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봉록의 부족으로 가신을 줄이면 군역(軍役)이 부족해지는 문제

주서(朱書)
 봉록이 적절히 지급되지 못한 가신의 수가 많은데, [인원수를] 줄이려 하면 군역(軍役)이 부족해집니다.
  주요 근무자의 인원은 대략 알겠으나, 전체 무사의 수는 알기 어렵습니다. 가로(家老) 6명 중에 에도 근무 2명, 중로(中老) 3명 중에 사사(寺社) 관계 담당자 1명·인반야쿠(印判役) 1명, 고요닌(用役, 御用人)주 001
각주 001)
고요닌(御用人) : 에도시대에 막부·다이묘·하타모토(旗本) 가문에서 주군에 근시하며 재정을 비롯하여 서무를 담당하던 직책. 주군(主君)의 용무를 전달하는 것을 주된 업무로 하는 직책이나, 소바요닌(側用人)이 설치된 제번(諸藩)이나 하타모토(大身旗本)의 경우 소바요닌은 주군의 ‘사적인 일·가정(家政)상의 용무’를 전하고, 상대방과 절충하여 서무를 담당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었다.
닫기
4명 중에 에도 근무 1명·전(前) 번주님[隱居]주 002
각주 002)
인쿄(隱居) : ①관직을 사퇴하고 물러나거나, 가독(家督)을 물려주고 세상에 거리를 두고 생활하는 것. ②에도시대 공가(公家) 또는 무사에게 가해진 형벌의 하나. 지위를 박탈당하고 그 식록(食祿)을 자손에게 물려주는 것.(日本國語大辞典)
닫기
측근의
  고요닌 2명, 모노가시라(物頭)주 003
각주 003)
모노가시라(物頭) : 무가의 유미구미(弓組)·텟포구미(鉄砲組) 등의 대장.(日本國語大辞典)
닫기
4명, 메쓰케(目付)주 004
각주 004)
메쓰케(目付) : 제번(諸藩)의 경우 메쓰케는 번사(藩士)를 감찰하는 역직이고, 에도 막부의 메쓰케는 와카도시요리(若年寄)의 눈과 귀가 되어 하타모토(旗本)와 고케닌(御家人)을 감시하였다.(『役職読本』, 『官職と位階』)
닫기
3명 중에서 에도 근무 1명, 에도루스이(江戶留守居)주 005
각주 005)
루스이(留守居) : 에도 막부 및 제번(諸藩)에 두었던 직명(職名)의 하나. 쇼군 또는 번주(藩主)가 외출할 때 성(城)에 머물면서 성의 경비 및 제반 업무를 관리하였다. 막부 루스이의 역고(役高)는 5,000석으로 하타모토(旗本) 중에서 선임하는데, 하타모토가 담당할 수 있는 직역으로는 최고의 직책이었다. 각 번의 에도루스이는 ‘御城使’라고도 하며, 에도부칸(江戸武鑑)에도 대개 ‘城使’로 표기하였다. 이들은 막부 공인의 루스이 조합(留守居組合)을 만들고 정보를 교환하는 등 이른바 각 번의 외교관 역할을 하였다. 소수이기는 하지만 번주가 부재중인 에도번저(江戸藩邸)의 경비 책임자인 루스이와 연락 절충역인 御城使를 나누어 설치하는 번도 있었다.(『官職と位階』, 『役職読本』)
닫기
2명, 마치부교(町奉行)주 006
각주 006)
마치부교(町奉行) : ①에도 막부의 직명. 주요 도시의 행정, 사법을 관장했다. 지샤부교(寺社奉行), 간조부교(勘定奉行)와 함께 삼봉행(三奉行)으로 일컬어졌다. ②막부직할지인 오사카, 교토, 슨푸 등에 설치된 직책. 각각의 지명을 붙여 불렀고, ①과 구별되었다.(日本國語大辞典)
닫기
1명, 간조부교 8명 중 조선 [왜관] 근무 1명·교토·오사카·에도 1명씩, 간조부교 보좌역(添勘定) 1명, 고오리부교(郡奉行)주 007
각주 007)
고오리부교(郡奉行) : 에도시대에 군촌(郡村)의 행정을 통할하는 직명. 군다이(郡代), 다이칸(代官).(日本國語大辞典)
닫기
3명, 동 보좌역 1명, 후나부교(船奉行)주 008
각주 008)
후나부교(船奉行) : 선두(船頭), 수부(水夫) 등을 지휘하여 군선(軍船)을 통할하는 지휘관. 에도 막부에서는 후나테가시라(船手頭)라 칭했다. (日本國語大辞典)
닫기
1명, 조선 왜관 체재 4명이라고 합니다. 7월 14~15일 영지 내에 있는 가신들이 정례에 따라 가로 이하 우마마와리·오고쇼까지 남김없이 영주의 보다이지(菩提寺)주 009
각주 009)
