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토기 기형

수제 토기

수제 토기는 소량을 차지하고 매우 작은 편 상태로 보존되었다. 전체 토기 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 미만이다. 연해주 유적들에서 출토된 발해 토기 형식 분류에 따르면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5개 수제 토기 그룹 중 3개 그룹에 속하는 것들이 출토되었다(A군)(도면 1).
러시아 연해주 지역 발해유적 출토 말갈 수제 토기 그룹(A-Ⅰ)은 모두 10개 유형이 구분되고 있는데,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오직 A-I-4유형만이 확인되었다. 이 유형 토기에는 동체가 타원형의 비대칭적 형태를 가지며, 목이 약간 구분되어지고, 구경은 동체경보다 더 크다. 그렇지만 향후의 발굴조사에서는 다른 유형의 말갈 수제 토기들도 발견될 것이라 기대된다. 연해주의 대부분 발해 유적들에서는, 10개 유형이 모두 발견된 체르냐찌노 5고분군과 6개 유형이 발견된 체르냐찌노 2주거유적을 제외하고는(정석배, 니끼친 2005, 2007, 2008, 2009, 니끼친 외 2007; 삐스까료바 2001), 대개 1~2개 유형의 수제 토기만이 확인되었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미니어처 수제 토기-장난감(그룹 A-Ⅳ) 2점과 유색 금속 용해를 위한 도가니(그룹 A-Ⅴ) 2점이 각각 출토된 바 있다.
 

윤제 토기

발해 윤제 토기(B군)는 28개 그룹으로 구분되며 각 그룹은 다양한 수량의 토기 유형들을 포함한다. 연해주의 발해 유적들에서는 10개 유형 이상의 말갈 윤제 토기도 출토되었다(그룹 B-Ⅰ)(도면 2).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4개 유형의 말갈 윤제 토기가 확인되었다: B-Ⅰ-1, B-Ⅰ-3, B-Ⅰ-4, B-Ⅰ-5.
B-Ⅰ-1 유형. 타원형 비대칭의 동체 최대경이 구경보다 약간 크다. 구경은 저경보다 거의2 배가 크다.
B-Ⅰ-3 유형. 이 유형 토기는 동체의 윗부분이 형태상 절두 원통형에 가까우며(구경과 저경이 동일하다), 저부로 가면서 완만하게 축약된다. B-Ⅰ-3 유형 윤제 토기는 A-Ⅰ-3 유형 수제 토기와 모양이 흡사하다.
B-Ⅰ-4 유형. 이 유형 토기는 가볍게 구분되는 경부와 비대칭의 타원형 동체를 가지며, 구경이 저경보다 크거나 혹은 동일하다. 이 유형 윤제 토기는 A-Ⅰ-4 유형 수제 토기와 흡사하다.
B-Ⅰ-5 유형. 짧은 경부와 타원형의 동체가 있는 높은 토기다. 동체 최대경은 토기 중간 부분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 A-Ⅰ-5 유형의 수제 토기와 유사하다.
B-Ⅰ-1 유형과 B-Ⅰ-5 유형의 윤제 토기가 더 자주 보이고 나머지 두 유형 토기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다른 발해 유적들에서도 이 그룹 토기 유형들은 그 수량이 1~3점 이내로 많지가 않다. 체르냐찌노 5고분군에서 가장 많은 8개 유형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전체적으로 크라스키노 성의 말갈 윤제 토기들은 모든 그룹 토기 전체의 약8 %를 차지한다.
 
그룹 B-Ⅱ(горщки - pots - 호주 001
각주 001)
대체로 소호와 중호에 해당되며 직구호를 포함한다 - 역자 주.
닫기
) - 호는 발해 유적들에서 가장 유행한 토기다(도면 2). 이 토기는 중간 크기이며(구경 7.5~19.4㎝, 동체 최대경 11~20.8㎝, 저경 6.3~13.9㎝, 높이 8~23.4㎝) 경부가 구분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동체는 타원형, 장타원형, 혹은 구상이다. 동체 최대경은 동체의 윗부분 혹은 중간 부분에 있고, 평저이며, 기본 동체 비율로부터의 편차 정도와 형태적 특성에 따라 9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가장 많은 수의 유형(9개 유형 중 7개 유형)이 크라스키노 성에서 확인되었다(B-Ⅱ-1~7). 다른 유적들에서는 통상 3~6개 유형까지의 호가 발견되었다.
B-Ⅱ-1 유형. 열린 입과 세로 방향으로 길쭉한 동체, 가볍게 구분되는 경부와 구연부가 있다. 구경이 저경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B-Ⅱ-2 유형. 비대칭 타원형의 동체가 있는 토기다. 저경이 구경보다 작으며, 동체 최대경은 구경보다 크다. 동체 최대 경은 토기의 윗부분 혹은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B-Ⅱ-3 유형. 드물지 않게 거의 직각으로 외반하는 구연부가 있는 토기다. 구경은 동체 윗부분에 위치하는 동체 최대경보다 크다. 좁은 저부가 있다(저경이 구경보다 작다).
B-Ⅱ-4 유형. 저경보다 작은 구경이 있는 토기다. 동체는 절두의 장타원형(나무통 모양)이다. 저부가 넓다(저경이 구경보다 크다).
B-Ⅱ-5 유형. 목이 넓은 토기이며, 세로 방향으로 길쭉한 절두 장타원체의 동체가 있다(토기 높이가 동체 최대경보다 크다). 동체 최대경은 동체 중간 부분 혹은 그 보다 약간 위에 위치한다.
B-Ⅱ-6 유형. 열린 입이 있는 땅딸막한 토기로서(장축 방향) 절두 장타원체의 동체가 있다. 토기 높이는 동체 최대경보다 작다. 동체 최대경은 크기가 외반한 구연부의 직경과 비슷하거나 동일하다.
B-Ⅱ-7 유형. 매우 짧고 넓은 목이 있거나 혹은 목이 없는 토기로서, 이 부분이 구연부를 대신한다. 구경은 저경과 비슷하다. 동체는(장축 방향) 절두 장타원체이다. 동체 최대경은 흔히 동체의 윗부분에 위치한다.
크라스키노 성에서 가장 자주 발견되는 유형의 호는 유형 6, 7, 2, 1, 5이다(유적에서의 발견 빈도에 따라 순서를 정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이 토기들의 비율은 현재 전체 토기 수량 중에서 약1 8%를 차지한다.
 
