일 것임. 무리의 두 번째 사람 위에도 한 사람이 있는데, 단지 두 다리만 남았음. 무리 아래쪽에는 남녀 7명이 합창을 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왼쪽으로 세 번째 사람은 오른쪽으로 머리를 돌려, 한 폭의 자연스러운 정취를 구성하고 있음. 합창대오의 왼쪽에는 말 탄 사람이 이를 구경하고 있음. 그 뒤로 한 시동 한명이 물건을 들고 서 있음. 무용도 왼쪽 상·하 양측에는 四阿頂 낭주문루가 있음. 윗부분 문 안쪽에는 여성노복 2명이 왼쪽으로 나오고 있는데, 각각 손에는 상과 음식을 들고 있음. 그 여복 앞에는 손을 모으고 인도하는 사람 한 명이 있음. 아래쪽의 가옥 안에는 화로와 사람이 있으나, 대부분 박락됨.
묘실 서벽 화면 오른쪽 2/3지점에 커다란 나무를 경계목으로 그린 다음, 그 왼편에는 사냥그림을, 오른편에는 두 대의 우교차와 마부를 그렸음. 묘실 서벽 양방 아래에 수렵도가 그려짐. 왼편 아랫부분에는 두 사람이 말을 타고 활시위를 당겨, 각각 호랑이와 사슴을 겨냥하고 있음. 호랑이를 쫓는 기사 말 앞에는 사냥개가 있음. 왼편 윗부분에는 말머리를 돌리고 활시위를 당겨 사슴 한쌍을 겨누고 있는 기사가 있음. 왼쪽 끝 가운데부분에는 말을 타고 천천히 달리는 무사가 있는데, 손에 활과 화살을 잡고 있고, 허리에 화살통을 매었으며, 머리에는 羽领을 썼음. 山樹의 오른쪽에는 위아래로 각각 우차가 있는데, 아랫부분은 희미하여 명확하지 않고, 윗부분의 우차는 덮개와 우차를 몰고 있는 사람이 있음. 수레의 前垂에는 발이 걸려 있는데 테두리가 적색임. 소 옆에 있는 사람은 붉은 옷을 입고 채찍을 들었음.
묘실 입구인 남벽의 좌우벽에는 각기 한 그루씩의 커다란 나무를 그렸음.
천정에는 연화, 花蕾, 奇獸, 怪鳥, 星象, 선인, 각저, 기악, 일월신 등이 그려짐. 묘실 벽과 잇닿는 평행고임 1단에는 세모꼴불꽃무늬를 잇달아 그렸고, 평행고임 2단에는 하늘로 떠오르는 연꽃봉오리와 연꽃을 번갈아 묘사함. 평행고임 3단에는 각종 상서동물과 仙人을 그렸음. 동남면에는 청룡과 나무, 평상에 앉은 인물들을 묘사함. 두 인물 가운데 오른쪽의 인물은 반가좌의 자세로 평상에 걸터앉아 무엇인가를 종이에 쓰고 있으며 왼편의 인물은 평상 위에 앉은 채로 비스듬히 몸을 뒤로 젖히고 있음. 서남면의 한 가운데에는 주작 한 쌍이 마주보며 서 있음. 서북면에는 오른쪽을 향하여 달려가는 백호와 거문고를 타는 두 인물을 그렸음. 두 인물의 소매와 바지 끝이 좌우로 갈라졌고 그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움. 동북면에는 역사 두 사람이 태껸류의 무술인 수박희에 열중하는 모습을 그렸음. 역사 가운데 한 사람의 코가 높고 눈이 큼. 5단에 이르는 팔각고임부에는 해와 달을 비롯한 각종 별자리와 상서동물들, 피리를 불거나 거문고를 타는 선인들이 자리 잡고 있음. 이들 사이로 평행고임 2단에 그린 것과 같은 연꽃과 하늘을 상징하는 구름이 점점이 흩어져 있음. 해는 붉은 원안의 검은 세발까마귀로, 달은 노란 원안의 두꺼비로 표현.
연도 동벽에는 입을 벌리고 이빨을 드러낸 짐승이 그려졌는데, 묘를 지키는 개로 추정됨. 나머지부분은 박락되어 알 수 없음.
이실 안쪽 모서리 모두 자색의 一斗三升斗拱이 그려졌고, 그 위로 두 이실을 통과하는 자색 양방이 올려져 있음. 이실의 개정석 위에는 휘감아진 인동초로 채워져 있음.
이실 오른칸에 해당하는 서남쪽의 서남벽에는 벽에 걸린 두 개의 말안장을 묘사하였고, 서북벽에는 절풍을 쓰고 점무늬 바지와 저고리를 입은 두 남자를 그렸음. 동북벽에는 탁자를 사이에 두고 마주 앉은 두 인물을 나타냈는데, 이 가운데 오른쪽 인물은 머리에 方巾을 썼음.
