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간구자 고분군(干溝子 古墳群)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초기
  • 위치
  • 유물번호
    S000336
  • 위치(출토지)
    吉林省 長白縣 十四道溝鎭 干溝子村
  • 지역
    백산(白山市)
  • 유형
    고분>적석총
  • 형태사항
    기타 
출토지
길림성 장백현 십사도구진 간구자촌 (吉林省 長白縣 十四道溝鎮 干溝子村)
연대
상한: 戰國中期~末期, 하한: 西漢, 고구려 초기
상한 : B.C 4세기~B.C 3세기초, 하한 : 기원전후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85장백조선족자치현문화관리소
(長白朝鮮族自治縣文化管理所)
4월에 파괴된 墓壙에서 토기(陶罐, 陶盅) 2점, 멧돼지이빨장식(野猪牙飾) 2점, 녹송석 대롱장식(綠松石管飾) 1점, 석제 도끼(石斧) 2점을 채집함.
1986장백조선족자치현문물보사대
(長白朝鮮族自治縣文物普査隊)
6월 조사에서 고분 19기를 확인 후 편호하고, 파괴된 고분에서 유물 수집하는데 토기(陶罐, 陶盅) 2점과 멧돼지 이빨장식(野猪牙飾) 2점, 녹송석 대롱장식(綠松石管飾) 1점, 일반인이 보유하던 석제 도끼(石斧) 2점 등을 회수함.
2001길림성문물고고연구소, 장백현문물보호관리소, 집안시박물관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長白縣文物保護管理所, 集安市博物館)
5월-7월에 1986년 편호와 달리 새로이 편호하는데 1986년 편호된 고분 가운데 M15~M19의 5기 가운데 1기만 남아 있고, 1986년도에 편호되지 않은 고분 중 고분 형식을 판별할 수 있는 고분을 고려하여 새로이 편호함. 서간구하 북안의 A구 4기와 그 남안의 B구 3기를 발굴함.
2004길림성장백산문화연구회, 백산시문관판, 집안시박물관
(吉林省長白山文化硏究會, 白山市文管判, 集安市博物館)
7월 11일 조사에 張福有, 孫仁杰, 遲勇, 張殿甲, 谷芃이 참여함.
구조특징
1986년 분포상황을 보면, 墓區의 범위는 길이 1,000m, 너비 350m로서 대략 8,000㎡이고(박윤무(1990, 『박물관연구』1990-3)의 글을 참조함. 1986년의 문물지 및 1992년의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에서는 길이 1,200m, 너비 400m로 기록되어 있음), 고분는 서간구자하와 長臨도로(長白↔臨江)를 기준으로 나뉨. M1~M11는 서간구하 南岸, 長臨도로의 북쪽에 위치하고 부채형으로 분포하고, M12~19는 서간구하 北岸, 長臨도로의 양쪽 가에 위치하고 대체로 남북 방향으로 배열하며, M18과 M19는 경작지가 되면서 심하게 훼손되었음. 고분은 묘역 규모에 따라 대·중·소형으로 구분하는데, 대형고분은 M2가 대표적이며, 장방형 평면, 길이 50m, 폭 25m임. 중형고분은 무덤 평면 타원형 또는 방형에 가까운 형태로, 타원형은 원래 방형이었으나 원상태를 상실한 형태로 길이 20-30m 정도되며, M1, M3, M7, M8, M4, M17 등이 다수임. 소형고분은 대부분 원형으로 본래 묘역시설이 없고 거의 대부분 심하게 파괴된 상태로 무덤 기저부 직경은 일반적으로 10m정도임.