그룹 B-Ⅲ(корчажки - big pots - 소옹주 002
각주 002)
동이류 토기와 시루가 대개 이 그룹에 포함되었다 - 역자 주.
닫기
) - 이 그룹 토기의 형태는 그룹 Ⅱ(호)의 토기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큰 점(구경 20.4~33㎝, 동체 최대경 23~50.4㎝, 저경 12~27.4㎝, 높이 12~27.5㎝)과 몇까지 형태적 특성에서 차이가 나며, 형태적 특성 중 일부(바닥에 난 구멍들)는 용도에 의한 것이다. 소옹은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지만(도면 2),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다른 또 한 유형의 소옹 형태를 한 토기편이 발견된 바 있다. 이 토기편은 소옹과 토제 솥 사이의 중간적 위치를 점한다. 이 유적에서는 이 그룹 토기의 모든 유형이 출토되었으나 다른 유적들에서는 1~4개 유형까지의 소옹이 발견되었다.
B-Ⅲ-1 유형. 땅딸막한 넓은 목의 토기로서 장축 방향의 절두 장타원체 동체(토기 높이는 동체 최대경보다 2배가 작다)와 외반한 구연부가 있다. 구경은 동체 최대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이 유형 토기에는 2개의 수평 대상 손잡이가 달린 경우도 있다(아(亞)유형 1).
B-Ⅲ-2 유형. 넓은 목의 토기로서(구경이 동체 최대경보다 조금 크거나 혹은 동일하다), 세로 방향으로 길쭉한 절두 장타원체의 동체가 있다(토기 높이가 동체 최대경보다 크다).
B-Ⅲ-3 유형. 구연부를 대신하는 곧고 짧은 목과 장축 방향으로 난 절두 장타원체의 동체가 있는 토기다.
B-Ⅲ-4 유형. 높은 목과 (수직 방향의) 비대칭 장타원체의 동체가 있다. 동체 최대경은 동체의 윗부분에 위치한다.
이 그룹의 토기들도 크라스키노 성에서 꽤 자주 발견되며, 전체적으로 그 수량은 전체 토기의 약 10%를 차지한다. 그렇지만 크라스키노 성에서 가장 흔히 발견된 소옹의 유형은 유형 2, 1, 3이다. 시루는 B-Ⅲ-2 유형에 해당되며, 절대 다수의 경우 바닥에 큰 구멍들이 나 있다. 이 유형 토기의 대부분은 수평의 대상 손잡이를 가졌을 것이다.
 
그룹 B-Ⅳ(корчаги - large pots - 대옹주 003
각주 003)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대옹뿐만 아니라 규모가 큰 동이류와 시루가 함께 포함되었다 - 역자 주.
닫기
) - 그룹 Ⅰ~Ⅲ 토기와 함께 이 그룹 토기들은 많은 발해 유적들에서 확인된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이 그룹 토기가 더 많이 출토되었는데 이 유적은 연해주 지역에서 가장 발굴이 많이 된 유적이기 때문이다. 이 그룹 토기는 동체 비율이 그룹 Ⅱ와 Ⅲ 토기들과 유사성을 갖지만 크기에서 차이가 난다 .
대옹은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도면 2), 동체 비율이 몇몇 유형의 호 및 소옹과 비슷하지만 크기에서 큰 차이가 난다(대옹은 구경이 35㎝가 넘는다). 대옹은 고고학적으로 온전한 것이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 그룹의 토기 일부는 유형을 구연부의 크기를 통해 구분하였다. 온전하게 도상 복원이 되는 대옹은 구경이(유형 4를 제외하고) 41~53.7㎝, 동체 최대경이 69~75㎝, 저경이 31~39.8㎝, 높이가 74.6~78.3㎝이다. 그와 같은 대옹의 용량은 17.8~90리터이다.
B-Ⅳ-1 유형. 넓은 목의 땅딸막한 토기로서 짧은 경부와다양한 형태의 외반한 구연부(축이 수평 방향인), 절두 장타원체의 동체가 있다. 동체 최대경은 토기 높이와 비슷하다.
B-Ⅳ-2 유형. 넓은 입, 짧은 경부, 다양한 형태의 외반한 구연부, 그리고 기저부로 가며 축약되는 수직 방향의 비대칭 장타원형 동체가 있다.
B-Ⅳ-3 유형. 넓은 목의 토기로서 저부에서 구연부 쪽으로 완만하게 넓어지는 둥그스름한 동체가 있다. 구경은 토기 최대경이기도 하다. 2개의 대상 손잡이가 있다(일부만 남아있는 1점의 토기에는 바닥에 큰 구멍들이 있다). - 아(亞)유형 1).
B-Ⅳ-4 유형. 좁은 목의 높은 토기다. 토기의 높이는 동체의 최대경보다 1.5배가 더 크고, 구경과 저경보다는 3배가 더 크다(동체 최대경 42.6㎝, 높이 68㎝). 구경은 저경과 동일하다(21.2㎝). 온전한 것이 1점 출토된 상태다.
B-Ⅳ-5 유형. 넓은 목의 토기(수직 방향으로 난)로서 절두 타원형의 비대칭 동체가 있다. 구경이 동체 최대경보다 크다.
B-Ⅳ-6 유형. 이 유형 토기는 구연부의 역할을 하는 곧고 짧은 경부(없는 경우도 있다)와 장축 방향으로 절두 장타원체인 동체를 가진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대옹이 꽤 많이 출토되어, 소옹과 마찬가지로, 그 수량이 전체 토기의 10% 이상에 이른다. 하지만 B-Ⅳ-2 유형의 편들이 가장 많이 발견된다. 대옹이 매우 드물게 편 상태로 발견된 나머지 발해 유적들에서는 그 형태가 크라스키노 성 출토 대옹을 통해 복구된다.
 
