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크라스키노 발해성지의 패각류 분석 결과

2009년에 크라스키노 발해성지의 40과 42발굴구역에서는 대량의 패각(236)과 연체동물이 확인되었는데, 전체 수량은 300점 이상이다. 대부분은 42발굴구역의 6분층에서 출토되었고 40발굴구역에서는 11분층과 12분층, 주거지 11호와 연통부에서 출토되었다. 연체동물 이외에는 드물게 따개비편과 특정한 패각류인 석회조류가 있다. 확인된 바로는 조류, 외항동물, 다모류 등과 차이가 있으며 천공한 흔적이 있다. 거의 모든 발굴지에서는 1개 혹은 몇 개 종류의 연체류를 포함하고 있다.
이 분석을 위해서 이미 이전에 패총의 연체동물 분석방법을 취하였다. 완형 혹은 조각난 패각류는 각 크기(길이, 높이, 너비)별로 분류하였고, 패각류의 연령 등도 파악하였다. 그러나 완형이거나 이매패는 조개의 육류 채취, 물에 넣고 끓이거나 찌기 때문에 아주 드물게 확인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패각은 아주 잘게 부서지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2009년 출토된 연체동물을 분석한 결과이다.
42발굴구역에서는 2분류 중에서 6개류가 확인되었는데, 복족강(1개)과 이매패류(5개)이다. 이런 류의 패각류는 모두 현재 포시에트 만에서 서식한다. 그중에는 참굴(Crassostrea gigas) (그림 827 : 7)과 피뿔고동(Rapana venosa) (그림 825)이 엑스페디치야 만에 분포되어 있고 이 유적과는 2~3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열린 만으로 만의 입구에서는 직선거리로 5~7km 떨어져 있다. 채취 작업을 위해서 크지 않은 배로 2~3번 이상씩 왕복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체동물은 모든 분층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확인되는데, 층위적으로 얼마나 많은 패각 등이 퍼져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상대적으로 주거지에서 어떠한 종류가 얼마나 많이 묻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있다.
2009년에 출토된 패각 종류에는 북방대합(Spisula sachalinensis)이 있다(그림 823). 이 패각은 대부분 42발굴구역의 2~6분층에서 확인된다. 그중에는 92점이 완형으로 남아 있어서 연체동물의 크기와 연령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출토된 패각은 대체적으로 길이 41.2~96.1mm이고, 4살에서 11~14살 사이의 것이다. 가장 자주 확인되는 크기는 70~90mm로, 7~12살 사이의 것이다. 좌매패가 우매패보다 약간 많이 출토된다.
북방대합의 크기와 연령은 현대의 어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레이드 파라라드 만에 위치한 포시에트에는 나지모바 모래톱 4~7m 깊이에서 서식한다. 북방대합의 서식지는 엑스페디치야 만과 쉐레하 곶, 마지막으로 노보고가라드스코이 반도까지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중세시대 사할린 섬과 비교해볼 때, 포시에트 만에서 생산되는 연체동물 크기가 작다. 사할린 섬의 고고학 유적에서 확인되는 북방대합의 크기는 대체적으로 90~110mm 정도이다.
패각의 나이테는 여름철 따뜻한 물에서 생기는데, 아직 다 자라지 않은 패각에는 나이테가 확인되지 않는다.
몇몇 북방대합은 구멍이 뚫려 있는데, 아마도 구슬우렁이(Cryptonatica janthostoma)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구멍의 크기는 2~3mm이다.
다른 연체류에 비해, 북방대합의 대부분은 크라스키노 성에 사는 주민 식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북방대합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핫산지구의 남쪽 고려인들에 의해서 많이 채취된 패각류이며(라진, 1934) 현재까지 한반도에서는 아주 질 좋은 식량이다. 이 조업은 대체적으로 여성과 어린이들의 과업이었는데, 깊이 1.5m 가량의 낮은 수심에서 발을 이용해 모래 속 북방대합의 존재를 파악하고, 목재로 된 도구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고려창’이라 불리는 이 목재도구는 바닥이 유리로 되어 있어 목재 상자를 통해서 물속을 들여다보며 대합을 건져서 작은 배로 끌어올리는 방법으로 채취하였다. 북방대합은 모래 안에 있을 때는 수관의 끝을 올리고 있으므로 이러한 형태를 잘 관찰하면 서식지를 알 수 있다.