2001년 분포상황을 보면, 서쪽에서 동쪽으로 A, B, C, D의 4개 墓區로 구획하는데, A구는 서간구하 北岸 고분군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고, 고분은 총 12기로 편호는 AM1~AM12이며, 동·서 2열로 열상 분포함. 동쪽 열은 3기로 강가에 위치하나 이미 훼손되었고, 서쪽 열은 長白에서 臨江에 이르는 도로 양쪽에 분포하나, 일부 훼손됨. B구는 서간구하 東南岸에 위치 하고, 동쪽으로는 산으로 향한 鄕路 주변에 자리하며, 고분은 총 17기로 BM1~BM17로 편호했고, 대다수 비교적 잘 보존된 상태임. 고분은 동북에서 서남으로 배열하는데, BM6 이하로부터 2갈래로 나뉘고, 서쪽에는 7기의 고분이 한덩어리를 이루고 있어 발굴을 보류함(BM7~BM13). C구는 墓地의 중부에 위치하고, B구와는 鄕路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음. 殘墓가 비교적 많고, 그 가운데 돌무지 규모가 비교적 작은 고분들이 있으며, 비교적 완전한 6기는 동쪽 산기슭 아래 남북 방향으로 위치하고, 편호는 CM1~CM6임. D구는 간구자촌의 동쪽에 위치하고, 동쪽으로 동간구하, 서쪽으로는 소학교가 인접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언덕에 기대어 있음. 17기의 고분이 현존하며, DM1~DM9의 9기가 비교적 온전하며, 서북에서 동남 방향의 2열로 배치했으나, 그 밖의 8기는 심하게 훼손됨. 대다수는 현존 직경이 6m를 넘지 않는 돌무지 흔적으로 되어 있음.
고분의 형식은 수기의 고분이 중첩 연접된 적석총이고, 연접된 평면은 원형, 반원형, 扇形 등 3가지 형태임. 원형묘단은 일반적으로 고분 중간에 위치하고, 다수 고분이 圓壇이 1개이고, 다른 묘단 보다 높아 “主墓壇”이라 칭함. 반원형묘단은 주묘단 밖에 일정 방향으로 반원형 형태로 연접하고, 일명 “續墓壇”이라 칭하며 대다수 주묘단의 중심축선에서 만들어짐. 선형묘단은 주묘단 주위와 속묘단 양쪽에 부채꼴 형태로 형성하고, 일명 “附墓壇”이라 칭함.
M1 원형 석광적석총(1986년 조사)에서 토기류, 석기 등이 출토되었는데 토기류는 모두 사질 갈색토기, 무문이고, 기형은 규칙적이지 못함. 2001년 조사에서는 토기류, 옥제품(옥구슬, 옥드리개), 석제품(호미, 숫돌, 방추차, 녹송석드리개), 동제품(고리, 대롱, 동전), 철기(칼, 괭이), 기타(料石) 등이 출토됨. 토기는 대부분 명기(明器)로 무덤 안에서 출토되었고, 다양한 기형이 있으며, 여러 유형의 심발형토기(深腹罐), 발(淺腹罐) 기종이 확인됨. 대부분 갈색이고, 태토에는 굵은 모래 혼입됨. 기벽 두께는 균일하지 않고, 고온소성을 했으며, 표면색은 균일치 않음. 물레를 사용하지 않았고, 표면은 무문양이고, 문질러서 광택을 냄. 토기는 그릇의 깊이를 기준으로 심발형토기(深腹罐)와 발(淺腹罐) 구분함. 두 단지는 A-C형으로 구분되며 각 형은 2-4식으로 나뉨. 대롱 모양의 장식품(石管)은 총 131점 발견되었는데, 형태가 가늘고 크기가 작은 흰색 대롱장식의 양이 가장 많음. 직경은 보통 5㎜안팎이며 구멍직경은 2-3㎜이고, 칼로 깎아낼 수 있는 재질로 판단하며, 색깔에 따라 구분 가능함. 동전(銅錢)은 “半兩”, “一化” 2종으로 모두 원형 동전 안에 네모난 구멍이 있는 형태임.