그룹 B-Ⅴ(чаши малых размеров - cups - 완). 넓은 입(저경과 구경의 상관지수가 0.4~0.7이다)과 둥그스름하게 혹은 곧게 넓어지는 기벽 그리고 높이와 구경의 상관지수가 0.4~0.6(토기 높이 / 구경)인 작은 크기의 토기들이다(도면 3). 완은 대부분의 발해 유적들에서 출토되었지만 크라스키노 성에서 8개 유형 중 7개 유형으로 가장 많은 수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나머지 발해 유적들에서는 1~4개 유형의 완들이 출토되었다.
B-Ⅴ-1 유형. 곧은 구연부와 절두 타원형의 동체, 저부 쪽으로 축약되는 둥그스름한 기벽이 있는 완이다. 바닥에는 납작 굽이 달린 경우도 있다.
B-Ⅴ-2 유형. 이 유형의 완은 A-Ⅴ-1 유형 토기와 비슷하지만 구순이 내만한 점이 서로 차이가 난다. 이 유형 완에는 납작 굽이 달린 경우도 있다.
B-Ⅴ-3 유형. 이 유형의 완은 곧은 구연부와 뒤집힌 절두 원추 모양의 동체, 바닥에서 위로 벌어지는 곧은 기벽이 있다.
B-Ⅴ-4 유형. 이 유형 완에는 바닥에서 위로 벌어지는 약간 둥그스름한 기벽이 있다. 기벽은 구순이 뾰족한 외반한 둥그스름한 혹은 굽은 구연부로 연결된다. 토기의 아래 부분은 바닥으로 완만하게 축약된다.
B-Ⅴ-5 유형. 이 유형 완의 동체는 절두 장타원체 모양이며, 구연부는 완반하게 외반하였고, 구경이 동체 직경보다 크다.
Ⅴ-6 유형. 절두 장타원체의 동체, 구분되는 경부, 그리고 저경에 가까운 구경이 있는 이 유형 완은 대접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대접과는 크기가 크게 차이가 난다. 고리 굽 혹은 낮은 납작 굽이 있는 경우도 있다.
Ⅴ-7 유형. 이 유형 완에는 절두 원추 모양의 동체, 바닥에서 위로 벌어지는 곧은 기벽, 그리고 자그마한 고리 굽이 있다. 구연부는 수평 깎기가 되었으며 토기 내면으로 향한 좁은 테를 이루고 있다.
B-Ⅴ그룹(완)은 호(B-Ⅱ 그룹)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는 토기다. 현재 발견된 완의 수량은 전체 토기의 13%를 넘는다. B-Ⅴ-5 유형의 완이 가장 많이 확인되는데 이 유형 완은 다른 유형 완들에 비해 수량이 절대적으로 많다.
 
그룹 V-Ⅵ(миски - tureens - 대접). 이 그룹 토기의 몇몇 유형은 형태가 완-대접과 상응하지만 크기와 동체 비율 - 토기 높이와 구경의 상관지수(0.3~0.37), 저경과 구경의 상관지수(0.7~0.8) - 이 차이가 난다.
대접은 넓은 입과 둥그스름한 기벽이 있는 낮은 토기다. 완-대접과 대접 직경 형태소 그래프가 보여주듯이 그 크기에는 17㎝ 지점 이후에 큰 변동이 있다. 다음 형태소는 20㎝부터 시작된다. 바로 이 점이 대접을 구분하는 출발점이다. 대접은 발해의 많은 유적들에서 출토되었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대접이 4개 유형 중 3개 유형이 발견되었다(도면 3).
B-Ⅵ-1 유형. 넓은 입, 넓은 바닥, 구분되는 목, 완만한 선의 어깨, 그리고 외반한 구연부가 있는 낮은 토기다. 구경은(수평 축 방향으로 난) 장타원체의 동체 직경보다 약간 크다.
B-Ⅵ-2 유형. 첫 번째 유형의 대접과 비슷한 동체를 가진 낮은 토기이나 바닥이 더 넓다. 이 유형 대접은 동체에서 경부로 급하게 이행된다. 구경은 동체 최대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 크다. 동체 최대경은 어깨 부분에 위치한다.
B-Ⅵ-3 유형. 넓은 바닥, 둥그스름하게 벌어지는 기벽, 그리고 구분되는 경부가 있는 낮은 토기다. 구경이 동체 직경보다 크다.
크라스키노 성의 대접의 수량은 매 발굴 기간마다 증가하고 있다. 현재 그 수량은 다른 그룹 토기들과 비교할 때에 7%를 조금 넘는다. 크라스키노 성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대접 유형은 B-Ⅵ-3 유형과 B-Ⅵ-1 유형이다. 다른 발해 유적들에서는 1~2개 유형의 대접들이 알려져 있다.
 
