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널방_서벽_묘주부부출행도(상단)_상세_묘주인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수산리 벽화고분 널방 서벽 상단의 출행도에 그려진 인물들 가운데 묘주의 상세도이다. 묘주는 얼굴에 팔자수염을 기른 근엄한 모습으로 의관이 매우 훌륭하다. 묘주 뒤에는 시종이 양손으로 묘주를 위해 산개(傘蓋 : 고대에 귀족들이 나들이 할 때 태양을 가리기 위한 도구로, 오늘날의 양산과 같은 것임)를 받쳐 들고 있다. 두 사람의 모습이 마치 거인국과 소인국 사람을 보는 듯하여 재미있다. 이러한 차이는 신분에 따라 사람의 크기에 차별을 두고 표현한 고대인들의 독특한 인물묘사법에 기인한 것이다.
먼저 묘주가 착용한 의관을 자세히 살펴보면, 머리에는 내관(內冠)인 무관용 책(幘 : 문무관의 의례용 모자로, 뒷부분의 운두가 두 갈래로 갈라져 앞으로 구부러진 문관용 책과 운두가 삼각형으로 뾰족하게 솟은 무관용 책 두 가지로 구분됨) 위에 칠사관[漆紗冠: 무관(武冠) 혹은 롱관(籠冠)이라고도 부르며, 고대중국에서 대신이나 무관이 착용하였던 관모임]을 쓰고 있다. 칠사관은 귀 바로 위에까지 내려오는 ‘Π’형태의 끈이 달린 관모로, 턱에 끈을 묶어 고정시켰다. 화면에도 붉은 색의 끈이 얼굴 옆선을 타고 내려와 턱 아래에서 매듭지어진 것이 보인다. 비단실로 성기게 제작된 칠사관을 회색으로 투명하게 처리하여 흑색의 내관과 재질감의 차이를 부각시킨 표현법의 탁월하다.
다음으로 의복을 살펴보면, 안에는 고구려인의 일반 복장인 저고리와 바지를 입고 겉에는 긴 두루마기를 걸쳤다. 두루마기 깃 안으로 저고리 깃이 겹쳐 보이나, 발등을 덮고도 남는 두루마리 자락으로 인해 바지는 보이지 않는다. 두루마기는 펄럭이지 않도록 허리띠로 고정하였으며, 가슴 앞에는 붉은 색의 폐슬[蔽膝: 조복(朝服) 또는 제복(祭服)을 입을 때 가슴에 늘어뜨려 무릎을 가리게 하는 수건 모양의 헝겊]을 걸쳤다. 폐슬은 왕족이나 신분 높은 벼슬아치만이 착용할 수 있었던 격식을 갖춘 의복양식이다. 두루마기의 목깃과 소매부리, 도련에는 검은색 천으로 선(襈 : 학이나 두루미의 날개 끝이나 목 분에 있는 검은 깃털을 모방한 의복양식으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을 대었다. 선을 대는 풍습은 북방민족의 복식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특징으로, 선은 장식적인 측면과 실용적 측면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매우 효율적인 디자인이다. 즉 서로 다른 색깔의 천으로 옷의 가장 자리를 장식하여 화려함을 강조하였고, 쓸려서 헤지기 쉬운 목둘레나 소매부리, 저고리 아랫단[도련]에 천을 덧댐으로써 내구성을 살렸다.
저고리 착의법은 옷섶을 오른쪽으로 여며 입는 우임(右袵 : 왼쪽 옷섶을 오른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 방식이다. 고구려의 전통적인 착의법은 좌임(左袵 : 오른쪽 옷섶을 왼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이었으나 한족의 우임방식이 고구려로 전래됨에 따라 좌임과 함께 우임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산개를 들고 있는 시종은 장가를 들지 않았기 때문에 머리를 틀지 못하고 풀어 내렸다. 몸에는 저고리와 통이 좁은 바지인 궁고(窮袴)를 착용하였는데, 저고리는 엉덩이를 덮는 길이로 중간에 띠를 묶어 편리성을 도모했다. 시종이 입은 저고리에도 목깃과 소매부리, 도련에 선이 대어 있어, 신분이나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고구려인들의 저고리에는 선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박쥐모양의 산개는 태양을 가리는 위한 것으로, 신분이 높은 사람들만 사용하였다. 산개의 손잡이는 직선이 아닌 곡선형의 꺾인 형태인데 이는 산개를 든 사람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해를 가릴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고대인들의 생활 속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묘주는 전방에서 펼쳐지는 곡예장면을 흥미롭게 바라보듯 앞을 응시하고 있는데, 재미있는 점은 묘주의 손이 공수(拱手: 양 손을 가슴 앞부분에서 마주 잡은 자세)가 아니고, 마치 부처님의 수인(手印: 부처님의 손가락 모양)을 모방한 듯한 특이한 형태로 묘사된 것이다. 인물의 적절한 비례, 유려한 옷 주름 선, 창의적인 표현방식 등에서 고구려 화공의 높은 수준을 엿볼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널방_서벽_묘주부부출행도(상단)_상세_묘주인 자료번호 : kk.d_0004_0040_0010_0010