역사적 의미
축조방식은 지면에 커다란 돌을 사용하여 일정 범위의 묘역을 조성한 후 냇돌과 할석을 깔아 평면하게 지면을 고르고 무덤의 기저부를 만든 후, 그 위에 단을 쌓아 몇 기의 무덤이 연접되도록 함. 매장방식은 무덤 밖에서 화장한 후 燒骨을 매장한 2차장하고, 대다수 묘광 내부에 불에 타거나 그을린 흔적이 없음. 불에 탄 인골편은 작은 조각으로 가장 큰 것이 길이 5㎝가 안되며, 대략 1/3의 소골은 회백색이며 나머지는 赭色(자색)과 흑색임. 다만 BM2ZK1에서 목탄편이 출토되었고, 1986년 조사된 간구자 1호분(M1)의 석광 안에는 주검칸이나 葬具를 따로 마련하지 않았고 불에 태워진 인골과 대량의 목탄이 발견된 점으로 보아 시신을 묘광 안에 놓고 화장했던 것으로 추정됨. 燒骨은 묘광 내 2, 3곳에 무더기로 안치되었으며, 토기는 묘광 양단에 나누어 부장한 점으로 미루어 一代 혹은 한 가정의 合葬 즉 동일가족 數代의 합장묘 유적일 것임. 따라서 신분 혹은 항렬이 비교적 높은 사람이 주묘단의 중심에 매장되고, 다수 속·부묘단은 항렬의 대소 또는 昭穆제도에 따라 附葬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2001년 발굴한 7기 고분의 부장품은 총 283점으로 작은 장식품을 제외하면 평균 각 묘광에 3점이 부장되었으므로 厚葬은 아님. 전체 부장품 중 토기가 총73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나 완형보다는 다수가 파편으로 출토되어 토기의 毁器習俗으로 짐작됨. 출토된 그릇은 모두 민무늬의 夾沙褐陶로 모양이 간단하고 종류가 단조롭고 제작 기술이 거칠어 원시성을 반영하며, 그 외 野猪牙飾, 綠松石管 등의 장식품은 모두 압록강 유역과 두만강 유역의 원시문화에서 일찍이 보여주는 전형적 기물임.
간구자 고분군의 무덤들은 하나의 기단 위에 여러 기의 고분이 배열되어 있는데, 특히 7호분은 1기의 원형석광적석묘를 중심으로 그 주위에 장방형의 작은 돌무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무덤 사이의 主次관계를 시사함. 즉 중심무덤의 피장자는 주위의 무덤에 비해 사회적 지위가 높은 편이나 반대의 무덤은 중심무덤에 예속된 상태로 추정됨. 반면에 1호분 및 4호분과 같은 단일한 원형석광무덤의 무덤배열 상태에서는 주종 관계가 전혀 보이지 않음. 한 墓區내의 여러 개 무덤은 그 크기와 모양이 같으며 또한 무덤 사이마다 돌로 서로 연결되어 한 무덤구역내의 피장자들 관계가 평등하였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혈연관계를 이루고 있는 가족 성원의 무덤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것임.
부장품은 장식품이 많고 생산 공구 및 기타 그릇 류가 비교적 적은데, 이는 길림성 중부지구의 九台關馬山, 公主嶺猴石, 樺甸橫道河子 및 東豊, 遼源 일대 많은 大蓋石墓의 부장 특징과 서로 일치하며, 동북지구 남부에서는 戰國晩期~漢代 보편적으로 유행함. 상한연대는 2기 고분에서 方孔圓錢- 半兩錢과 一化으로 추정할 수 있음. 半兩錢은 秦末半兩 혹은 漢初의 八銖半兩이며, 一化는 ‘一刀’로 해석되며, 周秦 또는 秦初 시기의 화폐임. 赤峰 新窝堡와 鐵嶺 邱家台지역의 퇴장유적에서 이들 화폐가 燕·趙의 刀幣 및 반량전과 같이 출토되어 燕國晩期의 화폐로 확정되었으므로 묘지연대의 상한은 戰國末期, 비교적 이른 것은 戰國 中期에 해당됨. 하한연대는 AM1에서 출토된 鐵钁과 AM3·AM4 주묘단에서 채집된 鐵刀로 추정할 수 있는데, 钁은 漢代유행하는 것과 형태가 유사하며, 철도는 直柄環首로 일찍이 集安의 板岔嶺에서 동일한 것이 발굴된 바 있는데, 고구려 적석묘에서 대량 보이는 環首刀보다 조금 이름. 집안 판차령에서 “一化”圓錢이 “半兩”, “五銖”, “大泉五十”, 등의 한대화폐와 함께 출토되었고, 그 유통 시간은 전국말기~東漢임. 그러나 간구자묘지에서는 “오수” 및 동한화폐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고분의 하한은 대체로 동한이전의 서한시기로 비정됨.
