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널방_서벽_상세_묘주부부출행도(상단)_남자인물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수산리 벽화고분 널방 서벽 상단의 출행도에 그려진 인물들 가운데 젊은 귀족남자의 상세도이다. 이 남성은 머리에는 건(巾 : 고구려 시대 모자의 한 종류로, 천으로 머리를 두르고 뒤에서 묶었음)을 두르고, 엉덩이를 덮는 저고리와 통이 넓은 바지인 대구고(大口袴)를 입었다. 발에는 코가 뾰족하게 올라온 목 달린 장화를 신고 있다.
먼저 건을 살펴보면, 건은 일반적으로 신분이 낮은 사람이 착용하는 천으로 된 모자의 한 종류이다. 그래서 이 인물을 자칫 시종으로 오해할 수도 있으나, 고구려시대의 귀족들도 야외활동을 하거나 수렵(狩獵 : 사냥)을 나갈 때에는 활동설이 뛰어난 건을 착용하였다고 하니, 이 사람의 신분은 묘주의 아들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복식을 살펴보면, 저고리에는 고구려 복식의 특징인 널찍한 선(襈 : 학이나 두루미의 날개 끝이나 목 분에 있는 검은 깃털을 모방한 의복양식으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이 목깃, 소매부리, 도련에 모두 대어져 있다. 그리고 다시 붉은 색의 천을 목깃과 소매부리에 얇게 덧대고 또 허리띠로도 활용하여 단조로운 복식에 화려함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화려한 이중선(二重襈)으로 당시 귀족과 평민의 복장이 구별되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바지는 귀족들이 착용하는 통이 넓은 대구고로, 민무늬 천이 아니라 화려한 점박이가 장식된 비단천으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점박이 무늬 옷은 고구려의 전통적인 복식으로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후 평양일대의 고구려 벽화고분에도 등장하기 시작한다.
저고리 착의법은 옷섶을 오른쪽으로 여며 입는 우임(右袵 : 왼쪽 옷섶을 오른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 방식이다. 고구려의 전통적인 착의법은 좌임(左袵 : 오른쪽 옷섶을 왼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이었으나, 한족의 우임방식이 고구려로 전래됨에 따라 좌임과 함께 우임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양 손은 공수(拱手: 양 손을 가슴 앞부분에서 마주 잡은 자세) 형태가 아니고 묘주가 그랬던 것처럼 부처님의 수인(手印: 부처님의 손가락 모양)을 모방한 듯한 특이한 모습이다. 살집이 적당히 오른 준수한 용모와 화려한 옷차림에서 고구려 귀족남자의 멋스러움이 느껴진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널방_서벽_상세_묘주부부출행도(상단)_남자인물 자료번호 : kk.d_0004_004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