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널방_서벽_곡예단(상단)_상세_장대 타는 사람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수산리 벽화고분 널방 서벽 상단의 곡예장면에 등장하는 장대 타는 사람의 상세도이다. 화면의 인물은 자신의 키보다 높은 장대를 타고 그 위에서 마치 흥겨운 춤이라도 추고 있는 양 양팔을 벌리고 신나게 기예를 부리고 있다.
장대타기 곡예사의 머리는 양 갈래로 묶여있고, 고구려 남자들의 일반적 의복형태인 저고리와 바지를 착용하였다. 모자 없이 맨 머리카락을 양 갈래로 묶은 두발의 형태는 이 곡예사가 아직 장가를 들지 않은 미소년임을 암시한다. 저고리에는 고구려 복식의 특징인 선(襈 : 학이나 두루미의 날개 끝이나 목 분에 있는 검은 깃털을 모방한 의복양식으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이 목깃, 소매부리, 저고리 아랫단[도련]에 대어있다. 고구려시대 사람들은 남녀노소와 귀천(貴賤)의 구별 없이 모두 선이 대인 저고리를 입었다. 바지는 하층계급이 주로 착용하던 통이 좁은 바지인 궁고(窮袴)이다. 무릎까지 걷어 올린 바지 아래로는 장대가 달린 긴 장화를 신고 있다.
재미있는 점은 저고리 착의법이 귀족이나 다른 남녀시종들과 같이 옷섶을 오른쪽으로 여며 입은 우임(右袵 : 왼쪽 옷섶을 오른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음) 방식이 아니라 좌임(左袵 : 오른쪽 옷섶을 왼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음) 방식 이라는 것이다. 우임은 한족의 착의방식이 고구려에 전래되면서 등장한 것이고 고구려의 전통적인 착의법은 본래 좌임이었다. 중국에서 우임이 전래된 이후 좌임의 착의법이 우임과 함께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긴 장태를 타고 있는 곡예사의 얼굴에는 아슬아슬한 긴장보다는 익살스러운 표정으로 가득 차있다. 장대타기는 현대인들이 아직까지도 즐겨 하는 곡예가운데 하나로 아주 오래된 고대인들의 전통문화가 우리의 삶속에 뿌리 깊이 녹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예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널방_서벽_곡예단(상단)_상세_장대 타는 사람 자료번호 : kk.d_0004_004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