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널방_서벽_묘주부부출행도(상단)_상세_시녀들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수산리 벽화고분 널방 서벽 상단의 출행도에 그려진 인물들 가운데 행렬의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두 명의 시녀이다. 앞 선 귀부인들의 화려한 치장모습과 달리 이 시녀들은 두발, 복장, 화장법 등에서 아주 소박한 모습을 보여주어, 고구려의 상류층 귀족여인들과 하류층 여인들 간의 신분에 따른 꾸밈새의 차이를 확연히 드러낸다. 이 시녀들의 소박한 차림새 이외에 앞 선 귀부인들보다 작게 그려진 모습도 이들의 낮은 신분을 효과적으로 암시해준다.
시녀들은 얼굴 생김새만 다를 뿐 두발형태, 복식과 자세는 완전히 일치한다. 두발은 앞의 귀부인들과 같은 얹은머리 형식이나 높게 부풀려 올리지 않고 아주 소박하게 치장하였다. 복장은 고구려시대 여인들의 기본 복장인 저고리와 치마이다. 저고리는 흰 색으로 저고리의 목깃과 소매 부리, 도련에 검은 천으로 선(襈 : 학이나 두루미의 날개 끝이나 목 분에 있는 검은 깃털을 모방한 의복양식으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을 대었으며, 치마는 폭이 좁은 주름치마로 발등까지 덮는다. 선을 대는 풍습은 북방민족의 복식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특징으로, 선은 장식적인 측면과 실용적 측면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매우 효율적인 디자인이다. 즉 서로 다른 색깔의 천으로 옷의 가장 자리를 장식하여 화려함을 강조하였고, 쓸려서 헤지기 쉬운 목둘레나 소매부리, 저고리 아랫단[도련]에 천을 덧댐으로써 내구성을 살렸다. 선은 평민이나 귀족,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모든 이의 복장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었는데, 선을 댄 방식이나 색상, 천의 종류에 따라 신분의 차이를 두었다. 바로 그러한 차이를 우리는 수산리 고분벽화를 통해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저고리 착의법은 옷섶을 오른쪽으로 여며 입는 우임(右袵 : 왼쪽 옷섶을 오른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 방식이다. 고구려의 전통적인 착의법은 좌임(左袵 : 오른쪽 옷섶을 왼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이었으나 한족의 우임방식이 고구려로 전래됨에 따라 좌임과 함께 우임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녀들의 손동작은 가슴 앞에 양 손을 가지런히 모아 잡은 공수(拱手) 형태로, 두 손은 옷자락 속으로 숨겨져 보이지 않는다. 인물의 적절한 비례, 유려한 옷 주름 선 등에서 고구려 화공의 높은 수준을 엿볼 수 있다. 이 시녀상은 고구려 하층계급의 복식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시각적 자료를 제공해 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널방_서벽_묘주부부출행도(상단)_상세_시녀들 자료번호 : kk.d_0004_0040_001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