일가(一家)가 대대로 그 사원의 종지(宗旨)에 귀의하여 거기에 묘소를 만들고 장례식을 거행하며 법사(法事) 등을 의뢰하는 절. 일가가 대대로 보다이(菩提: 범어. 번뇌를 끊고 얻은 깨달음의 지혜,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이름)를 구하는 사원.(日本國語大辞典)
닫기
에 참배할 때 전원이 자신의 창을 들고 행렬을 짓는 것이 예로부터의 관례라고 합니다. 그때 헤아려보게 했더니 대략 200자루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 각주 001)
    고요닌(御用人) : 에도시대에 막부·다이묘·하타모토(旗本) 가문에서 주군에 근시하며 재정을 비롯하여 서무를 담당하던 직책. 주군(主君)의 용무를 전달하는 것을 주된 업무로 하는 직책이나, 소바요닌(側用人)이 설치된 제번(諸藩)이나 하타모토(大身旗本)의 경우 소바요닌은 주군의 ‘사적인 일·가정(家政)상의 용무’를 전하고, 상대방과 절충하여 서무를 담당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인쿄(隱居) : ①관직을 사퇴하고 물러나거나, 가독(家督)을 물려주고 세상에 거리를 두고 생활하는 것. ②에도시대 공가(公家) 또는 무사에게 가해진 형벌의 하나. 지위를 박탈당하고 그 식록(食祿)을 자손에게 물려주는 것.(日本國語大辞典) 바로가기
  • 각주 003)
    모노가시라(物頭) : 무가의 유미구미(弓組)·텟포구미(鉄砲組) 등의 대장.(日本國語大辞典) 바로가기
  • 각주 004)
    메쓰케(目付) : 제번(諸藩)의 경우 메쓰케는 번사(藩士)를 감찰하는 역직이고, 에도 막부의 메쓰케는 와카도시요리(若年寄)의 눈과 귀가 되어 하타모토(旗本)와 고케닌(御家人)을 감시하였다.(『役職読本』, 『官職と位階』) 바로가기
  • 각주 005)
    루스이(留守居) : 에도 막부 및 제번(諸藩)에 두었던 직명(職名)의 하나. 쇼군 또는 번주(藩主)가 외출할 때 성(城)에 머물면서 성의 경비 및 제반 업무를 관리하였다. 막부 루스이의 역고(役高)는 5,000석으로 하타모토(旗本) 중에서 선임하는데, 하타모토가 담당할 수 있는 직역으로는 최고의 직책이었다. 각 번의 에도루스이는 ‘御城使’라고도 하며, 에도부칸(江戸武鑑)에도 대개 ‘城使’로 표기하였다. 이들은 막부 공인의 루스이 조합(留守居組合)을 만들고 정보를 교환하는 등 이른바 각 번의 외교관 역할을 하였다. 소수이기는 하지만 번주가 부재중인 에도번저(江戸藩邸)의 경비 책임자인 루스이와 연락 절충역인 御城使를 나누어 설치하는 번도 있었다.(『官職と位階』, 『役職読本』) 바로가기
  • 각주 006)
    마치부교(町奉行) : ①에도 막부의 직명. 주요 도시의 행정, 사법을 관장했다. 지샤부교(寺社奉行), 간조부교(勘定奉行)와 함께 삼봉행(三奉行)으로 일컬어졌다. ②막부직할지인 오사카, 교토, 슨푸 등에 설치된 직책. 각각의 지명을 붙여 불렀고, ①과 구별되었다.(日本國語大辞典) 바로가기
  • 각주 007)
    고오리부교(郡奉行) : 에도시대에 군촌(郡村)의 행정을 통할하는 직명. 군다이(郡代), 다이칸(代官).(日本國語大辞典) 바로가기
  • 각주 008)
    후나부교(船奉行) : 선두(船頭), 수부(水夫) 등을 지휘하여 군선(軍船)을 통할하는 지휘관. 에도 막부에서는 후나테가시라(船手頭)라 칭했다. (日本國語大辞典) 바로가기
  • 각주 009)
    일가(一家)가 대대로 그 사원의 종지(宗旨)에 귀의하여 거기에 묘소를 만들고 장례식을 거행하며 법사(法事) 등을 의뢰하는 절. 일가가 대대로 보다이(菩提: 범어. 번뇌를 끊고 얻은 깨달음의 지혜,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이름)를 구하는 사원.(日本國語大辞典)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봉록의 부족으로 가신을 줄이면 군역(軍役)이 부족해지는 문제 자료번호 : kn.k_0002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