그룹 B-Ⅶ(блюда - plates - 접시주 004
각주 004)
크기가 큰 접시들이 포함되었다. 반(盤)으로도 구분이 가능하다는 생각이다 - 역자 주
닫기
). 이 그룹에는 매우 낮고(토기 높이와 구경의 상관지수는 0.1~0.2이다) 넓은 입이 있는 열린 토기들이 포함된다. 접시의 구경은 24~34㎝ 사이다(도면 3). 이 그룹 접시의 모든 유형이 크라스키노 성에서 발견되었다. 다른 유적들에서는 1~2개 유형의 접시들만이 확인되었다.
B-Ⅶ-1 유형. 이 유형 접시에는 고리 굽이 있는 크지 않은 바닥(고리 굽과 구경의 상관지수는 0.4~0.5이다), 둥그스름한 기벽, 그리고 외반한 넓고 수평으로 평평한 구순이 있다.
B-Ⅶ-2 유형. 이 유형의 접시는 바닥이 평평하고 넓으며(저경과 구경의 상관지수는 0.8이다), 기벽은 바닥에서 위로 곧게 벌어진다.
B-Ⅶ-3 유형. 바로 앞 유형의 접시와 마찬가지로 평평하고 넓은 바닥(저경과 구경의 상관지수는 0.7~0.8이다), 밖으로 벌어지는 둥그스름한 기벽, 약하게 구분되는 목, 그리고 외반한 구연부를 가진다.
접시는 대접보다는 약간 드물게 발견되며 그 수량은 전체 토기의 약5 %를 차지한다.
 
그룹 B-Ⅷ(блюдца - saucer - 작은 접시주 005
각주 005)
크기가 작은 접시 모양 토기 중에서 뚜껑인지 접시인지 구분이 애매한 것은 모두 이 그룹에 포함되었다 - 역자 주.
닫기
). 작은 접시의 동체 비율은 접시와 비슷하지만(저경과 구경의 상관지수는 0.4~0.7, 높이와 구경의 상관지수는 0.2~0.3이다), 이 두 그룹 토기들은 크기가 서로 차이가 난다. 작은 접시의 구경은 9~14.8㎝ 사이다(도면 4). 발해 유적들에서 출토된 4개 유형의 작은 접시 중에서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첫 번째 2개 유형(B-Ⅷ-1, 2)만이 확인되었다.
B-Ⅷ-1 유형. 고리 굽과 B-Ⅶ-1 유형 접시와 비슷한 외반한 구순이 있는 뚜껑-작은 접시(крышки-блюдца - cover-saucer)이다. 내면에 흔히 장기간 사용한 흔적이 남아있는데, 바로 이 점이 이 유형 토기들을 이 그룹에 포함시키게 하였다.
B-Ⅷ-2 유형. 낮은 납작 굽이 있는 평평하고 넓은 바닥, 곧은 구연부와 연결되는 둥그스름하게 벌어지는 기벽이 있는 뚜껑-접시다. 앞 유형의 뚜껑-접시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면에 사용을 한 흔적이 있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절대 다수의 경우 B-Ⅷ-1 유형의 토기가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이 그룹 토기들은 크라스키노 성의 모든 그룹 토기들 중 약 3%를 차지한다.
 