간구자묘지의 연대가 집안, 환인 일대의 고구려 적석총보다 앞서므로, 고구려적석총의 가장 이른 형식인 無階段 圓丘上積石墓와 관련이 있을 것임. 고구려 초기의 적석묘의 발전과정을 보면, 무덤은 석광이 따로 없는 간단한 시설로부터 계단식 기단으로 이루어진 ‘框室(앞에서 박윤무의 1995년 글에 따라 ‘묘실’이라 정리하던 개념인데, 이 글에서 이 부분을 ‘框室’로 표현하고 있어 그대로 따랐음)’ 무덤으로 발전하고, ‘광실’은 장방형으로부터 정방형 형태로 변화·발전함. 묘광 위치에서도 위로부터 아래로 점차 내려옴. 이를 종합해 볼 때 간구자의 원형석광적석묘는 고구려 초기 적석총과 유사함. 첫째, 주검칸이 따로 없이 무덤의 기단 윗면을 자갈과 모래로 수평하게 마련하고 그 위에 주검과 부장품을 놓고 막돌로 덮어 정상부를 마무리 한 것은 이것은 환인 201호 및 19호분과 매우 흡사함. 둘째, 기단의 단수와 묘광 형태에서 차이가 있으나 한 무덤구역에 여러 기의 무덤을 연이어 마련한 점은 환인 23-33호분과 일치함. 셋째, 화장하여 묻는 습관이 환인 23호 및 20호분이나 15호분에서 확인되며, 집안 일대의 일부 적석총은 묘광벽이 불에 녹아 응결된 흔적으로 화장하였을 것으로 짐작됨. 따라서 간구자 무덤은 시기적으로 환인 적석총을 위주로 한 고구려 초기 무덤보다는 이르며 대체로 환인 적석총보다 선행된 고구려 早期의 무덤형식으로 고구려족계의 원시적 매장 특징이 짙게 반영됨. 또한 간구자 고분군은 여대지구 청동기 시대 무덤 및 청동단검고분의 특징을 내포하고 있음. 우가촌 타두 적석묘와 노철산 고분은 모두 여러 기의 무덤을 서로 가까이하여 ‘벌집형(蜂巢狀)’이며, 우가촌 타두 적석묘의 평면 형태는 원형으로 된 것도 있음. 이것은 간구자 1호분(M1)·2호분(M2)의 특징과 유사함. 강상묘는 하나의 무덤구역에 1기의 중심무덤을 마련하고 그 둘레를 돌면서 여러 기의 무덤을 방사선 형태로 마련하였는데, 이것은 간구자 7호분(M7)과 매우 유사함. 그리고 강상·누상묘 등 적지 않은 청동단검묘는 모두 화장한 무덤이라는 사실에서도 간구자 고분과 일치함.(『조선고고학개요』에서는 ‘노철산 및 장군산 고분→강상·누상묘→고구려 적석묘’라는 계승 발전관계를 설정하고 있고, 왕성생(1981, 「요하 유역 및 부근지역의 短鋌曲刃劍 연구」『요녕성고고박물관학회설립대회』회간)은 강상묘를 비롯한 요동문화유형의 무덤 형식과 매장습속이 환인 고구려 적석무덤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고구려 적석묘는 강상묘의 계승과 발전’이라고 보고 있음) 또한 여대지구 강상과 루상, 우가촌 타두 적석묘 등과 같은 집단묘로서, 家族合葬墓라는 점에서 공통됨. 반면 강상·누상 적석묘는 평지에 축조되었으며, 묘단은 없고, 묘광이 장방 혹은 방사상으로 분포하며, 중심 묘광의 4벽은 판석을 세워 만들었고, 우가촌 타두 적석묘 역시 묘광이 타원형 또는 부정형으로, 보통 평행을 이루는 가로배열로 분포하며 묘단을 만들지 않았음. 따라서 강상·루상과 우가촌 타두는 간구자 적석묘와는 축조 방법에서의 차이가 있음.
우가촌 타두 적석묘의 연대는 3230±90년B.P. 이고, 강상·누상묘는 기원전 1세기 전반기에 해당된 고조선 시기이며, 환인 지역 적석묘는 제15호분에서 環首式 철칼이 나온 것으로 미루어 東漢 시대로, 늦어도 漢·魏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음. 간구자 고분군의 상대적 축조연대는 대체로 전국시기로부터 서한 말기에 해당되므로, 간구자 고분군은 강상·누상묘에서 환인 적석묘로 발전해 나아가는 과정의 과도기 단계로서 고구려 선인들의 토착문화로 추정됨.