40발굴구역과 42발굴구역의 10번 시료에서는 아주 큰 동해담치(Crenomytilus grayanus)가 확인되었다. 패각은 가장 오래된 것으로, 편평하고 뚱뚱한 부분이 남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길이가 140~160mm일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동해담치는 크라스키노 발해성의 이전 발굴에서도 출토되었다(예를 들면 2007년도, 37발굴구역). 그러나 40발굴구역과 42발굴구역에서는 이보다는 적게 확인되고, 개체수도 적은 편이다. 9개체가 10호 주거지(Г-15격자, 11분층, 40발굴구역)에서 출토되었다.
포시에트 만의 동해담치는 1~15m 깊이의 해안가 암반에 붙어서 산다. 크리스키노 발해성지에서 출토되는 패각의 형태, 크기로 보아 깊은 곳에 서식하는 것인데, 크지 않은 바가지 같은 것으로 채취했을 가능성이 있다. 성에서 가까운 곳에는 엑스페디치야 만 혹은 레이드 파라라드 만의 입구가 있는데, 이러한 북방대합 채취 가능한 곳이 있다.
42발굴구역의 А-2, Б-3, Г-3, Е-2, Ж-2, Ж-3, И-4 격자에서는 가리비(Mizuhopecten yessoensis)의 큰 조개편들이 출토되었다(그림 826). 이 외에 호박해면류(Cliona sp.)도 출토되었다.
최근들어 연해주의 가리비는 페이드 파라라드 만과 엑스페디치야 만, 노보고르드스키 만의 깊이 2~15m 입구에서 잘 채취된다. 강풍이 불 때, 나지모바 모래톱이나 다른 열린 만에 자주 노출되는 이 조개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채취 가능하다. 즉 그냥 손으로 잡거나, 치구가 있는 바가지 같은 것으로 긁어내는 방법 등 다양하다. 상대적으로 가리비는 유적에서 많이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가리비를 살아 있는 상태에서도 바로 칼로 가리비 살을 채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상기한 이매패 종류의 패각 외에 42발굴구역에서는 참굴(그림 827 : 7)과 밤색무늬 조개류(Glycymeris yessonsis) (그림 824)와 피뿔고동(그림 825) 등이 출토되었다. 피뿔고동은 참굴을 대신해서 채취된 것으로 깊이 1~3m 수심에 산다.
패각류의 크기로 판단컨대, 발해인은 크고 완숙한 연체동물을 선호하였다. 굴과 고동은 깊이 1.5~5m의 모래와 암석이 뒤섞인 환경에서 자라는데 엑스페디치야 만의 입구가 그러한 곳이다. 성지에서 굴과 고동의 흔적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발해인들이 이들을 중점적으로 채취하지 않았거나 식량으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패류 채취에는 작은 배가 이용되고, 옷 위에 줄을 연결해 물에 직접 들어가서 채취하였다.
2009년에 출토된 연체동물 외에는 따개비(Balanus sp.)류 등이 출토되었다. 따개비류는 담치와 가리비의 껍데기에 붙어서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연체동물과 함께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2009년 크라스키노 발해성지에서는 6개의 바다 피뿔고동과 5개의 이매패 종류가 확인되었는데, 이들과 함께 따개비류도 발견되었고, 적조류와 외항동물의 흔적도 남아 있다. 북방대합에 비해서 담치류나 다른 종류의 패류는 훨씬 적게 확인된다. 모든 패류는 포시에트 만에서 서식하며, 유적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거리(3~4m에서 10~12m)와 상대적으로 깊지 않은 곳(1~1.5m 이상)에 살고 있다. 이들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도구(치구가 달린 바가지 모양의 도구)가 필요한데, 가리비와 북방대합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은 다른 연체류와는 달리 여름에도 채취 가능하다.
2009년 크라스키노 발해성지의 고고학 조사에서는 탄화된 재배식물 유존체가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부유선광방식을 통해서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전 발굴과는 달리 2009년에는 40발굴구역과 42발굴구역에서 탄화된 흔적이 있는 층의 모든 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33 시료결과에서 곡물의 종류와 고고학 유물을 확인할 수 있다(표-10, 11). 그래서 확인된 시료는 최대로 동정할 수 있는 곡물을 분류하고, 출토된 위치를 확인하였다.
42발굴구역에서 도로 일부와 그 주변이 발굴 영역인데, 여기서는 12 시료분석을 하였다. 40발굴구역에서는 5건축층에서 주거지 몇 기와 주거지 사이를 발굴하였다. 9호~13호 주거지, 수혈, 주거지 사이 공간에서 117 시료 분석이 이루어졌고, 쓰레기장의 흙도 분석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크라스키노 발해성지의 패각류 분석 결과 자료번호 : kr.d_0007_0030_001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