그룹 B-Ⅸ(крышки - covers - 뚜껑). 발해 유적들에서 출토된 뚜껑들은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동체와 세부 형태가 가장 다양하여 모두 11개 유형으로 구분이 되었다(도면 4).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모든 유형의 뚜껑들이 다 발견되었지만, B-Ⅸ-7 유형과 B-Ⅸ-2 유형의 뚜껑이 특히 많이 확인되었다. 다른 발해 유적들에서는 1~2개 유형의 뚜껑들만이 발견되었다.
B-Ⅸ-1 유형. 기본 동체의 모양은 수평 단면상 절두 반구상이며, 구연부는 고리 굽의 작은 접시와 같이 외반하였다. 이 유형 뚜껑의 변종에는 손잡이가 있었을 수도 있다.
B-Ⅸ-2 유형. 동체의 모양은 수평 단면상 절두 반구상이다. 뾰족한 구연부가 가볍게 내만한다.
B-Ⅸ-3 유형. 이 유형의 뚜껑은 동체의 형태가 절두 원통형에 가깝다. 구순은 거의 직각으로 굽었으며 기본 토기와의 결합을 위한 단이 있다.
B-Ⅸ-4 유형. 이 유형 토기의 형태는 절두 원추형이며, 기벽은 곧거나 혹은 약간 둥그스름하고, 구연부는 곧고 둥그스름하다.
B-Ⅸ-5 유형. 이 유형 뚜껑은 일부만 남아있는데 형태가 심한 절두 반구상이다. 측면 기벽은 거의 없고, 뚜껑보다 약간 더 두껍다. 안쪽으로 약간 경사진 ‘구연부’ 가장자리는 기벽의 연장선이고 또한 뾰족하다.
B-Ⅸ-6 유형. 이 유형의 뚜껑은 크라스키노 성에서 단 1점만이 출토되었다. 동체는 반구상인데 관통된 구멍이 뚫린 주름진 원추상의 손잡이가 있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이와 유사한 손잡이 편이 1점 따로 출토된 바 있다. 이 손잡이에는 주름이 덜하고 구멍이 뚫려있지 않다.
B-Ⅸ-7 유형. 이 유형 뚜껑의 동체는 절두 반구상의 모양을 가지며 양파 모양(보주형)의 손잡이가 있다. 유행한 뚜껑 형태이며 손잡이 모양은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B-Ⅸ-8 유형. 이 유형 뚜껑도 동체가 반구상의 형태를 가지지만 손잡이가 없다.
B-Ⅸ-9 유형. 이 유형 뚜껑은 단 1점이 크라스키노 성에서만 발견되었다. 가운데 큰 구멍이 있는 절두 반구상의 형태를 띤다.
B-Ⅸ-10 유형. 절두 원추형의 모양을 가진다. 기벽은 급하게 벌어지며 구연부는 뾰족하고 가볍게 내만하였다.
B-Ⅸ-11 유형. 이 유형 뚜껑들은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은 아니지만 모양이 반구상인 것은 분명하다. 뚜껑의 기벽에 형상 투공이 되어 있는데 아마도 향로에 속할 것이다. 새김이 된 융기 돌대모양의 장식이 부가된 경우도 있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뚜껑이 8% 이상으로 꽤 자주 사용되었다. 그 외에도 작은 접시, 완, 사발, 접시, 대접도 뚜껑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룹 B-Ⅹ(вазавидные сосуды - vase-like vessels - 광경화병형 호주 006
각주 006)
목이 넓은(廣頸) 화병형의 호라는 뜻으로 사용한 용어다. 아래의 목이 좁은(狹頸) 화병형 호에 비해 목이 넓은 편이다 - 역자 주.
닫기
). 이 그룹 토기들은 예외적으로 온전한 유물들을 통해 확정되었다(도면 4). 이 토기들은 낮고 상대적으로 넓은 목을 가지는데 목이 호보다는 좁고 협경화병형 호보다는 넓다. 동체 직경은 구경보다 훨씬 더 크다(둥체 직경과 구경의 상관지수는 1.5~1.8이다). 동체는 타원형 혹은 장타원형이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2개 유형의 광경화병형 호가 출토되었다.
B-Ⅹ-1 유형. 이 유형의 토기에는 낮은 목과 수직으로 길쭉한 비대칭의 동체가 있다. 저경의 크기는 구경에 가깝다.
B-Ⅹ-2 유형. 이 유형의 토기에는 목이 약하게 구분되어 있으며, 동체는 타원형이고, 동체 최대경은 동체 중간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 바닥은 상대적으로 넓다.
이 그룹의 토기들은 온전한 것들을 통해서만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빈도는 판단하기가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인된 수량은 전체 토기의 2% 미만으로 파악된다.
 