동쪽이실 남·북 두 벽에는 가옥이 그려졌고, 사이로 나무가 그려져 있음. 이실 왼칸에 해당하는 동남쪽의 동남벽에는 커다란 나무를 그렸고, 동북벽에는 지붕 위에 연봉오리가 장식된 집과 나무를 묘사.
내부규모 및 특징
1940년 보고서에서 변 길이 50척 이상. 높이 11~12척.
1997년(2002년 보고서)에서 봉토 변 길이 13m, 너비 13m 높이 5m.
2007년 보고서에서 변 길이 17m, 높이 4m.
묘도는 1940년 보고서에는 4척 6촌 정도, 1984년 보고서에는 길이 1.2m, 높이 1.2m.
연도는 길이 1.5m, 높이 1.3m.
묘실은 1940년 보고서에는 깊이와 넓이가 각각 한 丈에 6~7寸 이상.
1984년 보고서에는 길이 3.3m, 너비 3.5m, 높이 3.55m, 방향 남서편 60°. 네 벽은 안으로 기울어져 있고, 네 벽의 높이는 약 5척.
역사적 의미
2004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 무용묘의 벽화주제는 새롭고, 형상은 생동감이 있으며, 고구려귀족생활을 보여주는 본보기라도 할 수 있음.
1994년 魏存成은, 사신도가 출현하나, 형상이 서투름. 수렵도에서 쌍등자가 보이는데, 4세기 중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연의 안양 孝民屯 晋墓에서는 단등자임. 이로 볼 때 축조연대는 4세기 중엽~5세기 초로 추정.
2002년 方起東과 劉萱堂은, 집안에서 발견된 벽화묘의 연대 및 분기와 관련하여, 4기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2기로 파악. 제2기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묘방향은 서향임. 그리고 단실묘에 연도로 이어진 전반실이 갖추고 있는 구조가 주를 이루는데, 전반실은 두 개의 이실천정이 서로 연결되어 통한 결과임. 전반실 꼭대기부분은 橫長覆斗式이고, 묘실 꼭대기부분은 궁륭식 혹은 여러 층의 말각고임으로, 간혹 작은 말각이 더해진 천정을 이루고 있음. 벽화내용은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첫 번째는 묘주인의 생전생활을 주로 그렸지만, 천정에 일월성진, 신선과 사신이 출현하기 시작한 내용으로, 다만 사신은 완전하지는 않음. 다른 한 유형은 아직 문양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배치가 더욱 정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이 시기의 묘장에는 각저묘, 무용묘, 산연화묘 등이 있고, 축조연대는 4세기 말~5세기 초엽으로 추정.
2008년 耿鐵華는, 연회, 춤추는 장면, 수렵, 가옥, 우거 등의 주제는 생활풍속계라고 할 수 있는데, 중원의 漢晋 사족의 유풍을 갖추고 있음. 묘장은 단실의 궁륭식 천정형태를 갖추고 있는데, 고구려가 적석묘를 축조하는 옛 풍습과 차이가 있음. 그 축조시기는 5세기로 추정됨.
자연환경
집안시구 동북쪽 3㎞에 위치. 우산 남쪽 기슭의 평평한 지대에 태왕진 과수촌 1조 경작지에 위치.
남쪽에 각저묘가 이웃해 있음. 남동쪽으로 1.54㎞ 떨어진 지점에 광개토대왕릉비가 있음.
유물정보
鞍裝 2개
人物 立像 2개, 人物 坐像 2개
참고문헌
· 池內宏·梅原未治, 『通溝』 下: 満洲国通化省輯安県高句麗壁畫墳, 日滿文化協會, 1940
· 集安縣文物志委員會, 『集安縣文物志』, 1984
· 朝鮮畵報社出版部, 『高句麗古墳壁畵』, 朝鮮畵報社, 1985
·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편, 『조선유적유물도감』 5, 1990
· 조선일보사, 『集安 고구려 고분벽화』, 조선일보사출판국, 1993
· 魏存成,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1994
· 李殿福(車勇杰·金仁經 譯), 『中國內의 高句麗遺蹟』, 學硏文化社, 1994
· 한국방송공사, 『고구려 고분벽화』, 한국방송공사, 1994
·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출판사, 2000
·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通溝古墓群1997年調査測繪報告』, 科學出版社, 2002
· 方起東·劉萱堂, 「集安下解放第31號高句麗壁畵墓」『北方文物』 2002-3, 2002
· 魏存成, 『高句麗遺跡』, 文物出版社, 2002
· 尹國有, 『高句麗壁畵硏究』, 吉林文學出版社, 2003
·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吳廣孝, 『集安高句麗壁畵』, 山東畵報出版社, 2006
· 孫仁杰·遲勇, 『集安高句麗墓葬』, 香港亞洲出版社, 2007
· 耿鐵華, 『高句麗古墓壁畵硏究』, 吉林大學出版社, 2008
· 전호태, 「고구려 집안권 벽화고분의 현황과 과제」『蔚山史學』 14, 蔚山大學校史學會, 200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우산하 무용묘(禹山下 舞踊墓) 자료번호 : ku.d_0001_0040_0030_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