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크라스키노발해성

서론

  • 저필자
    E.I.겔만, 김은국, 정석배
동북아역사재단은 러시아과학원 극동 역사고고민족학연구소와 공동으로 극동연방대학교의 협력을 받아 지난 2012년 7월 1일부터 8월 2일까지 러시아연방 연해주 하산지구의 크라스키노 성터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도면 1~4). 이 유적은 발해의 동경 용원부에 속한 염주의 치소였다. 발해의 중심지역 및 동경에 가깝게 위치하는 이 유적에서의 발굴조사 자료들은 그 자체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발해 문화 전체를 연구하는 데에도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제9차 한·러 공동발굴조사 기간에서는 유적의 북쪽 지역에 해당하는 북서쪽 및 중앙 부분에 대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국제 공동발굴조사단은 여러 단계에 거주하였던 성터 주민들의 물질적·정신적 문화, 발해 주민들과 자연환경 사이의 상호관계, 유적의 상대적·절대적 연대 등에 대한 포괄적이고 완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012년도 야외조사 기간의 기본 과제들은 다음과 같았다.
 
 - 전년도의 야외조사 기간 중에 발견된 석축기단 건물에 대한 발굴조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유적의 북서쪽 부분 제44구역과 제48구역 사이의 거주구역에 대한 조사를 계속해서 진행한다.
 - 유적의 북서쪽 부분에 대한 토층조사를 계속하기 위해 제44구역과 제48구역의 경계 지점들에서 제2건축면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다.
 - 유적의 북쪽 중앙 부분에서는 제47구역의 경계 지점들에서 2011년도 야외조사 기간에 드러난 석축유구의 남쪽으로 상(上) 건축면에 대한 조사를 계속해서 진행한다.
 - 유적 북쪽 부분 제47구역 일대 상(上) 건축면에의 건축물들의 성격과 밀도를 연구한다.
 - 모든 발굴구역들에서 지질-암석물리 조사(토양 상층들에 대한 층위적 지자기 탐사)를 실시한다.
 
고고학 유적 조사방법론의 개선을 위해 고고학 발굴조사는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야외조사부에서 E.I.겔만에게 발급한 № 637 발굴허가서에 따라 실시하였다. 고고학 조사와 이 책의 준비 작업은 동북아역사재단과 러시아 학술재단 및 프로그램 지원금을 통해 수행하였다.주 001
각주 001)
발굴조사보고서는 동북아역사재단의 지원과 2012~2014년도 러시아연방 교육부 국가과제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의 문화와 문명 간 상호관계의 역사적 경험’ 프로젝트 및 러시아과학원 극동분소 12-III-A-11-216, 12-III-A-11-21, 12-III-Д-11-040 지원금을 통해 준비되었다.
닫기
발굴조사는 성터 내의 3개 지점 - 제44구역(167㎡), 제48구역(210㎡), 제47구역(109㎡) - 에서 실시하였다(도면 5, 6). 전체 발굴조사 면적은 486㎡이다.
고고학 조사 중 출토된 유물과 야외조사 문건들은 러시아과학원 극동 역사고고민족학연구소 정치인류학센터과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발굴조사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러시아과학원 극동 역사고고민족학연구소 E.I.겔만 박사(발굴단장), E.V.아스따쉔꼬바 박사, Ya.E.삐스까료바 박사, A.L.이블리예프 박사, V.I.볼딘 박사, E.V.또로뽀바 도서관장, S.S.까바친스끼 대학원 박사과정.
동북아역사재단 김은국 박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 교수, 중국 길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김은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동귀, 김영현, 김동국 학생.
러시아과학원 극동분소 태평양해양학연구소 지질광물학 박사 E.A.베스손노바.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역사학고고학인류학과 1~5학년 학생 A.Yu.사나페예브, F.가스이모브, V.A.로바놉스까야, V.I.빠루추크, E.S.렌쥐나, R.A.그리찌께비치, M.V.미네예프, E.A.스멜꼽스끼, Yu.I.오를로프, A.S.곤차로바, O.A.깔라체바, M.A.예브도끼모바, V.V.꾸짜예바, S.베르댠스끼, A.보죡, A.그린첸꼬, A.쉴렌끼나.
극동연방대학교 기술대학 학생 Yu.S.김.
극동연방대학교 교육대학 학생 A.V.벨랴예브, V.V.벨랴예브, I.V.그루또우스, A.이사예프. 운전기사 M.V.부트.
블라디보스토크 중등학생 I.떼레호브, T.A.삐스까료바.
고고학 출토 유물에 대한 사진촬영은 역사고고민족학연구소의 L.A.까라까가, 유구 도면에 대한 컴퓨터 정리작업은 D.G.또밀로브이가, 개별 유물 실측, 토기 실측, 그리고 유물 도면들의 컴퓨터 정리 작업은 S.V.리빠또바가 각각 수행하였다.
현장 발굴조사 중에는 정석배, 김은국, Ya.E.삐스까료바, E.I.겔만, E.V.아스따쉔꼬바가 유구에 대한 사진촬영을 하였고, 김은옥, 정동귀, 김영현, 김동국이 유구 실측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책의 출간 과정에서 김은국, 정석배, 김은옥이 교열 및 도면 가편집 작업을 하였다.
발굴조사와 실내 보고서 작업에 최선을 다해준 발굴단원 모두와 이 발굴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해 준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과 러시아과학원 극동 역사고고민족학연구소 소장에게 진심으로 감사함을 전한다.
아울러 크라스키노 발해성에 대한 한·러 공동발굴조사가 대한민국과 러시아연방의 우호증진에 기여하고 양국 학자들 간의 학문적 교류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 각주 001)
    발굴조사보고서는 동북아역사재단의 지원과 2012~2014년도 러시아연방 교육부 국가과제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의 문화와 문명 간 상호관계의 역사적 경험’ 프로젝트 및 러시아과학원 극동분소 12-III-A-11-216, 12-III-A-11-21, 12-III-Д-11-040 지원금을 통해 준비되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론 자료번호 : kr.d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