그룹 B-Ⅺ(вазы - vases - 협경화병형 호주 007
각주 007)
목이 좁기 때문이 병이라 지칭해도 무방할 것이라 생각되며, 실제로 고구려 토기 중에는 이 형태의 토기를 병으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러시아어와 영어 모두 이 토기를 화병으로 지칭하기 때문에 화병형 호로 번역하였다. 다만 위의 광경화병형 호와 구분하여 협경화병형 호로 부르기로 한다 - 역자 주.
닫기
). 좁은 목과 볼록하고 타원형인 혹은 장타원형인 동체가 있는 토기로서 흔히 편 상태로 출토된다(도면 4). 협경화병형 호의 유형은 입의 모양과 동체 비율에 의해 구분된다. 동체 직경이 구경보다 2배 혹은 그 이상 크다(동체 직경과 구경의 상관지수는 2.2를 넘는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B- -2 유형을 제외한 모든 유형의 협경화병형 호가 출토되었다.
B-Ⅺ-1 유형. 높은 목이 있는 토기다. 동체는 비대칭 타원형이고 저부로 가면서 축약된다.
B-Ⅺ-3 유형. 짧고 좁은 목, 절두 구상의 동체, 그리고 넓은 바닥이 있는 땅딸막한 토기다.
B-Ⅺ-4 유형. 작고 좁은 목 그리고 높고 길쭉한 비대칭의 타원형 동체가 있는 높은 토기다. 크라스키노 성에서 온전한 것이 1점 출토되었다. 동체에 2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수평 가(假)손잡이가 있다.
B-Ⅺ-5 유형. 완모양의 입과 타원형 혹은 장타원형의 동체가 있는 토기다. 일부만 남아있는 상태로 발견되었다. 이 유형의 몇몇 토기에는 참외 골 무늬가 있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협경화병형 호가 전체 토기의 3% 이상을 차지한다. 비록 편 상태이기는 하나 B- -1 유형과 B- -5 유형의 것이 가장 많이 확인된다. B- -5 유형의 협경화병형 호는 고르바뜨까 성, 니꼴라예브까2 성, 마리야노브까 성, 그리고 꼭샤로브까 성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그룹 B-Ⅻ(чаши большого размера - bowls - 사발). 이 토기들은 형태가 다양하다(도면 5). 4개 유형의 사발이 확인되었다. 사발은 완과 흡사하지만 크기 차이가 난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3 개 유형 B- -1, 2, 4 유형의 사발이 출토되었다.
B-Ⅻ-1 유형. 이 유형의 사발은 넓고 평평한 바닥과 곧게 넓어지는 기벽을 가지며, 동체는 절두 원추형이다.
B-Ⅻ-2 유형. 이 유형의 사발은 동체가 절두 원추형이고, 평평한 바닥의 직경은 구경보다 대략2 배가 작다.
B-Ⅻ-4 유형. 이 유형의 사발은 형태와 동체 비율이 B-Ⅴ-5 유형의 완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차이가 난다.
이 그룹 사발의 편들은 수량이 많지 않은데 그 수량은 전체 출토 토기의 2% 미만을 차지한다. 사발 중에서는 B-XII-2 유형이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그룹 B-XIII(баночные сосуды - jars - 장동호주 008
각주 008)
이 그룹에 포함된 토기들은 모양이 모두 장동호에 해당된다 - 역자 주.
닫기
). 온전한 장동호는 아직은 크라스키노 성에서만 출토 되었다(도면 5). 이 그룹 토기의 형태는 광경화병형 호와 흡사하지만 동체가 훨씬 더 길쭉하고, 동체 비율이 차이가 난다. 동체 직경과 높이의 상관지수는 0.7~0.75이다. 장동호는 2개 유형이 구분되었다.
B-XIII-1 유형. 좁은 바닥과 타원형의 동체가 있는 토기다(저경의 크기가 목 기저부 지름의 크기와 동일하다).
B-XIII-2 유형. 넓은 바닥과 비대칭의 타원형 동체가 있는 장동호이다.
잠정적 평가에 따르면 이 그룹 토기의 수량은 전체 발견 토기의 약1 %를 차지한다.
 
그룹 B-XIV(горшки-котлы - cauldrons - 부형 호주 009
각주 009)
솥(釜) 모양의 토기다 - 역자 주.
닫기
). 이 그룹의 토기도 아직까지 크라스키노 성에서만 출토되었다(도면 5). 부형 호에는 항상 다양한 형태의 (수평) 귀 손잡이가 있다. 다른 유적들에서는 아직 이 유형 토기의 손잡이가 알려져 있지 않다. 수평의 대상 손잡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귀 손잡이를 동체에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해 수평의 선을 그어 표시하였다. 이 토기들의 구연부는 동시에 경부이기도 하다. 동체는 수평 축으로 비대칭의 장타원형을 가지며 최대경은 동체 위 부분에 위치한다. 구경과 저경과 상관관계에 따라 부형 호는2 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B-XIV-1 유형. 구경이 저경과 크기가 비슷한 토기다(구경이 저경과 거의 동일하다).
B-XIV-2 유형. 이 유형의 토기에는 저경보다 큰 구경이 있다(구경의 크기가 저경보다 크다).
발견된 부형 호의 수량은 약 2%를 차지하며, 크라스키노 성의 주거구역들에서 출토되었다.
 
그룹 B-XV(большие шаровидные сосуды - large spherical vessels - 대형 구상 호).
고고학적으로 온전한(복원되는) 이 그룹 토기는 크라스키노 성에서 출토되었고, 일부만 남아있는 것들은 다른 유적들에도 알려져 있다(도면 5). 토기 기벽이 경부 기저부에서 급격하게 넓어진다. 경부와 동체의 경계는 낮은 단, 깊은 홈선, 혹은 융기 대문에 의해 구분된다. 이 그룹 토기의 동체 형태는 토기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구상(球狀)이다. 구경과 저경의 상관관계를 통해 2개 유형이 구분되었다.
B-XV-1 유형. 이 유형의 토기는 넓은 바닥을 가진다(구경과 저경의 상관지수는0 .7~0.75이다).
B-XV-2 유형. 이 유형의 토기에는 구경과 저경이 서로 비슷하다(구경과 저경의 상관지수는0 .9~0.95이다).
이 그룹 토기는 발견된 것과 일부 복원되는 것이 전체 토기의 1%를 넘지 못하지만, 이는 보존 상태가 나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룹 B-XVI(тазы - basins - 반). 다양한 발해유적에서 출토되었다(도면 5).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2개 유형 - B-XVI-1 유형과 B-XVI-2 유형 -의 것만이 수 점 출토되었을 뿐이다. 구경은3 5~54.2㎝이다.
B-XVI-1 유형. 이 유형의 반에는 가볍게 벌어지는 둥그스름한 기벽이 있는데, 구연부는 기벽의 연장선에 해당하지만 내면이 기벽보다 약간 도톰하다.
B-XVI-2 유형. 이 유형의 반은 일부만 남아있었고, 구분되는 경부와 외반한 구연부 그리고 둥그스름한 기벽을 가진다.
 