연접 방식은 3형식으로 나뉘는데, 제1형식은 속·부묘단이 주묘단을 둘러싸고, 다시 밖으로 접속하지 않으며(AM3, AM4, BM5), 제2형식은 속·부묘단의 밖에 다시 제2속묘단이 외접하고, 제1형식이 주묘단만을 둘러싸지만, 제2형식은 연이어 속묘단이 함께 둘러싸고 하나의 부묘단이 기점이 되어 2개의 방향으로 나누어 펼쳐짐(BM2, BM4). 3형식 : 먼저 주묘단을 두르고 밖으로 다시 속묘단을 쌓고, 빈곳에 1, 2개의 부묘단을 세운 후 연속으로 서남방향에 속묘단을 설치한 후, 양쪽에 연속하여 부묘단을 대칭으로 축조함(AM1, AM2). 제1형식이 제2형식의 미완성형식이라면 비교적 이른 고분은 모두 먼저 주묘단을 쌓고 다시 밖으로 접속하였는데, 부·속묘단이 연접하는 방향은 서남쪽으로 접속하지만, 일정하지 않다가 비교적 늦은 고분에서 서남쪽으로 확장방향이 정형성을 띰. 속묘단은 중심선에 의해 대다수 서남방향으로 연접하며 부묘단은 양쪽으로 分列하는데, 대다수는 비교적 대칭적임. 연접 방식에 따른 배열법의 변천순서는 제1형식→제2형식→제3형식 순으로 변하고, 이런 양상은 고분군의 분포 양상과도 합치됨. A와 B구역을 보면, 산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묘가 이른데 비해, 강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묘는 비교적 늦음. 上→下의 배열과 발전과정은 환인과 집안 일대의 고구려적석총의 배열과 일치함.
자연환경
간구자촌은 吉林省 長白縣 十四道溝鎭 서쪽 0.5㎞ 지점에 위치하고, 고분은 干溝子村의 東·西干溝河 양안의 하곡 충적대지상에 분포함. 동쪽으로 長白縣城과 45㎞ 떨어져 있고, 동·서·북 3면이 高山으로 둘러싸여 있고, 남쪽으로는 압록강이 흐름.
압록강과 고분군 사이의 馬架子山을 기준으로 동쪽의 동간구하, 서쪽의 서간구하가 흐르는데, 서간구하는 동북에서 서남으로 흘러 고분군를 거쳐 압록강으로 흘러 감. 장백과 임강을 잇는 長臨도로가 동남에서 서북으로 뻗어 고분군을 양분하고, 고분군의 서·남 양쪽 산위에는 청동기시대 유적 분포함.
유물정보
복원 가능한 토기 2점, 완(陶碗) 1점, 잔(陶杯) 1점, 석제 도끼(石斧) 2점, 멧돼지이빨장식(野猪牙飾) 2점, 대롱장식(綠松石管飾) 1점, 심발형토기 17점, 발 22점, 옥구슬 4점, 옥드리개 3점, 석제 호미 2점, 숫돌 1점, 방추차 3점, 녹송석 드리개(綠松石墜) 2점, 고리(環) 5점, 대롱(管) 1점, 반량전 18점, 일화전(一化錢) 17점, 철제 칼(刀) 3점, 철제 괭이(钁) 1점, 흰색 대롱(白管) 105점, 남색 대롱(藍管) 26점, 이빨장식(牙飾) 2점, 뼈드리개(骨墜) 1점,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長白朝鮮族自治縣文物志』, 1986
· 朴潤武, 「長白縣干溝子墓地調査」『博物館研究』 1990-3, 1990
· 吉林省地方志編纂委員會 編, 『吉林省志』 45(民族志), 吉林人民出版社, 2003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 文物出版社, 1992
· 朴潤武, 「압록강 유역 干溝子 적성무덤에 대한 조사연구」『中國境內 高句麗遺蹟 硏究』, 예하출판, 1995
· 王洪峰·孫仁傑·遲勇, 「吉林長白縣干溝子墓地發掘簡報」『考古』 2003-8, 2003
· 孫仁杰·遲勇·張殿甲, 「鴨綠江上流右岸考古調査」『東北史地』 2004-5, 2004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간구자 고분군(干溝子 古墳群) 자료번호 : ku.d_0001_0010_002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