그룹 B-XVII(керамическая фляга - flask - 편병). 단 1점이 크라스키노 성의 우물에서 출토되었다(도면 6). 크기는 수평으로 잘린 구순과 평면상 타원형인 곧은 구연부는 7×8.8㎝, 짧은 목 직경은 8.6~9.9㎝, 한쪽 면이 편평한 동체의 최대 직경은 17㎝, 둥근 바닥의 직경은 12.3㎝, 토기 전체 높이는 23.1~23.4㎝이다. 동체에 2쌍의 고리 모양 손잡이가 있었지만 1쌍만 남아있다. 이 토기는 처음에는 물레에서 준비를 하였다가, 나중에 한쪽 면을 납작하게 하였다. 하지만 바닥은 사실상 거의 변화를 주지 않았기 때문에 편평해진 면은 약간 비스듬하다. 이 토기에는 고려시대 한국 도예에 특징적인 특성들을 가진 고전적인 거란 편병의 특성들이 결합되어 있다.
 
그룹 B-XVIII(керамические реплики чугунных котлов - cauldron - 주철 솥 토제
모방품(모방 솥)주 010
각주 010)
부형 호와는 목 부분의 주름과 전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부형 호가 솥 모양의 토기라고 한다면 이 토제 모방 솥은 실제 주철제 솥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라 하겠다 - 역자 주.
닫기
). 이 그룹의 일부만 남아있는 토기들은 주철제 솥을 모방하고 있으며, 크라스키노 성 이외에서는 니꼴라예브까2 성과 마리야노브가 성에서 출토된바 있다(도면 6). 이 토기들의 구경은 8.4~18.5㎝이다. 이 토기들의 목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주름이 져있다. 동체 중간 부분에는 전 혹은 수평 귀 손잡이가 달려 있다. 바닥이 어떤 형태였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그룹 B-XIX(триподы - tripods - 삼족기). 3개의 다리가 달린 토기로서, 발해 유적에서는 시유 토기와 비(非)시유 토기 모두에서 확인된다(도면 6). 크라스키노 성 내의 사역에서 뿐만 아니라 그 주변 구역들에서도 발견되었다. 1개 유형만이 확인되었다. 동체는 둥그스름한 기벽이 있는 완-대접 모양이고 구분되는 경부와 외반하는 구연부가 있다. 동체는 양식화된 사자 발 모양의 다리 3개에 지탱한다. 흔히 다리 편들이 개별적으로 발견된다. 복원된 토기의 구경은1 1.4~17.6㎝, 높이는 5~7㎝이다. 다른 크기의 삼족기도 발견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룹 B-XX(подставки -stands - 기대).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3개 유형의 기대가 출토되었다(도면 6). 1점만이 온전하게 복원되었다. 꼭샤로브까 성에서 출토된 탑 모양을 가진 다른1 개 유형의 기대는 도면에 포함되지 않았다.
B-XX-1 유형. 이 기대는 위 부분(구경 18.5㎝)과 아래 부분(저경 13.8㎝)이 모두 완 모양이다. 바닥은 없다. 최소 직경은 속이 빈 “다리” 부분에 있다(9.3㎝). 최소 직경은 토기 전체 높이에 상응하며 “다리”는 투공이 된 양식화된 꽃무늬로 장식되었다.
B-XX-2 유형. 이 토기는 비록 일부만 남아있지만(높이 21.3㎝만), “다리”가 역시 속이 비었음은 알 수 있다. 아래 부분은 길쭉한 원추형의 완 모양이다(저경 16.5㎝).
B-XX-3 유형. 역시 일부만 남아있다(높이 29㎝만). 완 모양의 아래 부분은 둥근 지붕모양이다(저경 31㎝).
 
그룹 B-XXI(миниатюрные сосуды - tiny vessels - 미니어처 토기). 이 토기들을 개별 그룹으로 구분한 것은 제작에서의 세밀함과 주어진 형태의 정확한 준주가 이 토기들을 장난감으로 볼 수 없게 하기 때문이다(도면 6). 아마도 이 토기들은 화장품, 의약품 등등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였을 것이다. 구경은 1.6~3.7㎝, 높이는 2.2~4.9㎝이다. 이 토기들에는 회전 구조물의 미약한 흔적이 있고 동체는 구상이다. 크라스키노 성에서 2점, 체르냐찌노 5 고분군에서 1점이 각각 출토되었다.
 
그룹 B-XXII(сосуд с вырезом - vessel with cutout - 삼태기형 토기). 크라스키노 성에서 윤제로 된 삼태기형 토기가 1점 출토되었는데 수제 토기 그룹 A-Ⅲ과 상응한다(도면 1, 6). 구경은 15㎝, 타원형의 저부 직경은 9.3~10.6㎝, 높이는 22㎝이다.
 
그룹 B-XXIII(кувшины - jags - 물병형 토기). 그룹 토기들은 크라스키노 성과 고르바뜨까 성에서 출토된 몇몇 토기의 위 부분 편들을 통해 구분되었다(도면 6). 이 토기들은 곧은 구연부로 이어지는 높은 목과 길쭉한 타원형의 동체가 특징적이다. 물병형 토기의 구경은 5~14㎝이다. 목의 형태가 서로 다른 것들이 발견되는데, 구연부 쪽으로 축약되는 절두 원추형도 있고, 기벽이 약간 오목하고 구경과 목 기저부 직경이 서로 동일한 것도 있다. 두 종류 모두 크라스키노 성에도 발견된 바 있다.
 
그룹 B-XXIV(бутыли - bottle - 술병형 토기주 011
각주 011)
모양이 백자 술병과 흡사하여 술병형 토기로 하였다 - 역자 주.
닫기
). 이 그룹의 토기들은 오직 편 상태로만 출토되었지만 형태가 매우 독특하기 때문에 개별 그룹으로 구분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도면 7). 좁은 목의 연장선상에 있는 곧은 구연부는 직경이 5.6㎝이다. 구순 조금 아래에 융기대가 있다.
 
그룹 B-XXV(кубок-чаша - beaker? - 고배형 토기주 012
각주 012)
전체 복원되는 모양이 고배와 비슷하다 - 역자 주.
닫기
). 이 유형 토기는 크라스키노 성에서 출토된 위 부분만 남아있는 편을 통해 구분되었지만(도면 7), 원판형 기저부를 가진 다리 편이 노보고르제예브까 성에서 발견된 바 있다. 고배형 토기의 동체는 구연부 쪽으로 축약되는 절두 타원형이다. 구경은1 1.9㎝, 동체 최대경은 17.6㎝이다.
 
그룹 B-XXVI(сосуд в форме рога - horn-shaped vessel - 각배). 크라스키노 성의 위 건축면에서 1점이 출토되었다(도면 7). 이 토기는 잔존 길이 27.5㎝로 일부만 남아있다. 이 토기는 한쪽 끝으로 축약되는 관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구경은 10.5㎝이다. 구연에서 16.3㎝ 거리에 받침대의 잔존물이 있는데, 아마도 이 의례용 토기는 원래 받침대에 고정시켰을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그 받침대의 모양은 파악되지 않았다. 이 형태 토기의 다양한 기형들이 한반도의 신라와 가야 유적들(7~8세기)에서 받침대와 함께 혹은 받침대가 없이 각각 출토된 바 있다(Masterpieces from Ewha... 1999: 46, fig.22; A fine collection of earthenware... 1990: 69, fig.119). 뿔 모양 토기는 받침대에 걸었다. 하지만 크라스키노 성 출토 유물은 제작 시에 바로 받침대에 고정시켰는데 각배 아래 부분에 고정을 위한 흔적이 남아있는 것을 통해 알 수있다.
 
그룹 B-XXVII(винный чайник - vine kettle - 술 주전자). 크라스키노 성에서 1점이 출토되었다(도면 7). 구연부는 결실되고 목 부분과 주구가 달린 동체의 많은 부분이 남아있다. 목이 상대적으로 높으며(높이 4㎝, 직경 8.7㎝), 수직의 마연 띠무늬들에 의해 강조되었다. 목과 동체의 경계는 융기대문에 의해 육안으로 구분된다(동체 최대경 13.8㎝이다). 이 유적에서는 다른 유사한 토기에서 떨어져 나온 주구편들도 발견된 바 있다.
 
그룹 B-XXVIII(курильницы - censers - 향로). 오랫동안 다양한 크기의 투공이 있는 작은 향로 편들만 발견되었지만(도면 7), 뚜껑(B-IX-11 유형 참조 요망)을 제외하고는 그 형태를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얼마 전에 꽤 많은 부분이 남아있는 향로의 편이 발견되었고 덕분에 이 토기들을 마침내 개별 그룹으로 구분하게 되었다. 이 크지 않은 토기의 구경은 동체 직경과 비슷한 17.5㎝이다. 잔존 높이는 17㎝이다. 토기 기벽에는 수많은 작은 구멍들이 뚫려져 있으며, 수평으로 자른 구연은, 암막새기와에 나 있는 것과 비슷한 사선 눈금들로 장식되었다.

  • 각주 001)
    대체로 소호와 중호에 해당되며 직구호를 포함한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2)
    동이류 토기와 시루가 대개 이 그룹에 포함되었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3)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대옹뿐만 아니라 규모가 큰 동이류와 시루가 함께 포함되었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4)
    크기가 큰 접시들이 포함되었다. 반(盤)으로도 구분이 가능하다는 생각이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5)
    크기가 작은 접시 모양 토기 중에서 뚜껑인지 접시인지 구분이 애매한 것은 모두 이 그룹에 포함되었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6)
    목이 넓은(廣頸) 화병형의 호라는 뜻으로 사용한 용어다. 아래의 목이 좁은(狹頸) 화병형 호에 비해 목이 넓은 편이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7)
    목이 좁기 때문이 병이라 지칭해도 무방할 것이라 생각되며, 실제로 고구려 토기 중에는 이 형태의 토기를 병으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러시아어와 영어 모두 이 토기를 화병으로 지칭하기 때문에 화병형 호로 번역하였다. 다만 위의 광경화병형 호와 구분하여 협경화병형 호로 부르기로 한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8)
    이 그룹에 포함된 토기들은 모양이 모두 장동호에 해당된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09)
    솥(釜) 모양의 토기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10)
    부형 호와는 목 부분의 주름과 전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부형 호가 솥 모양의 토기라고 한다면 이 토제 모방 솥은 실제 주철제 솥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라 하겠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11)
    모양이 백자 술병과 흡사하여 술병형 토기로 하였다 - 역자 주. 바로가기
  • 각주 012)
    전체 복원되는 모양이 고배와 비슷하다 - 역자 주.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토기 기형 자료번호 : kr.d_0010_006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